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코리아 하남지회, 다문화가정의 ‘희망 전도사’ 역할

서로의 언어와 피부색, 문화의 차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함께 즐기며 공존할 때 진정한 다문화가정에 행복의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낯선 이국땅에서 언어와 문화 그리고 생활양식까지 달라도 너무 다른 타향살이의 설움을 이겨내고 누구보다 한국 며느리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불철주야 노력하는 희망 전도사, 바로 아이코리아 하남시지회의 안교을 지회장(57)과 67명의 회원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사실 안 지회장과 회원들은 며느리를 하나둘씩 본 시어머니다. 최근 종방된 드라마를 통해 시집세상을 뜻하는 씨:월드가 유행어가 된 요즈음, 무섭고 다가서기 힘든 시어머니라는 고정관념은 안 지회장과 회원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막내며느리 마냥 방긋방긋 웃으며 하나라도 더 알려주고 도와주려 애쓰는 이들의 모습에서 무서운 씨:월드는 없다. 대신 혼자 낯선 이국땅에서 외롭고 힘들 며느리를 친딸마냥 살뜰히 챙겨주는 친정엄마일 뿐. 그러나 마음만으론 체계적인 봉사를 할 수 없다고 판단한 안 지회장은 지난 2010년 1월 제3대 하남시지회장직을 맡으면서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통해 다문화가정이 진정한 우리의 이웃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당부했다. 이렇듯 다문화가정의 행복을 목표로 똘똘 뭉친 안 지회장과 회원들의 활동은 눈부셨다. 관내 577세대의 다문화가정을 일일이 방문하면서 조속한 정착과 한국문화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맞춤형 봉사활동을 펼치는 것은 기본. 여기에 지난 14일에 열린 다문화 페스티벌축제를 직접 주최해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이주자, 시민 5백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치뤘고, 여섯가구의 다문화가정의 결혼이민여성에게 한국인 친정엄마를 연결시켜주는 한국부모 맺기 결연행사를 갖아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이에 앞서 이 단체는 지난달 초 2천여만원 들여 다문화가정 친정나들이를 추진, 5가정의 19명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했다. 또 지난 5월 다문화가족 합동결혼식 때 피로연 음식 장만 등 자원봉사를 펼쳤는가 하면 지난 2월에는 다문화가족과 함께 된장고추장 담그기 체험 행사를 갖는 등 한 해 평균 20여건의 크고 작은 행사를 마련해 결혼이민자여성이 한국인이라는 뿌리의식을 갖고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지역의 일원으로 올바르게 정착하도록 노력을 경주해 오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하남 미사리 7080 페스티벌' 1만여 시민들 성황

추억의 시절로 돌아간 듯 몸도 마음도 젊어진 기분입니다. 하남 미사리 7080 페스티벌이 시민문화 축제로 자리매김 했다. 지난 6일 시청 광장에서 열린 하남 미사리 7080 페스티벌은 1만여명의 구름떼 관람객들이 몰려 축제의 흥을 북돋았다. 이번 축제의 백미는 단연코 시민 노래자랑. 이날 오후 3시부터 열린 노래자랑에는 본선 참가자 20명이 불꽃 튀는 경쟁 속에서 나름의 노래실력을 겨뤘다. 신성실씨(덕풍3동)는 이은미의 기억 속으로를 불러 대상을 차지했는가 하면 이정인씨(덕풍동)는 김동률의 오래된 노래를 열창해 최우수상을 거머쥐었다. 이에 앞서 열린 체험마당에서는 옛 시절을 회상하는 굴렁쇠와 팽이 돌리기, 솜사탕뻥튀기엿장수 체험 등이 인기를 끌었다. 특히 이교범 시장과 오수봉 시의장, 황숙희 의원 등은 교복을 입고 그 시절 학생모습을 선보여 박수갈채를 받았다. 또 전시마당 7080 의상 포토존에서는 사진찍기 행사를 비롯, 만화방, 구멍가게, 사진관 등의 옛 모습을 그대로 재연해 관람객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이와는 별도로 이날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극장(검단홀)에서는 제3회 위례예술제 공연인 미사리 연가(戀歌) 등이 울려 퍼진 가운데 시민 1천여명이 수준 높은 공연문화를 체험하는 등 지역 곳곳이 축제의 장으로 변했다. 축제에 참여한 주민 A씨(51여신장동)는 7080 세대를 위한 공연도 좋았고, 체험과 전시행사는 압권이었다며 즐거워했다. 이날 축제는 1만여명의 시민들이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킨 가운데 저녁 수십여발의 불꽃 축제를 끝으로 감동의 피날레를 선사했다. 하남=강영호기자 yhkang@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