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원폭피해자의 악몽] 도교육청, '한국인 원폭피해' 교육 나선다

경기도교육청이 원폭피해 교육자료 및 탐방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한국인 원폭피해자’ 재조명에 나선다.

이는 국내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14종 중 한국인 원폭피해를 상세 기술한 교과서가 전무(경기일보 16일자 1면)한 데 따른 것으로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청소년들이 공교육에서 원폭 피해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역사교육 자료 등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2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도내 중ㆍ고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원폭피해 현황 및 배경 등을 학습할 수 있는 원폭피해 교육자료 개발 및 탐방 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한다.

먼저 도교육청은 도내 25개 교육지원청별로 지역 자료를 조사해 일본에 강제 징용된 사람들이 겪은 원폭 피해 과정을 조사하고, 이를 교육자료에 담을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난 1944년 히로시마 기계 제작소나 조선소 등에 배치됐다가 원자폭탄에 피폭된 약 10만명(히로시마 7만명, 나가사키 3만명)의 한국인 희생자와 그 후손들이 겪는 원폭 후유증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코로나19가 종식되면 경기도와의 협력사업을 통해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와 히로시마 원폭자료관 등을 견학하는 프로그램도 기획한다. 도교육청은 이를 통해 한국인 원폭피해자를 기리고 평화를 위한 비핵화 당위성을 강조할 방침이다.

박태준 경기도교육청 평화교육담당 사무관은 “경기도교육청은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 원폭 피해를 당한 선대들의 슬픈 역사를 후대가 기억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자료 개발에 나설 것”이라면서 “학생 스스로 원폭피해자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탐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우리의 아픈 역사를 반추하고 인류평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오는 23일 경기도의회에서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를 1년여 만에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장인 이병우 경기도 보건복지국장과 부위원장인 이대수 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 정희시ㆍ왕성옥 경기도의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이날 경기복지재단이 추진 중인 경기도내 원폭피해자 실태조사와 원폭피해자에 대한 지원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경기ON팀 = 이호준ㆍ송우일ㆍ최현호ㆍ김승수ㆍ이광희ㆍ손원태ㆍ윤원규기자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