윤병천 대금정악 음반출시

그야말로 성실하게 30여 성상(星霜) 대금정악의 맥을 잇고있는 국립국악원 정악연주단원 윤병천씨가 ‘윤병천의 대금정악’이란 CD를 내놓았다. 2장으로 구성된 음반은 연주회 실황을 담은 것으로 윤씨가 독주회를 통해 발표한 바 있는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과 ‘평조회상(平調會相)’ 전장이 실려있다. 관악영산회상이라고도 하는 표정만방지곡은 거친 듯 씩씩하며 강렬한 음색과 꿋꿋한 대금이 다른 악기들과 어우러져 그 멋이 일품이며, 독주곡 평조회상 또한 대금이란 악기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며 연주자의 기량을 맘껏 펼쳐보이고 있다. 화성군 남양 출생인 윤병천씨(47)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5호 북청사자놀음 예능보유자 고 윤영춘씨의 3남으로 예능집안에서 지내다 1967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양성소에 들어가면서 본격적으로 음악수업을 시작했다. 타고난 음악성과 성실한 노력으로 일찌기 재능을 인정받은 그는 고 녹성 김성진선생이 보유한 중요무형문화재 20호 대금정악의 이수자로 스승의 뒤를 이을 제자로 촉망받고 있고, 여러차례 독주회와 협연을 통해 탁월한 기량을 가진 대금잽이로 평가받고 있다. 대금정악의 맥을 잇는 훌륭한 연주자로, 한양대·경북대 등에서 후진을 양성하고 있는 교육자로 활동하는 윤병천씨는 “정말로 좋은 음악은 흥분하지 않고 동요하지 않으면서 우리의 본래 착하고 선한 바탕의 기틀에 맞아 물같이 담담하면서도 들어서 몸과 마음에 편안한 음악, 그래서 무사무악(無邪無惡)하고 두려움이 없는 대안락의 상태에 이른다”고 정악의 맛을 얘기하며 이런 음악을 위해 정진에 힘쓰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오현경 10년만에 안방극장 컴백

오현경이 상큼하게 안방으로 돌아왔다. 오현경의 10년 만의 복귀작으로 관심을 모은 SBS ‘조강지처클럽’(극본 문영남, 연출 손정현)이 29일 첫 방송에서 전국 시청률 14.1%(AGB닐슨미디어리서치)를 기록하며 기분 좋은 출발을 했다. 이는 전작 ‘칼잡이 오수정’에 비해 1~2%포인트 높은 수치다. 바람난 남편들을 향해 조강지처들이 복수에 나서는 이야기를 그린 ‘조강지처클럽’에서 오현경은 김혜선과 공동 주연을 맡았다. 오현경이 맡은 ‘화신’은 어린 나이에 시집와 가정을 위해 헌신했지만 남편이 연상의 여자와 외도를 하자 이혼한 뒤 복수를 꿈꾼다. 시청자들은 드라마 게시판에 오랜만에 연기를 재개한 오현경에 대한 응원의 메시지를 속속 올렸다. 시청자 권현주 씨는 ‘오현경 씨 힘내세요’라는 제목의 글에서 “긴 시간 마음 고생 많겠지만 그만큼 오현경 씨는 기다리던 팬들도 많은 것 같네요. ‘장미빛 인생’의 최진실 씨 이상으로 파이팅 하시길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시청자들은 문영남 작가의 전작 ‘장미빛 인생’이 최진실의 화려한 재기를 가능하게 했듯, ‘조강지처클럽’이 오현경의 성공적인 복귀를 끌어내길 기대하고 있다. 오현경 역시 “죽을 만큼 열심히 하겠다”는 말로 제2의 출발에 대한 남다른 각오를 밝혔다. ‘조강지처클럽’은 80부작으로 앞으로 10개월간 방송된다. 어느덧 청춘스타에서 30대 주부로 변신한 오현경의 인생의 아픔을 녹여낸 변신이 긴 호흡의 드라마를 통해 펼쳐질 전망이다./연합뉴스

