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24일 한국형 거대언어모델(LLM)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다. 네이버는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 23'을 개최하고 하이퍼클로바X와 이를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연동해 필요한 기능을 호출할 수 있는 '클로바 X', 검색에 특화해 개발된 대화형 AI 서비스 '큐:'(Cue:)를 선보였다. 최수연 대표는 '모두의 기술 경쟁력, 네이버 AI'라는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생성형 AI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며 '하이퍼클로바X 소개에 나섰다. 최 대표는 "하이퍼클로바X 개발을 위해 영업수익의 22%를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했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했다. 자체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도 한몫했다"고 밝혔다. 이어 "(네이버가) 다양한 AI 기반의 추천 기술을 검색을 포함해 쇼핑, 예약, 리뷰, UGC(사용자 제작 콘텐츠), 지도, 동영상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며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용성을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생성형 AI와 이에 기반을 둔 다양한 기술 프로덕트들의 중심에는 사용자, 판매자, 창작자의 경쟁력 향상에 있다"며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장을 이끌고, 이는 다시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다. '하이퍼클로바X'는 이러한 위닝루프를 더욱 가속할 것"고 전했다. 현장에선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AI 서비스 '클로바X', 생성형AI 검색툴 '큐(CUE):'도 함께 공개됐다. '클로바X'는 이날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고, '큐:'는 다음달 중 선보일 예정이다. '클로바X'는 창작, 요약, 추론, 번역, 코딩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형 AI 서비스로, 질문과 답변이 연달아 이어지는 멀티턴(multi-turn) 대화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맞춤형 식단 구독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으니 투자 제안서를 써달라'고 질문하면 클로바X는 서비스 소개, 서비스의 특징과 장점, 시장·경쟁사 분석, 서비스 목표와 계획, 예상 수익 등으로 초안을 만든다. 또 신입 공채 면접 리허설을 요청하면 자기소개, 지원동기, 직무 관련 경험 등을 클로바X가 잇달아 질문하는 멀티턴 대화를 생성하기도 한다. 큐:는 복합적인 의도가 포함된 복잡하고 긴 질의를 이해하고 최신 정보를 활용한 답변을 내놓는다. 가령, 사용자가 '주말에 분당에서 브런치하기 좋은 테라스 있는 식당 찾아줘'라고 질문하면 네이버 플레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적합한 식당과 주요 메뉴 및 특징에 대해 요약하고, 각 식당의 이미지와 영업시간, 리뷰 등 구체적인 정보들까지 한 번에 제공한다. 이와 함께 생성형 AI 프로덕트들을 적용한 검색, 커머스, 광고 등 네이버 주요 서비스들의 변화도 공개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꿈을 꾼다"며 "네이버와 함께하는 판매자, 창작자, 그리고 파트너사가 다양성을 지키며 성장할 수 있도록 강력한 기술과 서비스로 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AI 스타트업 생태계, AI윤리와 정책 등에 대해 논의하고 쇼핑, 웹툰, 금융, 검색서비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토론을 이어간다.
IT
장영준 기자
2023-08-24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