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윤의 작업엔 시든 꽃, 낙엽, 시계, 동물, 사람 등이 주로 등장한다. 시든 낙엽과 꽃은 현실의 상황을 의미한다. 메말라 버린 감성, 무거운 책임감에서 오는 외로움. 그는 시든 어떠한 것에 생명을 부여한다. 현재는 시들어 있고 힘들지만 이 시간이 지나면 좋아지겠지 하고 사는 우리의 내면의 거울이라 말하고자 한다. 물론 감상자에 따라 의미는 달라질 것이다. 약간 고집한다면 감상의 끝에는 희망이 있길 소망한다. 동물은 자유와 인간의 순수성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의인화 돼 있다. 본능에 충실한 동물들은 가끔 부러움의 대상으로 다가 온다. 그들에게서 자유를 느끼기 때문이다. 현실의 메마름에서 벗어나 한번쯤은 훌훌 털어버리고 본성에 의해 살고픈 마음, 자신의 자아를 찾고 언젠가 있을 자유를 갈망하며 살아가는 나(우리)는 결국 희망이 있기에 살아간다. 작가는 과정을 그리는 만큼 그 과정에는 희로애락(喜怒哀樂)이 존재할 것을 생각해 표현했으며 그림의 끝에 있는 희망이 잘 전해져 힘이 되길 바라고 있다. 김철윤 작가 계명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및 예술대학원 수료 Boot전 2011 대구유망작가 초대전 (메트로갤러리, 대구) 2011 현대작가 15인전 (서울미술관) 2008 골든아이 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2008 부산국제 아트페어 특별전 (백스코, 부산) 2008 New Realist展 (우봉갤러리, 대구) 2인전 2010 김성진 김철윤 초대전 (DGB갤러리, 대구) 2008 대한민국 청년작가 100인전 (신상갤러리, 서울) 2008 이수갤러리 초대전 (이수갤러리, 대구)
우리는 세상의 아름다움을 그저 스쳐 지나가면서 흘낏 그 일부만을 바라볼 뿐이다. 그러나 제대로 바라본다면 우리는 무색의 얼음 속에서도 반짝이는 무지개의 빛깔에 황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폭풍우나 물 한 방울 속에서도 무지개가 들어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음악은 어떤 특별한 성향이나 이례성을 지닌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당연한 자연 법칙이고 특성일 뿐이다. 다만 우리가 그것을 보고 듣지 못할 따름이다. 작가의 작업은 세상의 아름다움을 빛과 자연 등의 모습을 담고 다양한 시점과 색감을 통해 그려보고 싶었다. 과일에서 오는 붉으면서 투명한 색체와 잎에서 오는 녹색의 조화는 내가 새롭게 찾아낸 아름다움 중에 하나이다. 빛이라는 모티브를 통해 자연, 과일 등 이용해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다양한 구도와 색체의 조화를 연구하며 이번 작업은 정물작업으로 작은 사과와 자두 등 과일을 빛과 화려한 색체를 통해 대중들 앞에 선보이는 첫 정물 작품이다. 이충희 작가 계명대 서양화과 졸업/동 대학 교육대학원 재학중 2006. 러시아 상트뻬째르루르크 레핀 아카데미 연수 2007. 중국 천진미술아카데미 연수 2007. 중국 천진미술아카데미 초대 교류전 2007. 경상북도 미술대전 특선 2008. NewRealist展 (우봉미술관대구) 2008. New Attention展 (대동갤러리광주) 2008. 아시아프 제1회(구서울역서울) 2008. 美-새로운 시각전 (DGB갤러리대구) 2010. 아시아프 제3회(성신여대서울) 2011. 시각으로 느끼는 봄의 향기展(e-갤러리대구) 2011. 동행展(극제미술관대구)
일시11월 2일(금) 시간오후 8시 장소아람극장 하이든홀 관람연령만 8세 이상 관람료R석 3만원, S석 2만원, A석 1만원 문의032-438-7772
일시11월 2일(금) 시간오후 8시 장소평촌아트홀 관람연령만 7세 이상 관람가 관람료R석 3만원 문의031-687-0500
일시11월 23일(금)~25일(일) 시간(금)오전 11시, 오후 1시 (토일)오후 2시, 오후 4시 장소소극장 관람연령36개월 이상 관람가 관람료S석 2만원, A석 1만2천원 문의031-828-5841
일시11월 24일(토) 시간오후 3시 장소대공연장 관람연령36개월 이상 관람료R석 2만원, S석 1만5천원 문의031-644-2100
세계 정상의 프로 댄서들이 펼치는 댄스뮤지컬 번더플로어.살사, 탱고, 차차차, 왈츠 등 모든 장르의 볼룸댄스를 2막 7장의 옴니버스 형식으로 엮어 13가지의 댄스 파노라마로 구성돼 있다. 가창력이 뛰어난 가수들의 노래와 춤, 그리고 스토리가 공존하는 번더플로어에서 화려한 의상과 군무 역시 빼놓을 수 없다. 한 공연에 구찌, 베르사체, 돌체앤가바나, 모스키노의 디자이너들이 제작에 참여해 만든 고가의 의상, 액세서리, 신발이 사용된다. 심장을 뛰게 하는 무대, 화려한 춤, 매력적인 댄서들을 동시에 만날 수 있다. 일시 11월 7일(수)~25일(일) | 장소 오페라하우스 | 관람료 4만~15만원 | 문의 1577-3363
권정생 선생의 훨훨 간다라는 전래동화를 놀이 마당극으로 만든 작품. 민요와 춤, 장구 등 우리네 가락이 어우러져 저저로 흥이 절로 난다. 지루할 수 있는 책 속 이야기를 배우들의 신나는 입담과 재치에 해학성을 가미해 새로운 모습으로 보여준다. 특히 배우가 무대와 객석을 모두 활용하며 등장하거나 움직이며 관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또 무대에서 배우들뿐만 아니라 어른 관객, 어린이 관객이 함께 비석치기, 고무줄놀이, 줄넘기놀이 등 사전 놀이를 할 수 있어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일시 11월 7일(수)~11일(일) | 장소 별무리극장 | 관람료 전석 1만원 | 문의 080-481-4000
부천문화재단(대표이사 김혜준)은 고가의 미술품을 저렴한 가격에 대여해주는 신개념 렌탈사업인 부천아트뱅크를 운영하고 있다. 작품은 판매가의 1~3%의 비용(4개월 기준)만 지불하면 대여가 가능하다. 1년 이상 대여할 경우 분기별로 무료로 작품을 교체해준다. 문의 (032)320-6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