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판 물량공세’ 분양 안간힘

신규 아파트와 미분양에 대한 양도세 감면 혜택 종료일인 11일 분양업체마다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잔여물량 판매에 치열한 각축전을 벌였다.특히 미분양과 잔여분을 소진하기 위한 분양업체들은 실적이 뛰어난 타 업체의 상담원을 빼오거나 모델하우스에 현금지급기(ATM)까지 설치하는 등 막바지 뒷심을 발휘했다.영종하늘도시 힐스테이트 모델하우스는 현금을 바로 인출해 계약하려는 고객들을 위해 1층 입구에 현금지급기를 설치했다. 고객들의 마음이 바뀌기 전에 일분일초라도 시간을 단축시켜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한 업체의 자구책이다.또 경쟁업체의 우수 상담직원을 빼오는 극약처방도 불사했다. 계약 건수가 뛰어난 타사 상담직원이 입소문나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하며 모셔오기도 서슴지 않고 있다. 게다가 김포 한강신도시의 A건설사는 고객 유치를 위해 평소 20여명의 전화 상담 전문원을 5배인 100명으로 늘리는 등의 인해전술을 구사하기도 했다.이와함께 건설업계가 미분양 해소를 위해 진행하던 프리미엄 보장과 각종 혜택을 병행하면서 소비자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기도 했다.용인 성복자이는 5천만원의 프리미엄을 제시했고, 청라 신현동 e-편한세상은 잔금을 치를 경우 3.3㎡당 분양가를 1천170만원에서 1천30만원으로 할인해 주고 있다. 또 영종 힐스테이트는 계약금 비율을 10%에서 5%로 줄이기도 했다. 특히 고급 TV와 발코니 확장, 이중섀시 무료 설치 등의 물량공세와 비공식 혜택까지 덤으로 등장했다.김포의 한 모델하우스 관계자는 관심고객 5천여명에게 양도소득세 혜택 종료를 적극 홍보하면서 내방객들이 급증한 것 같다며 혜택이 종료된 이후 당분간 수요자들의 관심이 큰 폭으로 줄어들 것 같다고 말했다.이런 가운데 최근 한국주택협회 등 건설 관련 4개 단체는 주택경기 침체를 우려해 국토해양부 등 정부기관에 양도세 감면을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제출했고, 남양주의회도 지금택지개발사업 등에 양도세 감면을 골자로 한 공문을 정부에 전달하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3~4월 발표될 올해 1~2월 미분양 추이를 지켜본 후 재도입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이형복기자 bok@ekgib.com

"보금자리 비싸" 당첨 포기

보금자리 4개 시범지구 사전예약 당첨자의 7%인 930명이 스스로 당첨을 포기했다. '로또 아파트'로 관심을 모았던 강남권에서도 54명이 당첨을 포기해 보금자리 아파트의 가격이 서민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비싼 것 아니냐는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서민 지원 프로젝트라 할 수 있는 보금자리 주택 시범지구에 대한 사전 예약 결과 당첨 포기자가 무더기로 쏟아졌다. 하남 미사가 667명으로 당첨 포기자가 가장 많았고 고양 원흥이 209명, 서울 강남 30명, 서초 24명 순이었다. 하남 미사와 고양 원흥 지역의 경우 투자 가치에 대한 판단이 달라졌거나 다른 일반 청약 아파트를 노리기 위해 당첨 권한을 포기한 경우가 상당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강남권에서조차 보금자리주택 당첨 포기자가 발생한 것은 부동산 업계에서 뜻밖의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강남과 서초지구는 입지조건이 뛰어나 분양 후 차익 발생에 대한 기대감으로 청약 과열 현상을 빚은 곳이다.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강남권 보금자리주택 당첨 포기자의 경우에는 분양대금 납부 능력이 없어서라고밖에는 달리 설명할 길이 없다"고 말했다. 주변시세의 절반가격에 분양된다고 하집만 서울 강남서초 보금자리지구의 85㎡ 아파트의 분양가는 3억70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발코니 확장에 다른 비용까지 포함하면 4억원을 훌쩍 뛰어넘기 때문에 당첨자들은 금융기관 등을 통해 최소 2억원의 자금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30년 만기 원리금균등상환 형식으로 자금을 빌렸다면 연 6%이자만 따져도 한 달에 155만5556원을 꼬박꼬박 내야하는 형국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장 낮은 대출이율이 현재 6%대다. 만약 2억원을 대출받으면 매월 155만원 이상씩을 갚아야 하는데 서민들이 가능할지 의문"이라면서 "정상적인 생활을 하려면 급여가 400만원은 넘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서민들의 주택입주가 사실상 어렵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보금자리주택이 과연 서민들을 위한 집인가라는 의문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올해 분양하는 수도권 중소형아파트는 어디?

