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에 대한 일괄적인 자본금 감자(減資) 계획이 알려지자 우리사주 및 일반사주 등이 부실의 책임을 소액주주에게까지 묻는 것은 부당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5일 한투·대투 등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대한투신의 자본금(각각 2천억원)을 최저 100억원 수준(20분의 1)으로 감자한 뒤 한투 2조원, 대투 1조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할 방침인 가운데 금융기관과 소액주주 구분없이 일괄 감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우리사주 및 일반주주 등 소액주주들은 이에 대해 그동안 주주권행사에서 철저히 소외당해 온 소액주주에게 부실의 책임을 물어 동일하게 감자를 단행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호소문을 배포하고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우리사주를 보유한 임직원 등은 상장회사와 달리 재테크의 개념이 아닌 회사살리기 차원에서 우리사주를 보유하게 된 만큼 소액주주를 보호하는 방안이 마련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모씨(34·안양)의 경우“지난해 10월 중간정산된 퇴직금으로 우리사주 8천주를 샀다”며“애사심에서 우리사주를 보유한 것이 퇴직금마저 날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까봐 큰 걱정”이라며 하소연했다. 현행 금융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는 부실에 책임이 있는 특정주주에 대해서는 소유주식의 일부나 전부를 유상 또는 무상으로 병합해 자본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돼 있다. 한편 양 투신사의 소액주주 구성은 한국투신 20.77%(우리사주 12%, 일반주주 8.76%), 대한투신 22.44%(우리사주 11.44%, 일반주주 11%) 등이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자동차 연식변경을 앞둔 연말이 다가오면서 중·대형 승용차를 중심으로 중고차가격 하락폭이 커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중고차시장에서 매물부족으로 가격 강세가 지속되던 RV의 경우 정부의 내년 LPG 및 경유가격 인상 방침이 결정되자 수요가 줄면서 차량가격이 약세로 돌아서고 있다. 5일 경기지역 중고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가을철 중고차시장의 비수기가 지속되면서 성수기인 지난 6∼9월에 비해 전반적으로 거래가 위축된데다 자동차 연식 변경을 앞둔 연말이 다가오면서 중고차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수원시 권선구 평동 수원자동차경매단지를 비롯 수원 영통자동차 매매단지 등 경기지역 대부분의 중고자동차 매매단지의 경우 성수기인 지난 6∼9월에 비해 거래량이 20∼30%정도 줄어든데다 연식변경으로 중고차가격이 10∼20%정도 떨어졌다. 소나타Ⅲ 2.0 98연식 오토차량의 경우 지난 9월 780만∼800만원이던 것이 50만원정도 떨어진 가운데 730만∼750만원에, 아반테 1.5 98연식 오토는 650만∼680만원이던 것이 620만∼63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뉴그랜저 2.5 98연식 오토차량도 지난 9월 1천750만∼180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으나 100만원정도가 떨어진 1천650만∼1천700만원에, 뉴 포텐샤 2.5 98연식도 100만원이 떨어진 1천6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형차인 아토스 벤처 98연식 오토차량은 지난 9월 450만원에 거래가 이뤄졌으나 30만∼40만원이 하락한 410만∼420만원에 거래가 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매물부족으로 가격 강세가 지속되던 RV인 카니발 98연식의 경우 20만∼30만원이 떨어진 1천470만∼1천480만원에, 갤로퍼 97연식도 30만원이 하락한 1천7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중고차업계 관계자는“연식변경과 연말 신차업계의 무이자할부제도 실시 등으로 중고차 구매 수요가 신차로 