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캠퍼스건립 협약 중앙대 행보에 안성시 배신감

중앙대와 인천시가 중앙대 인천캠퍼스 건립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하자 안성시가 발끈하고 나섰다. 특히, 안성시는 인천시와의 이번 기본협약 체결은 지난 2010년 안성시와 중앙대가 상생발전협의회를 발족하고 상호 협력키로 한 것에 대해 위배되는 처사라며 중앙대 측의 해명을 요구했다. 30일 안성시와 중앙대 등에 따르면 중앙대는 지난 13일 인천시와 중앙대 인천캠퍼스 및 캠퍼스타운 건립을 위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안성시는 중앙대와 인천시의 기본협약 내용 중 △안성캠퍼스 6천명과 중앙대 병원 신축 시 2천명 예측 내용 △건립비 조달을 위해 안성캠퍼스 처분 내용 △상생협의 시 안성시민과 관련 있는 보도자료는 상의 후 게재 미이행 등 3개 항에 대해 중앙대 측에 질의했다. 시의 질의에 중앙대 측은 공문을 통해 △공식적 확정된 내용은 아니며 △건립비를 조달할 수 없다는 내용이 와전된 개인적 의견 △상생협의회와 지키지 못한 내용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답변했다. 이어 중앙대 측은 기본협약으로 변경됐지만 실질적인 추진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앞으로도 안성시와 중앙대가 상호 발전을 위해 긴밀한 협력과 논의의 기구로서 많은 역할과 책임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중앙대는 인천시와 2010년 신 캠퍼스 유치 양해각서 체결 후 2012년 5월 협약서를 변경했으며 최근 실시협약을 체결한다는 조건으로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시 관계자는 중앙대 측의 해명이 궁색해 안성시민은 물론 행정기관과 상생협의회 등에 불신을 키우고 있다면서 중앙대의 해명을 전적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 만큼 계속 지켜 볼 것이라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ark@kyeonggi.com

신중부변전소 후보지 ‘안성’ 누구 맘대로… 시민·사회단체 등 10만명 서명 열기

한국전력공사가 신중부변전소 입지 후보지에 안성을 포함시킨 데 대해 안성지역 사회단체와 행정기관, 시민들이 이에 반대하는 10만명 서명 운동에 돌입했다. 27일 안성시와 대책위는 한전이 765㎸급 신중부변전소 입지 후보지로 안성을 선정한 데에 반대하는 내용의 서명운동에 돌입하고 지역 행사장 등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입지 후보지에 대한 한전 결정의 부당성을 알리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서명 운동 10일 만에 안성시민 절반이 서명에 참여하는 등 한전의 신중부변전소 입지 후보 철회에 대한 열기가 지역 내에 달아 오르고 있다. 특히 사회단체와 행정기관, 각 읍면동, 이장단 등 도심거리와 마을 곳곳에 현수막을 내걸고 금광면 신중부변전소 입지 후보지 철회를 촉구하고 있으며 대책위는 내달 7일 서울 강남구의 한전 본사 앞에서 1천20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대적인 집회를 열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한전의 신중부변전소 입지 후보 선정에 반발해 지역사회 단체와 15개 읍면동 통이장들이 서명을 주도해 18만여명 중 50% 이상 시민의 서명을 받았다며 이달 말까지 서명 운동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ark@kyeonggi.com

한경대-카메룬 창 대학 농업개발 협약 체결 카메룬에 선진 농업기술 노하우 전수

한경대학교가 카메룬과 농업개발과 무상교육 지원을 위한 협력 구축에 나섰다. 한경대는 최근 태범석 한경대 총장<사진 왼쪽>과 카메룬 국립 창(Dschang) 대학(총장 Mr. Anaclet Fomethe)이 대학교류와 농업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카메룬 현지에서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양 대학은 △학생과 교수 교환 △농업 공동연구 △학생 무상교육을 한경대에서 진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협약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농촌개발 사업에 대한 기법을 전수받으면서 농업교류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태 총장과 방문단은 협약을 마친 후 카메룬 한국대사관이 주최한 워크숍에 참석, 농업기술협력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등 다양한 교류사업을 벌여 눈길을 끌었다. 태 총장은 창 대학은 농과대학이 개설된 유일한 카메룬 내 대표 국립대학이다고 설명한 뒤 농업이 살아야 국가가 부강한 만큼 한경대의 농업개발사업 노하우를 전수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경대는 카메룬 중부지역 Avangan 마을에서 농기계 보관창고를 준공하고 현재 공사 중인 기계화단지의 시범 포에서 첫 수확을 앞두고 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ark@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