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일 연속 1만명 미만…방역 당국 “변이 탓에 집단면역 어려워”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1주일째 1만명 미만을 기록한 가운데 방역 당국이 90%를 웃도는 국민의 항체형성률에도 집단면역이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9천435명)보다 1천441명 적은 7천994명이다. 여기에 1주일 전인 지난 9일(1만2천157명)보다는 4천163명, 6·1 지방선거 휴일 다음 날이었던 2주일 전 지난 2일(9천890명)과 비교하면 1천896명 각각 줄어든 것으로 산출됐다. 1만명 밑 하루 확진자는 지난 10일부터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양성판정사례가 감소 그래프를 그리면서 국내 복수의 연구팀은 이달 말까지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으며 특히 이창형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과학과 생물수학랩 연구팀은 오는 29일 3천956명의 발생을 예측했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닷새 연속 100명 미만인 98명이고 사망자는 8명이다. 경기 지역에선 149일 만(1월17일 1천530명)에 평일 1천명대인 1천993명의 감염 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자연 감염과 백신 접종에 따라 94.9%의 국민이 이와 관련한 항체를 갖고 있다는 표본 조사 결과가 나왔음에도 방역 당국은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잇따라 출현하는 변이 바이러스 탓에 집단 면역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이다. 한편 방역 당국이 17일 확진자에 대한 격리의무 해제 여부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유명순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만 18세 이상 남녀 1천6명에 대해 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47%는 유지로, 36%는 해제로 각각 답했다. 조사 결과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다. 이정민기자

6일째 1만명 미만…해외 유입 급증에도 “입국 완화 유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6일째 1만명 미만을 기록한 가운데 해외 유입 사례가 늘어났음에도 방역 당국이 입국 완화 조치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1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9천778명)보다 343명 적은 9천435명이다. 1주일 전인 지난 8일(1만3천355명)보다는 3천920명, 2주일 전인 지난 1일(1만5천788명)과 비교하면 6천353명 각각 감소한 수치다. 1만명 밑의 확진자는 지난 10일부터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감소세에 접어든 이후 휴일이나 휴일 직후 하루 확진자가 1만명 미만을 기록한 적은 있었으나 주 중반까지 1만명 미만의 확진자가 계속되는 것은 처음이다. 다만, 이날 확진자 중 해외에서 유입된 사례는 전날(41명)보다 63명 증가한 104명으로 집계됐다. 다른 나라에서 귀국한 이후 곧바로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100명 이상으로 나타난 것은 지난 3월11일(106명) 이후 96일 만이다. 당시에는 오미크론 확산으로 하루 동안 양성 판정을 받은 시민이 28만명대로 조사됐던 시기다. 그럼에도 방역 당국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소세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국내 확산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귀국 후 격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등 현행 입국 완화의 조치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이유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나흘 연속 두자릿수인 93명이고 사망자는 9명이다. 경기도에선 하루 동안 2천28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한편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등으로 아프면 쉴 수 있도록 최저임금의 60%를 지급하는 ‘상병수당’ 시범사업을 내달 4일부터 1년간 시행한다. 시범 사업 대상은 부천, 서울 종로 등 6개 지역의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사람 중 이와 관련한 지원자다. 또 오는 18일 예정된 2022년도 지방공무원 9급 공채시험과 관련, 확진자는 별도의 시험장에서 응시하게 할 방침이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닷새째 1만명 미만…국민 94.9% 항체 형성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닷새째 1만명 미만으로 집계된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은 이와 관련한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3천828명)과 비교해 약 2.5배 늘어난 9천778명이다. 1만명 밑의 확진자는 지난 10일 이후 계속되고 있다. 이날 양성 판정을 받은 시민은 1주일 전인 지난 7일(6천171명)보다 3천607명 많다. 다만, 당시는 현충일 연휴 다음날이기에 이른바 ‘휴일 효과’로 확진자가 이날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 2주일 전인 지난달 31일(1만7천185명)과 비교하면 7천407명 적다. 위중증 환자는 3일 연속 두자릿수인 98명이며 하루 새 코로나19로 사망한 시민은 2명이다. 이는 지난해 9월13일(1명) 이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수치다. 경기도에선 전날(3천372명)보다 1천324명 줄어든 2천348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특히 이날 도내 사망자는 단 한 명도 없으며 ‘사망자 0명’은 이달 들어 세 번째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지난 1월부터 넉 달 동안 전국 10세 이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천61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를 시행한 결과, 백신과 자연감염에 따른 전체 항체양성률은 94.9%로 나타났다. 특히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에 따라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은 지난 1월 0.6%에서 4월 36.1%로 뛰었다. 한편 전파력이 빠른 BA.2.12.1 등 세부변이 67건이 국내에서 추가 확인됐다. 아울러 전국·수도권·비수도권 주간 위험도가 4주 연속으로 ‘낮음’으로 유지됐다. 이정민기자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 시 몸 아프면 ‘쉬는 제도’ 추진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5개월여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격리의무에서 벗어났으나 몸 상태가 안 좋은 확진자를 쉬게 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7천382명)보다 3천554명 적은 3천828명이다. 휴일 동안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들이 적어 양성판정사례도 줄어드는 경향을 감안하더라도 감소세가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1주일 전인 지난 6일(5천22명)보다 1천194명, 2주일 전인 지난달 30일(6천134명)보다 2천306명 각각 적은 것으로 산출됐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지난 1월11일(3천94명)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던 시점이었다. 위중증 환자는 이틀째 100명 미만인 95명이며 하루 사망자는 17명이다. 경기도에선 전날의 1천690명보다 666명, 1주일 전의 1천340명과 비교해 316명 각각 적은 1천24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확진자에 대한 격리의무 해제 시 ‘아프면 쉴 수 있는’ 제도·문화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현재 방역 당국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취합, 오는 17일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격리의무가 사라지면 확진자는 자율적으로 자택에서 대기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은 아프면 쉬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아 전파 방지를 위해 자체적으로 격리에 들어가야 하는 확진자는 회사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의 긴급사용승인 검토에 착수했다. 이정민기자