이동되면서 중고차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중고차시장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컴퓨터 보급증가와 인터넷사용이 늘면서 각종 정보와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고기능 프린터를 구입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특히 최근의 국민PC 구입열기가 높아짐에 따라 필수장비로 인식되던 프린터에 대한 수요도 동반 상승해 업체마다 10만원대 보급형과 20만원대 권장형 컬러프린터 위주의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고 고객끌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구매고객입장에서는 다양한 제품속에 자신이 사용하는데 적합한 프린팅 출력속도와 출력물 종류, 합당한 가격대를 비교하고 구입해야 프린터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알뜰한 소비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프린터의 유형 및 가격대에 대해 알아본다. ◇업계동향 국민PC가 인기를 끌고있는 가운데 주변기기 시장도 판매가 늘고 있는 등 동반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엡손, 한국HP, 롯데캐논, 삼성전자 등 주요 잉크젯프린터 공급업체들은 최근 인터넷 홈페이지 웹문서를 더욱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잇따라 출시하면서 초저가 국민PC 시장과 연계해 본격적인 판매경쟁에 돌입했다. 인터넷프린터는 인터넷출력기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해상도가 낮은 그림을 고해상도로 변환해 주거나 원하지 않는 배너광고를 자동적으로 삭제해주는 등 웹문서 출력기능을 대폭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인터넷프린터는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해 지금까지 시장을 주도해 왔던 사진출력용 포토 프린터와는 다른 독자적인 시장형성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여기에 정부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초저가 국민PC보급 방침과 맞물려 폭발적인 시장확대가 예상돼 시장선점을 위한 업체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이다. ◇가격대로 알아본 프린터 종류 모든 업체가 공식적인 가격할인 및 사은행사를 하지 않고 있으나 대형 유통망을 통해 현금가 할인판매에 나서고 있는 등 일선 판매점별로 가격차이를 보이고 있어 비교구매가 필요하다. ▲보급형 10만원대의 최저가로 컬러출력물이 가능한것이 큰 장점으로 출력속도가 흑백은 4∼5PPM(1분에 4∼5장), 컬러물은 1분에 1∼2장내외이다. 인기있는 제품으로는 HP의 데스크젯610C, 롯데캐논BJC-2000SP, 엡손의 스타일러스칼라 440H, 삼성의 마이젯MJC-900G 등이 있다. ▲권장형 보통 20만원대 가격대를 유지하는 컬러잉크젯프린터로 출력속도가 흑백일 경우 5∼6PPM(1분에 5∼ 6장)으로 HP의 데스크젯710C, 엡손의 스타일러스 컬러640H 등이 있다. ▲고급형 30만∼40만원대의 고급형 컬러잉크젯프린터로 컬러출력속도의 경우 흑백출력에 못지않는 5PPM(1분에 5장)이상으로 사무용 및 그래픽출력이 많은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HP의 데스크젯880C, 스타일러스포토750와 롯데캐논의 BJC-7100 등이 수요가 많다. ▲레이저프린터 사무실 등에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많은 이용자가 보다 빠른시간에 많은 흑백출력물을 원하는 경우라면 50만∼60만원대의 레이저프린터가 적합하다. 제품으로 HP의 레이저젯 1100시리즈, 삼성의 라제트ML 5000A 등이 있다. ◇포토 잉크젯프린터 구매요령 인터넷의 일반화로 사진자료를 주고 받는 사례가 늘어나고 일반인들도 사진과 일반 자료를 함께 출력하려는 욕구가 증폭되면서 매니아를 중심으로 가격대가 보급 및 권장형제품보다 조금 높은 컬러포토 잉크젯프린터를 구입하려는 수요 또한 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프린터업체들이 제각기 자사제품의 강점을 내세울 뿐 포토 프린팅의 사양과 기능은 대충 표시하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구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부업체의 경우 프린터해드가 소모품인데도 불구하고 사전 고지하지 않고 있을 뿐만아니라 일반 컬러 잉크젯프리터를 마치 포토 잉크젯프린터처럼 광고하는 사례도 있다. 또 대부분의 업체들이 프린팅 속도를 절약모드 기준으로 표시하는 등 과대 포장광고를 하고있어 특별히 유의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 있다./심규창기자 kcshim@kgib.co.kr
