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속 곳곳 ‘이상징후’

부동산시장이 장기침체에 돌입하면서 곳곳에서 이상징후가 이어지고 있다.민간보다 저렴한 가격에 분양하던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공동주택용지가 미분양되거나 집 한채 값의 파격적인 할인율을 적용한 고급주택이 나오는 등 과거와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23일 도내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부동산시장 경색과 건설업체 구조조정 여파가 맞물리면서 부동산 환경이 크게 바뀌고 있다.특히 LH가 경기지역에 공급하는 공동주택용지가 가장 큰 타격을 입고 있다. 그동안 공동주택용지는 도시계획 등이 잘 갖춰져 건설사들이 눈도장 찍기에 바빴다. 하지만 건설사들이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투자를 꺼리자 공동주택용지도 미분양이란 철퇴를 맞고 있다.LH가 이달 중순 김포한강신도시에 분양한 공동주택용지 7필지의 경우 신청한 회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LH가 올 들어 도내에 분양한 다른 공동주택용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LH는 의정부 녹양, 고양 행신2지구 등 7개 택지지구에서 25개 공동주택용지를 분양했지만, 화성 동탄2신도시의 3필지 이외의 나머지 22필지는 모두 미분양으로 남은 상황이다.부동산시장의 이상징후는 민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의 웬만한 중형아파트 1채 값을 할인해 주는 신규분양 주택이 나왔기 때문이다. 극동건설은 용인시 보정동에 공급한 최고급 타운하우스 죽전 극동스타클래스를 기존 분양가 대비 최대 25% 할인해 분양하고 있다.당초 14억8천만원대인 200.26㎡형을 25%할인하면 11억원대로, 최대 3억7천만원의 할인혜택이 주어진 셈이다. 이와 함께 아파트 선호 경향도 대형에서 중소형으로 바뀌면서 소형 펜트하우스가 등장하거나 설계도면까지 바꿔 중소형으로 전환하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SK건설은 이번 달 수원시 정자동에 84㎡형 펜트하우스를 선보였고, ㈜한양도 109㎡ 단일평형으로 김포한강신도시에 공급하는 아파트에 소형인 85㎡형을 추가했다. 이 같은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부동산 경기가 장기간 불투명하고 건설사들이 갖고 있는 미분양 물건도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융권의 건설사 구조조정이 다가오면서 신규 투자는 엄두를 못내는 것도 한몫을 하고 있다. 건설업체의 한 관계자는 언제 풀릴지 모르는 부동산 경기와 정부의 강경한 건설사 구조조정 등이 겹치면서 신규 투자는 꿈도 못 꾼다며 기존 분양물량이라도 소진하는데 전력하고 있다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추천경매물

공원대형마트 등 편의시설 풍부 최저가 4억7천만원◇부천시 원미구 중동 위브더스테이트=2006년 준공된 9개동 225가구의 단지로 해당물건은 15층 건물의 13층이다. 1호선 부천역이 버스 10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복사공원, 벌막공원, 연꽃공원, 홈플러스 등의 레져편의시설이 있고 심원초교, 심원 원미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최초감정가 6억7천만원에서 1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매각가는 4억6천900만원이다.▲소재지: 부천시 원미구 중동 1111 위브더스테이트 603동 1302호 ▲면적: 129.3㎡ (39.1평) / 대지지분 38.3㎡ ▲감정가: 6억7천만원 ▲최저 매각가: 4억6천900만원 (감정가대비 70%) ▲입찰법원: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경매일시: 7월1일 10시자료제공=㈜지지옥션(www.ggi.co.kr) 평촌역 걸어서 10분 중앙공원뉴코아아울렛 가까워◇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우성아파트=1993년 준공된 8개동 422가구의 단지로 해당물건은 25층 건물의 8층이다. 4호선 평촌역이 도보 10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중앙공원, 뉴코아아울렛 등의 레져편의시설이 있고 민백초교, 백영고, 동안고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최초감정가 9억5천만원에서 1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매각가는 7억6천만원이다.▲소재지: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933 꿈마을 우성아파트 206동 801호 ▲면적: 158.2㎡ (47.9평) / 대지지분 84.7㎡ ▲감정가: 9억5만원 ▲최저 매각가: 7억6천만원(감정가대비 80%) ▲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경매일시: 7월6일 10시30분분당선 오리역 도보 10분 공원 가깝고 초중학교 많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무지개마을 주공아파트=1995년 준공된 5개동 563가구의 단지로 해당물건은 25층 건물의 22층이다. 분당선 오리역이 도보 10분 거리이다. 주변에는 석촌공원, 오리공원, 벌말공원, 탄천 등 레져시설이 있고 구미초교, 불곡초교, 가림중, 안천중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최초감정가 2억7천500만 원에서 1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매각가는 2억2천만원이다.▲소재지: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20 무지개마을 주공아파트 405동 2201호 ▲면적: 60㎡ (18.1평) / 대지지분 45.3㎡ ▲감정가: 2억7천500만원 ▲최저 매각가: 2억2천만원 (감정가대비 80%) ▲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경매일시: 7월5일 10시골프장 인근 주말 별장용 사용 감정가 절반에 입찰 ◇광주시 실촌읍 부항리 단독주택=2005년 준공된 2층 건물로 연면적 198.5㎡ 토지 660㎡ 전원주택이다. 현 소유자가 주말 별장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대중교통 여건은 미흡하나 3번국도와 98번 지방도를 이용해 차량으로 접근할 수 있다. 2011년 성남~장호원 간 도로 개통으로 서울에서의 접근성이 개선이 기대된다. 주변에는 남촌CC, 그린힐CC 등 레져시설이 있다. 최초감정가 3억3천365만원에서 3회 유찰돼 이번 경매 최저매각가는 1억7천83만 원이다.▲소재지: 광주시 실촌읍 부항리 20-5 ▲면적: 198.5㎡ (60평) / 대지 660㎡ ▲감정가: 3억3천365만원 ▲최저 매각가: 1억7천83만원(감정가대비 51%) ▲입찰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경매일시: 7월5일 10시