곳고리창작가요제 입상작 음반출반 기념회

한국연예협회 경기도지회(지회장 이기원)가 주최한 제3회 곳고리창작가요제 입상작들의 음반출반 기념회가 지난달 28일 오후1시 경기도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다양한 계층의 창작인이 참여하여 벌이는 창작대중가요경연대회로서 창작활성화를 통한 대중가요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열리는 곳고리창작가요제는 매 회를 거듭할 수록 참가자들의 높은 수준과 열의로 관계자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행사를 주최한 연예협회 이기원 지회장은 “곳고리창작가요제를 통해 배출된 인재들이 좀 더 다양한 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반된 음반에는 대상을 수상한 ‘더 뮬(The Mule)’의 ‘초록빛 시간’과 국태일의 ‘착각’등을 비롯해 입상작들이 함께 담겨져 있다. 식장에서 대상을 차지한 뮬을 만나 그들의 얘기를 들어봤다. ▲수상 소감은? 참가자들의 실력이 너무 뛰어나 전혀 기대도 못했는데 큰 상을 받게 돼 너무 기쁜다. 무엇보다 공식적인 가요제에 처음 참가해 받은 큰 상이고 그 가능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생각돼 앞으로의 활동에 신선한 자극제가 될 것같다. ▲멤버는 어떻게 구성되었나? 대학가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고 있던 송승수오빠(기타)의 공연을 보고 내가 (임공주·보컬) 동참의사를 밝혔다. 그리고 새로운 팀창단을 위해 멤버를 구하던 중 김국환(드럼)·강내혁(베이스)오빠를 알게돼 이들과 함께 97년초에 ‘The Mule’이 결성됐다. ▲팀이름과 이번 대상곡에 대해 ‘Mule’은 영어로 ‘노새, 고집장이’라는 뜻인데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음악을 위해 한길을 고집한다는 의미로 선택하게 됐다. 대상곡 ‘초록빛 시간’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일상에 지칠때마다 어렸을때의 순수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위로를 받는다는 내용을 록으로 표현한 곡이다. ▲그동안의 활동과 앞으로의 활동은 그동안은 홍대를 중심으로 라이브 클럽등에서 언더그라운드로 활동을 해왔다. 새로운 팀들이 반짝 탄생했다 사라지고 10대 우상의 댄스곡이 난무하는 가요계의 현실에서 대중들로부터 사랑받고 그들에게 오래 기억될 수 있는 우리들만의 색깔을 지닌 록음악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국악원 우면당서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

한국고음반연구회(회장 이보형)가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한국음반 전시회 및 학술대회와 유성기음반 복원 연주회를 개최한다. 한국고음반연구회는 그동안 사장돼온 조선말기와 일제시대의 고음반(유성기)을 발굴·수집 하는 등 한국음악 음향자료의 연구 및 보존을 통해 관련분야의 예술과 학술·문화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지난 89년 3월에 창립된 순수 민간 학술단체로 현재 13명의 회원으로 구성돼 있다. 이 연구회에서는 음향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위한 이론 축적과 옛 녹음의 발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결과를 유성기음반 복각, 각종 학술자료의 발간 등을 통해 꾸준히 발표해오고 있다. 올해는 창립 10주년을 맞아 한국음반 전시회를 오는 27일까지 서울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에서 열고 있는데 여기에선 개인이나 단체에서 사가반(비매품)으로 발매한 CD음반 250여매중 100여점을 선정해 전시하고 있다. 이중에는 MBC에서 팔도민요를 현장에서 녹음제작한 ‘한국민요대전’, 국립국악원의 ‘한국의 굿 시리즈’, KBS의 ‘한국의 전통음악 시리즈’, 한국고음반연구회 음향자료선집, 문화재관리국의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자료 시리즈’ 등 귀중한 음반들이 눈길을 끈다. 제10회 한국음반 학술대회는 6일 오전 10시 국악박물관에서 열린다. 학술대회에선 ‘취고수음악의 음반에 대하여’와 ‘이화중선 음반연구’ ‘20세기 후반 제주도 전통음악 현장조사 자료와 음반목록’ ‘심상건 가야금 산조 연구’ ‘화청 회심곡과 염불 회심곡’ ‘제비가 연구’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된다. 유성기음반 복원연주회는 6일 오후5시 국악원 우면당에서 개최하는데 명인 명창들이 대거 참가한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