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농어촌 정비사업 ‘최우수’ 선정

안성시가 주민 삶 질 향상을 위해 추진한 농어촌 정비사업이 정부로부터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안성시는 지난해 역점시책으로 추진한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이 최근 농림수산식품부가 전국 120개 시군을 대상으로 벌인 평가에서 권역단위 지원사업과 기초생활 기반시설 지원사업 분야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이번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내년에 국비지원 예산과 함께 신규사업 선정시 다른 지역보다 우선적으로 지원을 받는 특전을 누리게 됐다. 시는 지난해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인 용설 권역에 43억원을 투입하고, 기초생활 인프라 정비사업인 원곡죽산사업에 54억원을 들여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했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농촌의 도로, 상하수도 등은 물론 복지, 문화시설을 통한 기초생활 환경기반을 정비해 지역 주민이 편안하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안성시가 정부로부터 받은 A등급은 사업 결과 계획의 적정성, 예산집행, 사업추진 역량, 사업성 등 29개 항목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안성=박석원기자 swp1112@kyeonggi.com

“LPGA 진출… 제2의 박세리 될래요”

하면 된다는 생각은 현실로 이뤄진다고 확신합니다! 건국대학교 골프지도전공 2학년에 재학 중인 박유라씨(21여). 그는 초등학교 4학년 때 태권도를 시작으로 스포츠에 입문했다. 부상을 우려한 친인척들의 반대에 부딪쳐 결국 6개월 만에 자신이 좋아하는 운동을 접고 우울함과 허전함에 힘들어하던 박씨는 5학년 때 우연히 집 인근 골프 연습장을 바라보며 나도 하고 싶다는 생각에 빠졌다. 그렇게 그는 12세의 어린 나이에 부모에게 매달린 끝에 허락을 받아내고서 처음으로 골프채를 잡았다. 당시 박씨는 학교 방과 후마다 연습장에서 살았다. 그러기를 2년, 양성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전문적인 골퍼로서 서서히 자리를 굳혀나갔다. 특히 2005년 한국 중고 골프연맹 주관 충주임페리얼컵 대회에서 처녀 출전으로 90타를 치는 기염을 나타내면서 무한한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슬럼프에 빠져 실망감과 골프에 대한 좌절감에 골프채를 놓기도 했던 박씨는 2학년 때 부모의 권유로 골프를 다시 시작하고 타이 골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기회를 잡았다. 이후 강한 집념과 일취월장한 자신의 실력을 되돌아 보며 입가에 밝은 미소를 지을 수 있었다. 박씨는 중3때 80대 초반을 치는 실력을 보였고 지금은 어느 대회에 출전하든 2~4오버파 기록을 내고 있다며 안성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고 KLPGA 정회원과 LPGA 진출로 제2의 박세리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안성=박석원기자 swp1112@kyeonggi.com

안성 기초수급자 할머니 전 재산 장학금 기탁

돈이 없어 공부를 못하는 학생에게 꿈을 주고 싶어요! 안성시 금산동의 기초생활수급자인 전영월 할머니(77)가 전 재산을 안성시 장학회에 모두 기부해 화제다. 전 할머니는 50여년 전 가정부 등 닥치는대로 잡일을 하면서 돈을 모으기 시작했다. 라면 장사는 물론 커피장사도 마다하지 않았다. 그러기를 40여년, 60세가 된 전 할머니는 겨우 집을 장만했지만 그동안 마음몸을 보살피지 않았던 탓에 허리를 다치는 중상을 입었다. 막대한 병원비에 전 할머니는 결국 집을 담보로 빚을 안게 되고 집을 팔아야 하는 시련을 겪었다. 게다가 고혈압과 당뇨병이라는 합병증 속에 지난 2007년 골다공증으로 왼쪽 넓적다리 관절이 부러지면서 또 다른 악몽을 겪어야 했다. 혼자서는 꼼짝하기도 힘든 상황에 애완견을 의지해 생활하던 전 할머니는 오른쪽 넓적다리 관절까지 부러지면서 현재 전혀 거동을 못하는 상태다. 언제 흙에 묻힐 줄 모르는 자신을 되돌아보며 전 할머니는 못다한 꿈을 대신 이뤄달라는 뜻을 남겼다. 젊은 시절부터 피땀 흘려 모은 전 재산인 전세금 2천500만원과 현금 1천만원을 안성시민장학회에 쾌척한 것. 장학회측은 전 할머니의 뜻을 받아 어려운 학생들에게 유용하도록 장학금을 사용하겠다며 나중에 할머니가 돌아가시면 장례를 모시기로 했다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swp1112@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