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사회적 냉대와 무관심 속 76년간 숨죽여 살았던 원폭피해자와 그 후손들의 눈물을 닦는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경기도는 원폭피해자 후손들에 대해서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경기ON팀의 연속 보도(경기일보 1일자 1·2·3면, 3일자 1면) 후 전국 최초로 지원 대상을 3세대까지 확대키로 해 원폭피해자 지원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23일 경기복지재단에서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를 열고 원폭피해자 지원 계획을 결정했다.
이 자리에는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위원장인 이병우 경기도 보건복지국장과 부위원장인 이대수 아시아평화시민네트워크 대표, 정희시 경기도의원, 박상복 경기도원폭피해자협의회장 등 12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도는 우선 도내 거주 원폭피해자(1세대)와 2ㆍ3세대가 6개 경기도의료원(수원ㆍ의정부ㆍ파주ㆍ이천ㆍ안성ㆍ포천)에서 진료비 및 종합검진비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원대상은 원폭 피해자 등록증(피폭자 건강수첩)을 소지한 1세대와 가족관계증명서로 증명할 수 있는 2ㆍ3세대로, 진료비 계산 시 해당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대상자들은 진료비 본인부담금의 50%를 지원(비급여 포함)받으며, 종합검진비 역시 절반의 할인 혜택을 받는다. 비용이 많이 드는 치과보철료와 임플란트도 본인부담금의 30%를 지원받는다.
아울러 도는 원폭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피해자가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정신심리프로그램도 지원한다.
대상자는 주소지 관할 시ㆍ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트라우마 진단 시 소득 수준에 따라 연간 최대 70만원(진단비 40만원, 치료비 30만원)의 치료비를 지원받는다.
이 밖에 경기도박물관,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경기도미술관 등 12개 시설에 대한 입장료 및 주차료를 전액 감면하는 문화ㆍ휴양시설 이용 혜택도 부여할 예정이다.
이병우 경기도 보건복지국장은 “경기도는 원폭피해자와 그 후손들에게 다양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재도 여러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면서 “원폭피해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이들이 외면받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경기ON팀 = 이호준ㆍ송우일ㆍ최현호ㆍ김승수ㆍ이광희ㆍ윤원규기자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