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운영하는 이동노동자쉼터 이용자가 지난해 37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24개 이동노동자쉼터를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총 37만여명이 이용하며 2023년(24만여명) 대비 이용자 수가 51% 증가했다. 이동노동자는 배달이나 대리운전기사, 택배기사, 학습지 교사 등 플랫폼에 소속돼 일을 하는 노동자로 이동이 잦은 업무 특성상 휴식시간이 불규칙적이고 휴식 장소가 따로 마련돼 있지 않아 쉼터 조성 필요성이 제기됐다. 도가 운영하는 쉼터는 넓은 공간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형(10개소)과 접근성과 간편한 휴식이 중점인 간이형(14개소)이 있다. 지난해 이용 통계를 보면 간이쉼터 이용률이 63%(23만여명)로 거점쉼터(37%, 13만여명)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도는 올해 역 광장, 상가 지역 공영주차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광명, 용인, 안산, 화성에 간이쉼터 4개소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쉼터 이용 편의성도 높인다. QR코드나 모바일 인증을 통한 출입관리시스템 자동화로 이용 절차를 간소화하고, 수집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해 운영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또 노동자들이 휴식 공간을 찾기 어려운 주말 및 심야 개방도 적극 검토 중이다. 도는 향후 쉼터를 노동 상담, 교육, 건강검진, 자조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역 인프라와 노동 관련 단체를 연계한 네트워크도 구축할 예정이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쉼터가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이동노동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복지와 지원이 함께 이뤄지는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과 확충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 거점형 쉼터는 수원, 성남, 광주, 하남, 시흥, 광명, 부천, 안양, 의왕, 포천 등 지자체에 10개소, 간이형 쉼터는 고양(2개소), 파주(2개소), 구리, 광명, 용인, 안산(2개소), 성남, 이천, 남양주(2개소), 화성 등 지자체에 14개소가 설치, 운영 중이다.
경기뉴스
이선호 기자
2025-03-25 1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