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의 고율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희토류 수출 제한에 나섰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달 4일부터 중희토류 금속 6종과 자석 수출을 제한했다. 해당 금속은 전량 중국에서 정제되며, 관련 자석의 약 90%도 중국이 생산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일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보복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는 이들 품목의 수출에 특별 허가제를 적용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허가 시스템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NYT는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면 미국 군수업체를 포함한 주요 산업체들이 희토류 공급에서 사실상 영구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드론, 인공지능 서버, 스마트폰 배터리, 제트엔진, 우주항공 장비 등 첨단 기술 제품의 핵심 부품으로 쓰인다. 2010년 일본과의 외교 갈등 당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단을 겪은 일본은 현재도 1년 이상의 재고를 비축하고 있지만, 미국 기업은 이에 대한 대비가 거의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미국 최대 희토류 기업 MP머티리얼즈의 제임스 리틴스키 회장은 "드론과 로봇이 미래 전쟁의 핵심인 만큼, 희토류 공급망 차단은 심각한 위협"이라고 우려했다. NYT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이미 2019년 간저우 희토류 공장을 방문해 전략 자원 통제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며, "그때는 경고였지만, 지금은 실제 행동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국제
민현배 기자
2025-04-14 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