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집중호우 피해 응급복구 박차…복구율 36%

가평군은 계속되는 집중호우로 인한 시설피해 응급복구를 36% 완료하는 등 신속한 피해복구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지난 10일 현재 745곳의 피해지역 및 시설 가운데 266곳에 대해 응급조치를 완료했다. 제방 붕괴와 도로 토사 유실 등은 100% 응급복구가 진행됐고 산사태 및 주택 피해 등은 각각 55%와 45%가 응급 복구된 것으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1일부터 지역에 내린 폭우로 인한 피해는 산사태 100건과 도로 토사 유실 36건, 주택 피해 111건, 제방 붕괴 1건, 농업 피해 49건, 기타 448건 등 모두 745건에 이재민도 58명 발생했다. 군은 이에 따라 지난 4일부터 피해복구를 위해 자율방재단 등 8개 자원봉사단체 320여명과 군장병 1천860여명을 비롯해 급수차, 덤프, 굴삭기 등 장비 30여대를 동원해 수마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군은 지난 주말 공무원 450여명을 동원, 자라섬 중도와 남도 일원에서 호우로 떠내려 온 각종 쓰레기와 나뭇가지 및 토사 등 부유물질 제거하는 한편 11일에는 본청 7개부서 40여명이 동원돼 상면 원흥리 농경지(포도밭) 4곳에서 토사정리작업을 벌이는 등 수해지역 대민지원활동에 참여했다. 한편 군은 계속되는 폭우로 지반이 약해지고 산사태나 하천계곡 범람 위험이 예상됨에 따라 산사태급경사지 288곳, 저수지댐 3곳, 공사장 32곳, 둔치 및 제방도로 3곳, 배수펌프장 4곳 등에 대한 예찰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김성기 군수는 똑같은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고민하고 위험지역은 꼼꼼히 점검,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지역 봉사로 인생 2막' 가평군 자율방재단 이수영씨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철저한 방역활동은 물론 개인위생과 거리두기를 지켜야 한다. 가평군 자율방재단 이수영씨(63)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해 최일선에서 뛰며 주위의 귀감이 되고 있다. 그는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전 세계적는 물론 국내에서도 급격히 확산되자 가평군 자율방재단에 참여해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자율방재단에 참여하게 된 건 36여년간의 공직생활을 통해 배우고 익힌 각종 방역 기술과 노하우를 최대한 활용해 코로나19의 방역에 힘을 보태기 위해서다. 지역재난재해 구조활동도 책임감있게 수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 2월 대구 신천지 교회에서 확진자가 증가했을 당시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신천지 교회 일대에 대한 집중 방역 활동을 전개, 단 한건의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가평군을 만드는데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무엇보다 자율방재단이 방역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방호복을 비롯 보호안경, 위생장갑, 마스크, 분사소독기 등 방역물품을 지원받기 위해 가평군보건소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 원활한 물품지원으로 안전하고 신속한 방역을 할 수 있도록 기여했다. 아울러 최근에는 가평군 노인회에서 운영하는 노인일자리센터에 기간제 계약직으로 근무하면서 일자리를 찾는 노인들의 체온측정은 물론 소독약 배부와 마스크쓰기를 확인하는 등 근로 노인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이렇듯 평소 투철한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매사 솔선수범해 옥조근정훈장을 비롯 도지사 및 각종 표창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는 지난 2017년 36년의 공직생활을 마감하고 정년퇴직했다. 퇴직 후 지역사회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자율방재단 활동을 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달려가겠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가평군 대곡1지구와 행현1지구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지정

가평군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지구로 신청한 대곡1지구와 행현1지구 등이 경기도 지적재조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사업지구로 이달 4일자로 지정고시됐다고 9일 밝혔다.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지정 승인의 전제 조건은 토지주 총수의 3분의 2 이상과 토지면적 3분의 2 이상에 해당하는 토지주의 동의가 수반돼야 한다. 가평군은 이에 따라 사업지구 지정을 위해 실시계획을 수립하고 토지주 및 주민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운영하는 한편 직접 1대 1 방문해 설명하는 등 토지주 동의서를 받기위해 노력한 결과 토지주 69.1%와 토지 면적 74%의 동의서를 받아 지난 6월 경기도에 지구 지정을 신청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실제 현황과 일치하지 않는 지적공부 등록사항을 바로 잡아 토지경계 분쟁을 해소하고 토지의 활용도를 높여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와 국민의 재산권보호를 위해 시행하는 국책사업이다. 가평군은 지난 4월 한국국토정보공사를 지적재조사 측량조사 수행자로 선정, 대곡1지구와 행현1지구 등에 대한 현황측량 실시 및 토지주 입회 하에 지적재조사측량을 추진하고 있다. 가평군 관계자는 지적재조사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토지주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가평군 재난피해 예방ㆍ복구에 구슬땀…행정력 집중

가평군은 40여일 넘게 이어지는 호우피해 예방과 신속한 복구활동 등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가평군은 피해예방이 최선이지만 발생한 피해 신속 회복도 중요한 만큼 피해 주민 지원방안도 미리 준비해 즉각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가평군은 이에 따라 모든 공무원을 동원해 연일 산사태 급경사지 288곳, 저수지댐 3곳, 공사현장 32곳, 배수펌프장 4곳, 둔치 및 제방도로 3곳 등을 예찰하며 재난발생 시 주민들을 신속히 대피장소로 이동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 지역에는 이재민 22세대 48명이 발생, 각 마을회관에 대피하고 있다. 가평군은 이와 함께 유관 기관과 군부대 등과 협조해 지난 4일부터 피해가 심한 가평읍과 청평면 13곳에 장비 10여대와 364명이 투입돼 응급복구에 나서고 있다. 침수 피해를 입은 마을회관 2곳과 12가구 등에 대해 방역지원 등 감염병 관리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6일 오전 5시 현재 지역 내 피해상황은 산사태 72곳, 도로토사 유실 33곳, 주택 침수 46곳, 제방 붕괴 1곳, 농업 피해 10곳 등 모두 424곳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이 가운데, 182곳이 완료됐고 183곳이 조치 중이며 59곳이 조치 예정이다. 김성기 가평군수는 피해 복구도 중요하지만 선제적 예방조치가 중요한 만큼 위험 지역을 꼼꼼히 점검하고 발굴,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발생한 피해는 신속하게 회복하는데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가평=고창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