위중증 환자 1년2개월 만에 100명 밑…격리의무 해제 촉각

주말의 영향으로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감염된 시민이 줄어든 가운데 방역 당국이 이번 주 확진자에 대한 격리의무 해제 여부를 발표한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일일 확진자는 전날(8천442명)보다 1천60명 적은 7천382명이다. 주말과 휴일 사이 검사를 희망하는 시민이 줄어들어 양성판정사례 역시 적어진 게 이러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이자 마찬가지로 휴일이었던 지난 5일(9천832명)보다 2천450명 적어 감소세가 확연하다. 2주일 전인 지난달 29일(1만2천647명)과 비교하면 5천265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해 4월19일(99명) 이후 약 14개월 만에 100명 미만인 98명을 기록했다. 하루 동안 코로나19로 세상을 떠난 시민은 20명이다. 이날 경기도에선 1주일 전(2천190명)보다는 500명 감소한 1천690명의 감염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감염병·방역 전문가로 이뤄진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확진자 격리의무 해제를 검토 중인 방역 당국이 오는 17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면서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확진자의 격리의무 해제는 속단할 수 없다는 게 지배적이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이 정점을 찍었던 올해 3월까지만 해도 하루 60만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왔으나 집단 면역이 생기면서 현재는 하루새 1만명 미만이 코로나19에 걸린 실정이다. 이처럼 누그러진 확산세를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방역 조치의 최후의 보루 격인 격리의무 해제를 굳이 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의견이 나오면서다. 한편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정책 결정을 위한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가 국무총리실 소속으로 신설된다. 이정민기자

신규 확진 이틀째 1만명대…"4차 접종 전 국민 확대, 유행 상황에 따라"

하루 동안 코로나19에 걸린 시민이 줄어든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4차 백신 접종 시기를 상황에 따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전날(1만3천358명)보다 1천197명 적은 1만2천161명이다. 현충일 연휴 효과로 지난 5∼7일 1만명대 미만으로 떨어졌던 확진자는 연휴가 끝나고 검사량이 급증하면서 이틀 연속 1만명대 초반을 기록한 것이다. 이날 확진자는 1주일 전인 지난 2일(9천891명)보다 2천270명 많지만, 2주일 전인 지난달 26일(1만8천805명)보다는 6천644명 감소한 수치다. 위중증 환자는 13일째 100명대인 106명으로, 하루 사망자는 18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경기도에선 전날 3천75명보다 339명 감소한 2천736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현재 고령층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4차 백신 접종의 전 국민 확대 여부를 유행 상황에 따라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여기에 신종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해 개발된 개량 백신의 효과가 입증되면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뿐만 아니라 지난 2년 넘게 축적한 코로나19와 관련한 자료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방역정책을 시행하는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고강도 방역정책에는 선을 그었다. 백경란 신임 질병관리청장은 “방역정책 강도조절이 제일 어렵지만, 사회적 부담·영향과 국민 수용성을 균형있게 판단해서 결정해야 한다”며 “데이터를 잘 분석해 더욱 합리적이고 국민 수용성이 큰 정책을 정리해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방역 당국이 애초 지난달 추진하겠다고 밝힌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는 표본 조사 미이행으로 다음달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민기자

연휴 끝나자 신규 확진 껑충…사망자 8개월만에 '최저'

현충일 연휴가 끝나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한 가운데 사망자는 8개월 만에 ‘최저’를 가리켰다.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1만3천358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1천818만8천200명으로 집계됐다. 현충일 연휴(4~6일)에 줄었던 진단검사 건수가 급증하며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인 6천172명과 비교해 2.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다만 이날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보다 2천432명, 2주 전에 비해 1만587명 적다. 이와 함께 위중증 환자 수는 114명으로 전날(117명)보다 3명 감소했고, 지난달 28일(196명)부터 12일 연속 100명대를 나타내고 있다. 또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은 6명으로 직전일(20명)보다 14명 줄어들었는데, 이는 지난해 10월3일 기록했던 3명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아울러 경기 지역에선 3천5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고, 사망자는 지난해 9월23일 이후 257일 만에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방역 당국은 이날 감염병 고시를 변경해 원숭이두창을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했다. 앞서 방역 당국은 지난달 31일 원숭이두창에 대한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 단계로 발령하고,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정하기 위한 고시 개정을 행정예고한 바 있다. 개정 고시에 따라 원숭이두창 확진자는 입원 치료 대상자로서 격리 의무가 부여된다. 환자 신고·역학조사·치료 등 법적 조치는 기존의 다른 2급 법정 감염병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정민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