LG백화점 구리·부천점은 5일부터 매주 금·토·일요일을 ‘김장담그는 날’로 정해 시가보다 매일 배추 500통씩을 50% 저렴하게 판매하는 행사를 개최한다. 이와 함께 주부들의 입맛에 따라 김치를 즉석에서 담가주는 ‘즉석 김장김치’행사도 실시하는 등 김장젓갈시장도 개설한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삼성전자 수원사업장(대표이사 문병대)은 4일 사내 협력회사와 공동으로 소방기술 배양, 화재예방 활동을 위한 전사원 소방경진대회를 가졌다. 총 16개 팀 250여명이 참가한 이날 대회는 소화기를 사용한 유류진화경기와 소화전을 이용한 목재화재 진화훈련으로 진행됐으며 MVP 2개팀에게는 수원 남부소방서장상이 수여됐다. 또 삼성 3119구조단의 유압전단기 등 첨단진화, 구조장비에 대한 시범훈련이 있었고 ‘1가정 1소화기 갖기운동’의 하나로 이날 대회 참가자들에게는 소화기 1대씩이 기증됐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를 동절기 화재예방 강조기간으로 정하고 각종 화재예방 활동을 전개키로 했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사회복지법인 장애인근로시설 무궁화전자(대표 김학묵)는 4일 창립 5주년을 맞아 2000년 자립경영 구축의 해로 도약할 것을 선언했다.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에 소재한 무궁화전자는 지난 95년 234억원을 투자해 출발, 95년 6억8천만원의 총매출액에서 올해 69억4천만원으로 10배 이상 신장했고 원가절감 및 낭비제거 등 경영혁신운동을 통해 97년부터 3년간 7억9천만원을 절감, 적자 규모를 1억2천만원 줄이는 등 독자생존의 기반을 구축해 왔다. 무궁화전자는 현재 유무선 복합전화기 월 12만대, 핸드폰 충전기 월 7만대, 핸디형 청소기 월 1만대를 생산하고 있고 국내판매 뿐만 아니라 해외수출에도 주력하고 있다. 특히 핸디형 청소기는 장애인 공장으로서는 국내최초로 지난 4월 5천300대를 처음으로 수출한 이래 매월 1만대 이상을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 수출하고 있다. 전 사원이 장애인인 무궁화전자는 주1회 이상 외부강사를 초빙, 재활의지를 돕고 있고 매월 1인당 2천원씩을 모아 수원소재 중학교 결식아동들을 돕고 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과천시는 자동차 등록대수중 승용차비율 1위, 1인당 지방세 부담액 2위, 숙박업소 최저, 교사 1인당 유치원 원아수가 가장 많게 나타나 독특한 지역문화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통계청 경기통계사무소가 발표한 시·군·구 주요통계 지표는 다음과 같다. ▲면적·인구=면적이 가장 좁은 곳은 부산 중구이며 다음이 인천 동구, 대구 중구순으로 나타났고 98년말 현재 주민등록인구는 성남시가 가장 많고 인구밀도는 서울 양천구가 ㎢당 2만7천852명으로 가장 높고 반대로 강원 인제군이 21명으로 가장 낮았다. ▲노령화지수=98년말 현재 0∼14세까지의 연소인구를 100으로 했을때 65세이상의 노령인구 비율을 나타낸 노령화 지수는 도시지역이 군단위 지역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가장 낮은 곳은 울산 동구로 9.4, 울산 북구가 11.2, 창원시와 안산시가 각각 12.2로 나타났다. ▲광공업=97년말 현재 사업체수는 부천시가 3천695개로 가장 많고 월평균 종사자수는 안산시가 9만5천190명으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사업체수와 종사자수는 비교적 많으나 생산액은 안산시가 14조7천270억원으로 4위에 그치는 등 상대적으로 적어 생산액 규모가 적은 사업체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97년말 현재 종사자수 5인이상 광공업 사업체수가 가장 많은 곳은 부천시이며 부산 사상구, 인천 남동구, 서울 중구, 인천 서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액은 