주식·펀드처럼… 상가도 묻어둬야 ‘돈맛’

#1. 15년 전 1억원을 들여 분당의 점포를 분양받은 A씨는 최초 80만원 가량의 월세를 받고 임대사업을 시작해 지금은 주변 시세에 맞춰 월 200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A씨의 경우, 그동안 받아온 임대수익만 약 2억6천만원 정도로 그 사이 시세도 3억5천만원으로 올랐다. 이로써 15년의 장기투자를 통해 A씨가 확보한 현재까지의 누적수익률은 약 610%가량이며, 이는 평균적으로 연 40.7%에 해당하는 고수익이다.#2. 1기 신도시인 일산지역의 상가에 투자한 B씨는 10년 전 1억원을 들여 분양받은 상가에서 80만원 정도의 월임대료를 받기 시작해 현재는 매월 130만원의 임대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동안 B씨가 받은 임대료 총액은 약 1억9천800만원 정도다. 또 주변 지역에 상권이 형성되면서 해당 점포의 시세도 약 2억5천만원 수준으로 상승해, 10년 동안 상가를 보유하면서 B씨가 얻은 수익만 투자원금을 제외하고 약 3억5천만원 정도 된다. 일산 등 1기 신도시 투자자들 연 40% 고수익 대박 이어져상가투자, 해법은 장독투자 신규상권 개발호재 철저 검토 묻어두기식 장기투자가 비결이처럼 최근 들어 상가시장에서도 묻어두기식 장독투자를 통한 성공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주식이나 펀드 등에서 장기 투자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듯 상가에서도 단기투자보다 우직한 장기투자가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하지만 상가는 최초 투자자금이 상대적으로 큰 데다 상권 분석 등 투자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무작정 투자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상가 장기투자에 대해 몇가지 조언하고 있다.우선 성공적인 장독투자를 위해서는 기존 형성된 상권보다 신규 상권에서 투자처를 찾는 것이 좋고 해당 상권의 지역적 특성 및 유동인구의 동선 파악, 주변 개발 호재사항 등을 꼼꼼히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또 공실이 발생하지 않는 점포에 투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아 가치상승이 예상되는 우량한 상가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이 좋다.상가뉴스레이다 선종필 대표는 상가투자의 경우, 주식처럼 단타매매를 통해 고수익을 추구하는 것은 위험한 투자방법이라며 상가의 경우 개별물건마다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아 장기적인 보유에 따른 투자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경쟁력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임명수기자 lms@ekgib.com

