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하역작업 평택항운 노조원만 참여

경인항운노동조합 평택지부와 평택항운노동조합이 지난 3일 평택항 운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합의한 이후 첫 화물선이 입항했으나 하역작업에 평택항운 노조원들만이 참여하는 등 평택항 운영이 삐걱거리고 있다. 15일 인천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전 8시40분께 평택항운노조 조합원 8명이 투입된 가운데 현대석유화학㈜에서 생산한 합성수지 1천t을 평택항 일반부두에 접안한 캄보디아 국적 1천287t급 화물선‘M/V 앰버(AMBER)’ 호에 선적하는 작업을 벌여 오후 5시께 작업을 끝냈다. 이날 하역작업을 위해 평택항 운영회사인 평택항만㈜은 지난 13일 오전 10시 양측 노조와 전국항운노조연맹에 하역작업에 필요한 노무공급을 요청했었다. 그러나 평택항운노조만이 작업 참여의사를 밝힌채 경인항운노조 평택지부측은 현재 복수노조가 활동하고 있는 평택항의 노조 단일화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가 없는 한 당분간 노무공급을 할 수 없다며 이날 하역작업을 거부했다. 경인항운노조 평택지부는 현재 노조 단일화 작업중 선박 입항은 단일화 작업 추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동일 사업장에서 복수노조 불인정이 경인항운노조 등의 공식적인 입장임을 감안, 작업 참여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인치동기자 cdin@kgib.co.kr

주식열풍 안방까지 번져 주식미아 속출

최근 주식시장이 연일 종합주가지수 4자리수까지 오르내리는 호황을 누리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주식열풍이 안방까지 몰아치며 ‘주식미아’가 속출하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인 정모군(10·인천시 남동구 구월동)은 요즘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면 초인종을 누르는 대신 주머니에서 열쇠를 꺼내 들어간 뒤 점심까지 챙겨 먹어야 한다. 오전에 증권회사에 나간 어머니가 객장마감 시간인 오후 5시나 지나서야 집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정군이 사는 아파트 한 동에만도 주식시장에 어머니를 빼앗긴‘주식미아’가 무려 10여명을 넘고있다. 주식시장에는 눈길조차 주지않고 운동 등으로 여가활동을 해왔던 주부 민모씨(41·인천시 연수구 동춘동)도 요즘 주식투자 여부를 놓고 큰 고민에 빠져있다. 그동안 함께 운동을 했던 동우리들이 주식시장으로 몰려가면서 졸지에‘왕따’신세가 됐기 때문이다. 민씨는 “하루에 1백만∼2백만원을 벌었다는 주변 친구들의 자랑을 들을때면 혼자만 바보가 된 듯한 자괴감에 빠지기까지 한다”고 말했다. 실제 15일 오전 11시께 연수구 동춘동 D·H증권 객장에는 이같은 ‘아줌마 부대’가 초만원을 이루며 발디딜 틈도 없이 붐비고 있었다. 이와관련, H증권 펀드매니저는 “최근 주식시장에는 다소 거품현상이 있다” 며 “뚜렷한 소신없이 무작정 주식시장에 뛰어들면 자칫 낭패를 당할 우려가 높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원어민교사 교육현장 대거 떠나 대안시급

교육당국의 관련예산 부족 등으로 청소년들에게 국제적인 언어감각을 익혀주기 위해 일선 학교에 배치했던 원어민 교사들이 대거 교육현장을 빠져 나가 대안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5일 인천시교육청과 일선 학교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 96년 교육부 방침에 의해 외국인들을 어학(영어와 중국어) 지도담당 교사로 채용한 뒤 일선 학교에 배치한 원어민 교사는 지난해 전반기까지 40여명에 이르고 있다. 이들에 대한 보수는 영어 교사의 경우 160만∼200만원에 전세주택 등을 지원해주며, 중국어는 120만∼150만원에 하숙비 등이 지원된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이들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해 현재는 영어 5명에 중국어 3명 등 모두 8명만이 남아있다. 이는 교육부가 이들의 지도범위를 당초 학생지도에서 교사연수로 국한한 뒤 관련예산마저 삭감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학부모 김모씨(47·여·인천시 연수구 동춘동)도 “당국은 국제화시대라는 구호만 외치지 말고 학교에서 실질적으로 외국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가 원어민교사의 지도범위를 교사연수로 축소하는 바람에 지난해 말부터 이들이 대거 빠져나갔다. 서해안시대를 맞아 중국어 원어민교사는 확충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공산품도매시설 용도변경 시민단체 반발

인천시가 연수구 동춘동 926 일대 ‘공산품 도매시설’부지 5천600여평을 ‘대규모 점포시설’로 용도변경하려는 계획과 관련,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연수경제를 생각하는 모임(공동대표 이명우 김덕우)’ 은 15일 시에 주민 724명의 연명으로 도시계획시설 상세계획변경을 반대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의견서를 통해 문제의 부지는 당초 유통업무시설 용지로 남동공단내 3천100여 공장에서 생산되는 공산품을 도매·전시키 위해 마련됐음에도 시가 대규모 점포로 용도를 변경, 백화점이나 할인매장 건설을 유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 1월 현재 공시지가가 평당 208만원인 이 부지를 한국토지공사가 ㈜서부터미널에 평당 76만원의 헐값에 매각했는데 용도변경마저 할 경우 수백억원의 특혜가 서부터미널에 주어진다고 지적했다. 또 토지공사가 연수지구 185만평에 택지를 개발하면서 상업용지(중심·일반·근린)를 8%나 조성, 적정 상업용지 비율 2.4%를 이미 초과했는데도 상업지역을 추가 지정하는 것은 도시기능의 형평배치에도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수인전철 미설치로 일부 중심상업지구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백화점 등이 입주하게 되면 중소상인 수천명이 생존권을 잃게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와관련, 토지공사 관계자는 “도시기능 분배 연구와 도시계획입안공고를 통해 정상적으로 용도변경 절차를 밟고 있으며 지역상권을 배제하거나 매수자에게 특혜를 준 다는것은 있을 수 없는 일” 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