울산 남구, 구미시, 안산시 등으로 나타났다. ▲은행점포, 음식점, 숙박업체=98년말 기준으로 은행점포수는 고양시에서 많이 줄었으며 일반음식점은 수원시가 1만64개로 가장 많았고 숙박업체가 많은 곳은 성남시로 조사됐다. ▲지방세징수액·재정자립도=98년 지방세 징수액은 서울 강남구에 이어 서울 중구, 수원시, 서울 서초구, 성남시 등이며 재정자립도는 서울 강남구가 96.8%로 가장 높고 서울 중구 96.4%, 과천시 96.3%, 고양시 94.1% 순으로 나타났다./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경기도는 내년부터 중소기업육성기금 지원대상을 그동안 제조업·유통업에 한정해 오던 것을 건설업, 서비스업 등 모든 업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구조조정자금, 유통구조개선자금 등을 통합, ‘창업 및 경영개선사업’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도는 4일 “지역경제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업체의 특수성을 감안, 지원대상업종을 확대하기로 했다”며 “특히 21세기 서비스산업화 시대를 맞아 서비스업 등 전업종에 중소기업육성기금중 운전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융자규모가 1천681억원에 달하는 중소기업 운전자금은 현재 공장등록업체로 제조업 전업률이 30%이상인 업체, 경기도지사가 정한 경기명주 제조업자 등에 한해 업체당 3억원 이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도는 또 1조원 규모에 달하는 중소기업육성기금이 구조조정자금, 운전자금 등 11개 분야로 나눠져 있어 자금간 수급불균형이 계속되자 이를 통합,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구조조정자금, 유통구조개선사업 등으로 나눠져 운영돼 오던 것을 ‘창업 및 경영개선사업’으로 통합, 운영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자율적 자금운영을 위해 지원자금의 일부는 지역특화사업 공동사업비, 소호(SOHO)창업자 사무실제공사업비 등으로 투자 또는 융자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정부도 중소기업육성기금 등에 대한 지원대상을 전 업종으로 확대하기로 했고 유사한 자금은 통합, 탄력적으로 운영토록 하고 있다”며 “도는 정부와의 자금운용 기조를 맞추기 위해 업종 확대와 기금을 통합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국제유가 인상으로 인해 농업용 면세유가 지난해보다 30%이상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 시설원예농가들의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석유수출기구의 감산합의가 지속되고 있는데다 동절기에 원유가격이 오르는 계절적 요인이 있어 가격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IMF체제 직후 농가들이 난방비 등의 부담때문에 영농을 포기했던 상황이 재연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4일 시설채소 및 화훼농가들에 따르면 국제유가 상승여파로 국내 기름값이 오르면서 농업용 면세유 1ℓ당 판매가격이 경유 378원, 보일러등유 403원으로 지난해동기 315원과 300원보다 각각 20%와 34.3%가 올랐다. 고양에서 1천여평 하우스에서 장미와 국화를 재배하는 김진우농가(41)의 경우 동절기인 11월중순부터 3월말까지 경유 6만ℓ를 사용하고 있어 현재의ℓ당 378원일때 2천268만원의 난방비가 소요돼 지난해 1천890만원보다 무려 378만원의 난방비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고추를 재배하는 최종삼씨(43)의 경우도 태양열을 이용해 난방비용을 30%로 절감하고 있지만 이 지역의 면세유 가격이 385∼400원으로 올 겨울에 사용될 면세유비용이 1천700만원이 예상돼 지난해 1천200만원보다 무려 500여만원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여 난감해 하고 있다. 