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대, '트럼프 정책' 첫 반기…90억 달러 포기하나

image
미 하버드대 입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압박에 반기를 들었다. 트럼프 정부가 주요 대학들에게 재정 지원 중단을 압박하며 대학 운영에 개입하는 조치를 불법으로 규정하며 거부한 것이다.

 

14일(현지시간)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보내는 글에 "우리 대학은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놓고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 어떤 정부도 사립대학이 무엇을 가르칠 수 있는지, 누구를 입학시키고 고용할 수 있는지, 어떤 연구와 탐구 분야를 추구할 수 있는지 지시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이어 가버 총장은 "미 정부에서는 우리에게 반유대주의에 맞서기 위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관련 활동은 "적법한 절차를 무시하고 있으며, 대부분 대학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규제를 의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하버드대는 정부 요구를 직접적으로 거부한 첫 번째 대학이 됐다.

 

앞서 미 당국은 하버드대와 맺은 2억5천560만 달러(3천800억원 상당) 규모의 계약과 87억 달러(12조8천억원 상당) 규모 보조금 지급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학교 측에 통보했다.

 

당시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은 "하버드대는 여러 세대에 걸쳐 아메리칸드림의 상징이자 열심히 공부해 입학 허가를 받으려는 전 세계 학생들에게 포부의 정점이 돼 왔다"면서 "반(反)유대 차별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지 못해 하버드대의 평판이 심각한 위협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연방 정부가 지난 11일 하버드에 보낸 서한에는 대학 운영 전반에 전례 없는 수준의 통제를 부여하고, 대학을 근본적으로 재편하기 위한 조치들이 포함돼 학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대학의 핵심 운영 원칙을 침해하는 내용들이 포함돼 있었다. 

 

한편, 컬럼비아대는 지난달 4억 달러(약 5천686억 원)의 연방 지원이 중단되자, 정부 압박에 굴복해 중동학과를 특별 감독하고 36명의 특수 요원을 투입해 캠퍼스에서 체포, 퇴거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바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