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원폭피해자의 악몽] 원폭피해 지원 넓힌 道 대책… 전국 확산 기대

첫 3세대까지 폭넓은 지원, 1세대 한정·사업 초기단계 머문... 타 광역자치단체 비해 진일보

경기도가 원폭 피해자와 그 후손들의 눈물을 닦아주기 위해 마련한 종합대책이 타 광역자치단체의 ‘선제적 모델’로 삼아질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도가 전국 최초로 원폭피해자에 대한 지원 범위를 3세대까지 확장(경기일보 3월24일자 1ㆍ3면)하면서 원폭피해지원 대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데, 이 같은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조치가 의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다.

현재 국내 원폭 피해자 지원 1번지라고 할 수 있는 경남 합천군에서는 원폭 피해자 사무실, 원폭 기념관 운영비 지원, 원폭 자료 전산화 작업 등 다양한 사업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원폭 피해자 지원은 1세대로 지원 범위를 한정하거나 지원사업이 근거 마련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광역시의 경우 올해 ‘원폭피해자지원위원회’를 구성해 지원계획 수립에 나섰지만, 아직 위원회 회의나 실질적인 지원안을 만들려는 움직임을 펼치지 못해 구체적인 지원안이 나와있지 않다. 서울특별시와 울산광역시는 올해 원폭 피해자 지원 근거를 담은 조례를 제정, 이제서야 첫발을 내디딘 단계다. 부산광역시의 경우 원폭 피해자에게 지원을 해주기는 하지만 그 범위가 1세대 월 5만원으로 한정돼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밖에 원폭 피해자의 넋을 기리는 행사에 500만원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 전부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도는 원폭 피해자 1ㆍ2ㆍ3세대가 6개 경기도의료원(수원ㆍ의정부ㆍ파주ㆍ이천ㆍ안성ㆍ포천)에서 진료비와 종합검진비 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료지원’, 경기도박물관ㆍ경기도어린이박물관ㆍ경기도미술관 등 문화시설 12곳에 대한 입장료 및 주차료를 전액 감면하는 ‘문화지원’ 안 등 실질적인 지원책을 제시했다.

이대수 경기도원폭피해자지원평화연대 대표는 “이번 경기도의 원폭 피해자 지원 대책은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비교했을 때 매우 진일보한 지원안”이라며 “이번 경기도 종합대책을 시작으로 전국의 광역자치단체에도 원폭 피해자 지원안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만들어져 원폭 피해자들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기ON팀 = 이호준ㆍ송우일ㆍ최현호ㆍ김승수ㆍ이광희ㆍ윤원규기자

※ '경기ON팀'은 어두운 곳을 밝혀(Turn on) 세상에 온기(溫氣)를 전합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