용인·동탄 세입자들 이삿짐 싼다

용인과 동탄신도시 세입자들이 훌쩍 오른 전세금 때문에 대거 이주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지난 2008년 이뤄진 이들 전세입자들은 입주초기 상가 등 주변 여건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저렴한 전세가격에 입주했지만 최근 재계약을 맞아 집주인들이 전세가를 올리면서 이삿짐을 꾸리고 있는 것이다.22일 도내 공인중개사사무소들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전국에서 입주물량이 가장 많았던 동탄 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하면서 때아닌 전세이동이 펼쳐지고 있다.화성시의 경우 2008년 병점 등에 1만600여가구와 함께 동탄 신도시(1만3천800여가구) 입주물량을 포함, 모두 2만4천400여가구가 대규모로 쏟아졌다.이에 입주 당시 저렴하던 전세가는 최근들어 재계약을 앞두고 2배까지 치솟았다. 동탄 신도시의 능동 신일해피트리 81㎡ 전세는 입주초기 8천만~9천만원에서 현재 최고 1억4천만원에 거래되고 있다.또 병점 주공그린빌4단지 92㎡와 봉담 쌍용스윗닷홈 105㎡도 첫 계약보다 1천만원 정도 소폭 상승한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미분양으로 집값이 뚝뚝 떨어진 용인시도 2년전 입주했던 구성 일대에서 재계약을 앞두고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중동 서해그랑블 152㎡은 1억2천만원대에서 3천만~4천만원 오른 가격에 전세가 재조정되는 분위기다. 이처럼 아파트에 처음으로 입주했던 전세입자들이 전세금을 감당하지 못하면서 또다시 주변 아파트를 알아보는 이른바 전세 풍선효과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사정이 이러하자 동탄지역 전세입자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원 영통 등에 전셋집을 문의하면서 영통 A공인부동산중개사사무소의 경우 최근 평소 5배인 30여통의 문의 전화가 쏟아지고 있다.또 저렴하면서 깨끗한 아파트를 선호하는 일부 세입자들은 다소 거리가 먼 오산 세교지구의 신규 아파트를 알아보고 있다.동탄의 한 공인중개사는 첫 입주시에는 상가와 같은 생활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거나 새집 증후군과 같은 염려 때문에 전세가격이 대체로 낮은 편이라며 현재 시세에 맞춰 전세를 올려달라는 집주인의 요구에 응하기 어려운 세입자들이 하나둘 가격이 낮은 곳으로 이사를 준비중이라고 말했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광교 빼고 수원지역 분양 ‘고전’

올해 경기지역에서 공급되는 대형브랜드로는 단일 최대 규모로 기대를 모았던 수원 SK스카이뷰가 지난주 청약을 마감한 결과, 3순위에서도 주인을 못 찾는 등 상반기 수원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22일 금융결제원 등에 따르면 수원시 정자동 일대에 공급한 SK스카이뷰는 총 3천455가구(특별공급 43가구 제외) 모집에 총 1천539명이 몰려 절반 이상이 미달됐다. SK스카이뷰는 실수요자가 대거 청약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중소형 주택형조차 미달 사태를 빚었다. 가장 많은 가구의 평수를 공급한 85㎡형(940가구)은 777가구나 미달됐고,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소형 평수인 60㎡형B(347가구)C(177가구)타입도 각각 303가구와 91가구나 주인을 찾지 못했다.이에 앞서 분양한 권선자이e편한세상(604가구)의 경우 1순위에서 불과 80명만이 신청했으며, 3순위에서도 총 11개 주택형 가운데 모집가구수를 채운 곳은 극히 드물었다. 이밖에 지난 4월 분양한 서수원블루밍(527가구)은 절반도 못 채운 249명이 신청했고, 1월 분양한 장안힐스테이트(927가구)도 467명만이 접수하는데 그쳤다.다만 광교 불패의 신화를 이어가듯 광교e편한세상만이 1천970가구 모집에 10.42대1의 경쟁률을 보이며 대조를 보였다.이 같은 분양 실패에 대해 수원지역 부동산 관계자들은 분양 전부터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벌여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분양물량이 한꺼번에 몰렸다며 부동산 침체 속에서 대형브랜드도 맥을 못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도심 역세권 소형주택 공급 확대

싱글족이 늘어나고 저출산 가정이 많아지면서 수도권 등 도심에 이들을 겨냥한 소형주택이 확대될 전망이다. 22일 국토해양부는 고밀복합형 재정비촉진지구의 지정 범위와 주차장 등의 건축기준, 소형주택 건설비율 등을 담은 도시재정비 촉진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 오는 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고밀복합형 재정비촉진지구는 주요 역세권이나 간선도로 교차지 등 대중교통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으로 소형주택 공급 확대나 토지의 고도 이용, 건축물 복합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이다.또 개정안은 고밀복합형 재정비촉진지구의 지정 범위를 국철, 지하철 및 경전철 등의 역 승강장의 중심점이나 간선도로의 교차점에서 500m 이내로 정했다.대상지는 철도와 지하철이 2개 이상 교차하는 역세권, 철도지하철과 버스전용차로가 3개 이상 교차하는 대중교통 연결지, 기타 시도 조례로 정하는 주요역세권 및 간선도로 교차지 등이다.이들 지구는 시도지사가 직접, 또는 시군구청장의 신청을 받아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재정비촉진지구에서는 학교시설의 경우 교지면적을 1/2까지 줄일 수 있고 주차장도 주택건설기준에 따른 설치 기준의 50% 범위에서 시도 조례로 완화할 수 있다.아울러 60㎡ 이하 소형주택 건설 비율도 지자체에서 조정이 가능해진다. 수도권 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은 재정비촉진계획 수립에 따른 용도지역 변경으로 증가하는 용적률의 50% 이상 범위에서, 그밖의 지역은 늘어나는 용적률의 25% 이상 범위에서 조례로 정하면 된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선거 끝나자 빈 사무실 다시 넘쳐…