올해 분양되는 수도권 아파트 단지 가운데 중소형아파트가 있는 곳은 어디일까.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중소형아파트를 포함한 2010년 수도권 분양예정 단지는 총 1백 51곳으로 조사됐다. 이번 해에는 특히 위례 신도시와 2차 보금자리주택지구 등 무주택 세대주를 위한 중소형아파트가 대거 쏟아질 예정이다. ◈서울지역은 보금자리주택 + 재개발재건축 물량 송파구 위례신도시 보금자리주택 사전예약물량이 2월말로 예정돼 있지만 분양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번에 공급되는 2천4백가구는 전량 송파구 관내 물량이고 주택형은 76~115㎡로 모두 전용면적 85㎡이하다. 4월에는 강남 세곡2지구와 서초 내곡지구에서 각각 1천1백30가구씩 사전예약물량이 나올 예정이다. 보금자리주택 물량 이외에 서울은 재개발, 재건축 분양이 많아 중소형아파트 비중이 경기, 인천에 비해 높은 편이다. 삼성물산이 재건축한 진달래 2차는 4백64가구 중 83~113㎡ 24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전량이 중소형아파트고 상반기에 분양할 예정이다. 삼호가든1,2차는 1천1백19가구 중 80㎡ 47가구를 하반기 분양할 계획이다. 왕십리뉴타운1,2 구역은 4월과 하반기 중 일반분양이 계획돼 있다. 1구역(1천7백2가구)은 일반분양가구수 6백가구 중 83~114㎡ 4백87가구가 중소형아파트다. 2구역(1천1백48가구)은 5백9가구 중 80~110㎡ 4백21가구가 중소형 물량이다. 대우건설은 2월말 흑석4구역을 재개발해 8백63가구 중 77~162㎡ 2백11가구를 분양한다. 이 중 중소형아파트는 77~110㎡ 1백28가구다. 동부건설이 시공을 맡은 흑석6구역은 중소형이 110㎡ 1백15가구로 일반분양 물량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전농답십리뉴타운 내에 포함되는 전농7구역에는 삼성물산이 2천3백97가구 중 83~153㎡ 5백85가구를 상반기 중 분양할 예정이다. 중소형아파트는 83~110㎡ 3백54가구정도 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롯데건설은 금천구 독산동 424의 1번지 일대에 82~386㎡ 1천2백98가구 규모의 대단지를 연말 분양할 예정인데 이 중 전용면적 85㎡이하는 82~112㎡ 3백38가구다. ◈경기 남양주 별내지구 외에 대규모 단지 2차 보금자리지구 구리 갈매(2천3백48가구), 남양주 진건(4천3백4가구), 부천 옥길(1천9백57가구), 시흥 은계(3천5백2가구) 사전예약이 4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모두 무주택 세대주를 위한 중소형아파트들이다. 민간분양물량으로는 한화건설이 4월쯤 별내지구 A19블록에 112~115㎡ 7백29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서울과 별내지구 접경지역에 위치해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다. 우미건설도 A3-2블록에 111~148㎡ 9백2가구를 6월 분양 예정인데 중소형 물량은 111㎡ 4백31가구다. LH는 안양시 관양지구 B-1블록에 97~110㎡ 1천42가구를 상반기 중 분양할 계획이다. B-1블록은 지구 내에서도 가장 안쪽에 위치한 블록으로 단지 북쪽으로 관악산과 접해 주변 녹지율이 높다. 대림산업과 GS건설은 수원시 권선동 권선주공3단지를 재건축해 1천7백53가구 중 84~230㎡ 6백4가구를 4월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중소형아파트는 84~112㎡ 4백52가구로 일반분양 전체의 74%에 이른다. 의왕시 내손동 대우사원주택은 대림산업이 재건축을 통해 2천2백45가구 중 82~221㎡ 9백71가구를 일반분양한다. 광주시 오포읍 고산리 390의 2번지에 포스코건설이 114~186㎡ 2천68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분양시기는 상반기로 예정된 상태. 동탄1신도시 인근 화성시 반월동 일대에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올해 총 3곳이 분양될 예정인 가운데 모두 중소형아파트를 포함하고 있어 주변 산업체 근로자 수요들이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롯데건설이 반월동 111번지에 98~162㎡ 9백98가구를 6월 분양 목표로 준비 중인데 중소형은 98~109㎡ 5백59가구다. SK건설은 반월동 660의 1번지에 112~205㎡ 1천7백42가구 대단지를 6월 분양 예정이다. 두산건설도 11월 반월동 488의 1번지에 112~151㎡ 9백46가구를 분양하고 한라건설은 6월쯤 파주 교하신도시 A22블록에 78~170㎡ 8백23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신도종합건설은 7월 양주시 덕정동 417의 2번지에 109~129㎡ 1천38가구를 분양하고 이 중 중소형아파트는 109~111㎡ 8백74가구다. ◈인천 - 송도국제도시에도 중소형아파트 분양 예정 롯데건설과 한진중공업 컨소시엄으로 10월쯤 105~218㎡ 1천4백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중소형아파트 물량은 105㎡ 1천1백20가구다. 삼성물산과 풍림산업은 인천 부평구 부평동 부평5구역을 재개발해 1천3백81가구 중 80~149㎡ 5백79가구를 하반기에 일반분양할 예정인데 중소형물량은 4백61가구 정도가 계획돼 있다. 인천 계양구 귤현동 일대에는 동부건설이 109~175㎡ 1천4백25가구의 대단지를 8월경 분양예정이다. 중소형아파트는 109㎡ 8백93가구로 전체물량의 62%를 차지한다.

