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무역 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오는 주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공식화하며, "먼저 협상에 나서는 국가일수록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지난주 베트남, 이번 주 수요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 협상이 예정돼 있다"며 “협상은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본이 협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점과 관련해 “동맹국들에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협상에 먼저 나서는 국가가 더 나은 조건을 얻는 경우가 많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일본은 오는 16일 미국과의 협상을 앞두고 있으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급하게 협상을 마무리할 생각은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종료되기 전에 여러 국가들과 ‘원칙적 합의(agreement in principle)’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실제 무역협정 형태가 아닐 수는 있지만, 기본적인 방향에 대한 합의를 먼저 한 뒤 그에 따라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통적인 무역협정보다 단순하고 빠른 합의를 선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베선트 장관은 "반도체와 의약품과 같은 핵심 분야에는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특별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며,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은 일시적으로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향후 반도체 품목별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
한편,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의 케빈 해싯 위원장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발표 이후 10개 이상의 국가가 미국에 ‘놀라운’ 무역 제안을 해왔다”고 밝히며,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무역 전략이 일정 부분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국 정부가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 등을 우선 협상 대상국으로 설정하고, 베선트 장관이 이들 국가의 당국자들과 이미 접촉해 왔다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무역 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등 주요 품목에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며, 트럼프 대통령도 주요 협상에 직접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