경기도내 주요 도심지역이 빈 사무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62 지방선거로 반짝 특수를 누렸던 사무실들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한데다 불투명한 경제사정에 업무 공간 축소 및 통합바람까지 불면서 공실이 늘고 있는 것이다.21일 도내 공인중개사무소와 건물주 등에 따르면 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세입자를 찾지 못한 사무실이 대부분으로 공실률이 늘어나면서 빌딩시장의 침체로 이어지고 있다.이번 선거에서 예비후보 선거사무소로 활용된 수원시 권선구에 자리잡은 100㎡ 규모의 사무실은 1번 국도변 코너에 위치, 교통여건이 유리하다는 장점에도 불구, 두달째 비어 있다.이와 함께 인근에서 같은 용도로 사용된 사무실 대부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이처럼 선거바람에 휩싸여 인기를 끈 주요 도로변 사무실이 선거이후 90% 가량이 텅 비어 있다는게 부동산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수원 인계동에 위치한 J빌딩내 사무실 2개(196㎡)는 약도매상 등이 사용하다 경기불황으로 폐업한 지난해 12월 이후 세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여기에 경기 회복세를 느끼지 못한 개인 사업자들이 사무실을 축소 및 통합하는 경우도 늘어나 공실률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수원 곡반정동 S빌딩은 2층부터 5층까지 사용하던 D학원이 경영난으로 2층(215㎡)을 비운 후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건물주는 임대료를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낮췄지만 반응이 전혀 없는 상태다.또 성남시 정자동에서 165㎡의 사무실을 사용해 오던 S업체는 건물주가 월임대료를 갑작스럽게 인상하자 공간을 대폭 줄여 인근 사무실로 옮기기로 결정하는 등 대규모 사무실 인기가 급하락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도내 부동산 전문가들은 2~3개월 걸리던 공실 기간이 6개월~1년으로 늘어나고 장기간 세입자를 찾지 못한 매물이 쌓이면서 공실률이 20%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수원 N부동산 관계자는 경기가 위축돼 빈 사무실과 임대 현수막이 없는 건물이 없을 정도라며 1년 이상 비어있는 매물만 수십여건으로 오피스 경기는 IMF 이후 최악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서판교 입주민 “장보러 분당 가요”

주변에 마트가 없어서 분당 서현까지 버스를 타고 갑니다.성남 서판교는 입주 1년여가 지나 입주율 90%를 훌쩍 넘었지만 생활기반시설이 인근 동판교에 비해 극도로 부족해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21일 오전 서판교의 중심도로인 운중로(판교동주민센터~리가4단지 아파트) 일대.운중동주민센터 인근 중심상가에 위치한 단독 상가들(40여개)은 70% 정도 완공됐지만 상가 대부분이 텅텅 비어 있었으며, 중국요리와 매운탕 전문점 각각 1개와 소규모 식료품점이 전부였다.주상복합상가와 대형상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대부분 건축공정이 10여층 안팎으로 올라간 상태지만 입점해 운영 중인 곳은 휴먼시아 1단지내 2~3곳에 불과했다.또 운중로 일대에 짓고 있는 10층 이상의 대형상가들은 ○○병원, ○○은행 등 입점 예정이란 현수막만 걸어놓은 채 영업하는 곳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학부모들의 최대 관심사인 학원도 운중로 주변에선 단 한곳에 불과했다. 그것도 지난달 오픈했는 지 5월 학원 오픈이란 현수막을 건물 전체에 길게 내걸고 있었다. 이처럼 부족한 기반시설에 서판교 일대에 입주한 8천700여가구의 주민들은 생활편의시설 이용은 꿈도 못 꾸는 실정이다.이 같은 상황은 판교지역의 당초 상업용지비율이 1.4%로 낮은데다 토지사용 승낙 시기가 대부분 지난달 4월에 이뤄져 아파트 입주시기와 엇박자가 났기 때문이다.이와 함께 고분양가와 상권형성 불확실성 등에 따라 40%대 미만의 저조한 상가분양률도 한몫하고 있다.판교원풀에버 인근의 한 공인부동산중계사는 부동산경기침체로 상가투자자가 줄어들면서 주민들의 편의시설인 상가가 속속 입점하지 못하고 있다며 1~2년 사이 대형복합상가가 완공되면 사정이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