전세금 오르니 월세도 ‘껑충’

전셋값 상승 여파로 월세까지 덩달아 오르고 있어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도내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신학기를 맞은 대학가 주변 원룸과 이사철을 앞두고 월세가 성큼 뛰어 오르고 있다.수원 아주대 인근의 다세대 월세(30㎡)는 보증금 500만원에 30만~40만원선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원 가량 상승했으며, 용인 강남대 주변의 89㎡ 오피스텔의 경우 보증금 1천만원에 월세 50만원 수준으로 지난달에 비해 역시 10만원 정도 올랐다. 이 같은 사정은 최근 도내 대학가 주변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월세를 얻지 못해 2천만~3천만원대의 전세로 바꾸려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또 아파트 월세도 2~3주 전에 비해 오름세를 타고 있다. 하남 덕풍동의 금강KCC 107㎡의 월세는 65만~75만원(보증금 1천만원)으로 15만원 정도 올랐고, 부천 중동의 미리내삼성 69.42㎡도 10여만원이 오른 80만~90만원(보증금 2천만원)에 거래되고 있다.이처럼 월세가 전셋값에 연동해 오르고 있지만, 세입자들은 그나마 임대 물량이 풍부하지 않다 보니 울며겨자먹기식으로 계약을 연장하고 있다. 부천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전셋값에 따라 월세도 올라 부담이 크지만 물량이 워낙 없다 보니 훌쩍 오른 월세 가격에도 계약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월세 수요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상승세는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보금자리시범지구 당첨자 13% 부적격·당첨포기

보금자리주택 4개 시범지구의 사전예약 당첨자 가운데 전체의 80%인 10,397명만 적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13%인 1,725가구는 당첨을 포기하거나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7%인 837명은 부적격이 의심돼 서류 보완 요청을 받았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하남 미사와 강남 세곡 등 보금자리주택 시범지구 4곳에 당첨된 만 2,959명에 대한 서류 검증을 한 결과 930명(7%)이 당첨자 확인에 필요한 자료 등을 제출하지 않아 당첨을 포기했다고 10일 밝혔다. 또 795명(6%)은 주택소유, 당첨사실, 소득초과, 세대주 기간 미달, 노부모 부양기간 미달 등 청약자격을 충족하지 못한 부적격 대상으로 판명됐다고 덧붙였다. LH 관계자는 "사전예약이다보니 다른 일반 청약아파트에 곧바로 청약할 수 있고, 일부는 분양대금 납부 능력이 없어 당첨을 포기한 것 같다"고 말했다. LH는 부적격이 의심되는 837명(7%)에게는 주택소유 여부, 과거 재당첨 사실, 자격요건 서류 보완을 요청했다. LH는 적격자로 분류되지 않은 이들 2,562명에 대해서는 이달 16일부터 26일까지 추가 보완서류를 제출하거나 적격 사실을 소명하지 않을 경우 최종 부적격 및 당첨 포기로 처리할 방침이다. 부적격자 및 당첨취소 물량은 올해 10월께 실시될 본청약에서 공급된다.

지난해 강남지역 전세가 24% 상승

지난 한 해 서울 아파트 전세값이 무려 14%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지역의 상승률은 서울 평균을 훨씬 상회하는 24%에 달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으로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가는 3.3㎡당 696만원이다. 1년 전인 지난해 1월 초(609만원) 보다 14.12%나 올랐다. 구별로는 송파구의 전세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송파구는 지난해 1월 631만원에서 올해 2월 초 849만원으로 무려 31.97%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서초구가 23.68%(790만원996만원), 광진구 20.79%(630만원763만원), 강동구 19.15%(502만원608만원), 강남구 15.75%(928만원1074만원) 순으로 올랐다. 강남구와 송파구, 서초구 등 강남지역 3개구 평균은 지난해 초 2350만원에서 약 1년 만에 2921만원으로 24.2%나 상승했다. 수도권 아파트의 3.3㎡당 전세가는 같은 기간 340만원에서 365만원으로 7.77%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과천이 623만원에서 884만원으로 37.58% 올라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하남 26.55%(377만원478만원), 화성 24.59%(240만원302만원), 군포 16.13%(425만원479만원)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반면, 여주(-6.25%), 광명(-2.72%), 이천(-1.61%) 등은 하락했다.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에 인접한 지역에 전세수요가 몰린 셈이다. 신도시는 같은 기간 평균 523만원에서 553만원으로 6.93% 상승했으며, 평촌과 산본은 각각 7.24%와 7.21%의 상승률을 보였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