특히 시설채소와 화훼농가들의 경우 난방비가 생산비의 30∼40%를 차지하고 있어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최종삼씨는 “면세유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연료비가 적은 엽채류 등으로 전환을 하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고 과채류를 계속하자니 생산비 부담이 되는 등 어려운 실정이며 동절기만 되면 더오르는 면세유가격이 더 이상 오르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한국토지공사는 지난 1일 국내 최초로 토지를 할부판매하고 앞으로 수납 될 토지매각대금(매출채권)을 담보로 2천632억원 규모의 토지매출채권 ABS(자산유동화증권)를 발행, 발행당일 전액 판매된 것으로 나타나 관련업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까지 은행대출채권이나 카드론, 자동차 할부채권을 대상으로 한 ABS는 발행된 바 있으나 부동산을 매각하고 발생한 매출채권을 담보로 ABS를 발행하기는 토공이 처음이다. 토공은 이달안에 3천억원, 12월중에 5천억원 규모의 ABS를 추가 발행하며 내년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도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토지매출채권 ABS에 대해 구체적 내용을 알아본다. ▲발행개요(담보자산, 발행규모 및 종류)=이번 토지매출채권 ABS에 담보된 유동화자산은 토지공사가 조성용지를 팔고 수납할 할부매출채권 중에서도 연체가 없는 초우량자산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그만큼 회사채를 비롯한 여타 ABS에 비해 담보자산이 안전해 원금 및 이자회수가 확실히 보장된다는 얘기다. 총 2천632억원 규모의 토지매출채권 ABS는 2천450억원의 선순위채와 182억원의 후순위채로 발행했는데 선순위채 2천450억원 중 1년만기 채권이 1천100억원, 2년만기가 950억원, 3년만기가 400억원 등 3종류로 나누어 발행했다. ▲발행금리 및 수익성=발행금리는 발행일 전일(10월 30일)의 한국증권업협회가 고시하는 3년만기 회사채 유통수익률을 기준으로 하여 1년채는 0.3%, 2년채는 0.15%, 3년채는 0.05%를 각각 차감한 금리로 발행된다. 회사채 금리수준의 확정금리가 지급되므로 은행예금이나 국공채 보다 나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투자자 보호장치=담보자산이 지금까지는 연체가 없는 우량 매출채권이라지만 앞으로 토지매수인이 제때에 토지대금을 납부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투자위험성을 보완하기 위해 토지공사는 몇가지 보호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우선 원리금지급시 후순위로 지급되는 182억원 어치의 후순위채를 토공에서 전량 매입하여 선순위채 원리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할 수 있는 여유폭을 두었다. 또 실제로 연체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상환자금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 토지공사는 주택은행과 900억원 한도의 대출약정을 통해 일시 부족자금에 충당함으로써 원리금 상환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이때문에 이번 ABS와 관련된 담보자산에 대한 평가에서 한국신용정보 및 한국기업평가 등 신용평가기관으로 부터 AA+ (더블 에이플러스)등급을 받았으며 투자자는 원금 및 이자를 떼일 우려가 전혀 없다는게 토공측의 설명이다. ▲발행방법=토공은 ABS가 이제 막 도입단계로 우리나라 ABS 시장이 아직 성숙되어 있지 않고 일반투자자들에게도 다소 생소한 만큼 이번에 발행하는 토지매출채권 ABS를 공모방식으로 하되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판매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계획=토공은 이와함께 이달안에 3천억원 규모의 토지매출채권 2차 ABS와 12월에 5천억원 규모의 기업토지 2차 ABS를 추가로 발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토지공사는 지난달 5일 성공리에 발행한 바 있는 5천500억원 어치의 기업토지 ABS를 포함해 올해에만 모두 1조6천억원 규모의 ABS를 발행하게 돼 앞으로 ABS시장에 큰 손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전망이다. 이와관련 토공의 한 관계자는 “금융시장이 어려운 가운데 발행 당일 전액판매된 것은 그만큼 수익성이 보장되고 안전하기 때문”이라고 평가하고 “내년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