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원 선거사무원, '1년 넘도록 수당 미지급' 신고

광주시의회 한 의원이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회계업무를 담당했던 선거사무원의 수당 지급을 1년 이상 미루고 있어 말썽이다. 해당 선거사무원은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에 해당 시의원에 대한 임금체불 신고를 준비하고 있다. 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광주시의원인 A씨의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B씨는 5월6일부터 6월30일까지 약 2개월 동안 회계업무(회계책임자)를 수행했다. 하지만 그는 선거운동기간인 13일 치만 수당을 받았을 뿐 나머지 44일 치에 대한 수당은 1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선관위 규정에 따른 회계책임자의 하루 수당은 14만원인데 현재까지 받지 못한 수당은 616만원에 달한다는 게 B씨의 입장이다. 그는 광주선관위로부터 자신이 회계책임자로 업무를 수행했다는 확인서를 받아 고용노동부에 A씨를 체불임금으로 신고할 방침이다. B씨는 “지인의 권유로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2개월간 A씨의 회계책임자로 일했다”며 “그러나 선거가 끝나고 1년이 지나도록 나머지 수당을 받지 못해 고용노동부에 신고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A씨가 2개월을 선거법이 규정하는 근로수당(회계책임자 하루 14만원)으로 지급하기로 선거사무장이 함께 있는 자리에서 약속했다”며 “시의원에 당선되고 나서 생각이 변했는지 지금까지 전화 한 통 없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분개했다. 현행 선거 관련 규정에 따르면 회계책임자는 예비후보 등록 시점부터 선거가 종료된 이후에도 1개월 간 후보의 선거 관련 수입·지출업무를 진행, 선거운동원·사무장과 달리 근무 기간이 연장돼 있다. 이에 대해 A의원은 “안 주겠다는 게 아니라 당장은 돈이 없이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돈이) 있었으면 벌써 줬을 것”이라며 “다른 사람들이 주라 마라 할 권리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경기 광주, 상수원보호구역 내 환경정비구역 확대

광주시 팔당상수원보호구역 내 환경 정비구역 면적이 339만1천621㎡에서 355만4천720㎡으로 늘어났다. 환경정비구역으로 확대된 지역은 상수원보호구역보다 완화된 규정을 적용받는다.  일정 면적 이하의 주택 신‧증축, 근린생활시설 용도변경, 원거주민에 한해 음식점 용도변경 등이 가능하고 목욕장과 이용원, 종교시설 등도 새로 짓거나 확대할 수 있다. 7일 광주시에 따르면 경기도는 광주시 환경정비구역 지정 공고를 지난 1일 고시했다.  이번에 환경 정비구역으로 확대 지정된 지역은 팔당상수원보호구역인 초월읍, 퇴촌‧남종‧남한산성면 등자연마을 30곳이다. 이곳은 지난 1975년 상수원보호구역과 개발제한구역 지정의 중첩규제로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시는 지난 6월 경기도에 상수원보호구역 내 환경 정비구역 지정 승인을 신청했고,  경기도는 검토 및 주민 의견 공람을 거쳐 주민 의견 일부(1천974㎡)를 반영해 16만3천99㎡(4.71%) 증가한 355만4천720㎡를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 승인했다. 방세환 시장은 “앞으로도 계속 주민들의 의견 수렴과 함께 세심한 계획 수립으로 규제가 완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기 광주시, ‘2026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계획 온라인 브리핑

경기 광주시는 5일 ‘2026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 관련 온라인 시정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브리핑은 방세환 시장이 직접 나서 ‘2026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 추진계획을 밝혔다. 방 시장은 “광주시는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를 위해 광주종합운동장 기공식과 함께 각종 공공 체육시설을 새롭게 정비하고 확충하고 있다”며 “교통‧숙박‧안전관리 등 전 분야에 대한 철저한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해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생활체육에 대한 높은 열정에도 1974년 팔당댐 완공 이후 상수원 보호 관련 이중, 삼중 규제들로 묶여 50여년 동안 열악한 환경 속에서 희생을 감내해 왔다”며 “시민들의 오랜 염원이던 광주종합운동장 준공에 맞춰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반드시 유치해 시민들께 희망을 드리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2022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유치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631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68억원, 취업 유발효과는 723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유치를 통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켜 시민들께 희망을 드리겠다”고 밝혔다. 방 시장은 “생활체육의 일상화를 통해 한층 더 행복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2026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를 ‘준비된 광주시’에서 개최할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의 뜨거운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 온라인 시정 브리핑은 광주시청 공식 유튜브와 SNS를 통해 볼 수 있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