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안양시, 운동부 있는 학교에만 우선 지원

안양시가 운동부나 엘리트체육 등과 관련된 시설을 보유한 학교 등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주고 있는 등 보조금 취지에 벗어나고 있어 교육여건에 걸맞도록 형평성 있게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일 안양시와 학부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동안구 K여중 다목적체육관 건립비로 15억3천300만원과 교육청이 추진하는 평촌학생체육관에 16억3천200만원을 지원해주는 등 모두 37억9천600만원(공립 7개 학교 37억8천600만원·사립 1개 학교 1천만원)을 8개 학교에 지원해줬다. 또 올해에는 동안구 P중학교 야구피칭머신 구입비 600만원과 S중학교와 D고교 등의 다목적체육관 건립비 등으로 각각 11억7천200만원과 11억4천만원 등을 각각 지원해줬고 P고교의 차량구입비 5천만원을 지원해주는 등 16개 학교에 52억9천800만원(공립 15개 학교 52억8천300만원·사립 1개 학교 1천500만원)을 지원해줬다. 그러나 이같은 지원은 대부분 운동부나 엘리트체육 등과 관련된 시설을 보유한 학교에 치중되고 있어 나머지 학교들은 거의 교육경비보조금 지원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부모 이모씨(46·안양시 만안구)는 “운동부가 있는 일부 특정 학교에만 교육경비보조금이 편중돼 지급되는 건 형평상 문제가 있다”며 “교육경비보조금이 본래의 취지에 부합되도록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교육청이 예산을 확보하는 사업에 대해서만 시가 교육경비보조금을 지원해줄 수 있다”며 “교육경비보조금 혜택을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파주/군내초교, 컴퓨터.한자 등 교육...’학원보다 재밌어요’

“도시에 있는 학교가 부럽지 않아요”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민통선지역 통일촌 마을내 군내초등학교 학생들은 3년 전만 해도 수업이 끝나기가 무섭게 집으로 달려가기 일쑤였다. 하지만 이젠 하루종일 학교에서 지내고 선생님들과 함께 귀가하지만 마냥 즐겁기만 하다. 이 학교는 농촌지역에다 민통선에 위치한 교육여건으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전학가는 사례가 늘어 전교생이 20여명에 불과한 소인학교로 전락했었지만 요즘은 다른 학교로 전학갔던 학생들이 되돌아 오고 있다. 이태훈 교장을 중심으로 교사들이 의욕을 보이며 지역실정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지역여건상 학원을 제대로 다니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사들이 직접 전일제 수업을 자청해 학생들에게 한자와 컴퓨터, 영어, 사물놀이 등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또 문산읍 마정초등학교와 합동으로 체육수업을 열고 도농교류 체험학습 등을 통해 학생들의 활동영역을 넓혀줘 자신감을 주고 있다. 이같은 노력으로 이 학교 3학년 이상 학생들은 한자와 컴퓨터 1급∼3급 자격증을 모두 따는 성과를 거뒀다. 또 발표력 향상을 위해 독서교육, 주제읽기 발표, 리듬합주 등을 통한 협동학습 등을 실시해 전국수학경시대회에서 금상을 차지하는 영광을 안기도 했다. 이태훈 교장은 “어떠한 좋은 교육정책이 있다 하더라도 교사가 변하지 않으면 교실이 변할 수 없다”며 “먼저 교사들의 의견과 창조적 사고를 중시하고 교사들이 열심히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수도권패트롤/남양주 도농동 외곽순환고속도 진입로

한국도로공사(이하 도공)가 남양주시 도농동에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진입로를 통과할 수 있는 보행자용 지하보도를 개설했지만 관리 소홀과 홍보 부족 등으로 주민들이 이를 외면, 고속도로 진입로를 무단으로 횡단하고 있어 사고위험을 안고 있다. 도공은 지난 91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남양주IC를 개설, 국도6호선과 연결하면서 구리시 왕숙천교와 남양주시 도농동을 연결하는 보행자 도로가 없어지자 길이 32m의 보행자용 지하보도(3m x 3m)를 건설했다. 그러나 이 지하보도는 기존 보행자 도로에서 50m 정도 떨어져 있는데다 잡초 등에 가려 눈에 잘 띄지 않고 있다. 더욱이 관리 소홀로 지하보도 내부는 흙먼지와 거미줄 등 청결상태가 엉망인데다 형광등이 고장난 채 방치돼 대낮에도 어두운 실정이다. 이때문에 주민들은 지하보도 이용을 꺼리고 있으며 특히 초행자들은 안내판도 없어 지하보도가 있는지도 몰라 목숨을 내걸고 고속도로 진입로를 무단으로 건너가고 있다. 이로 인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민원이 끊이질 않고 있으나 도공은 뒷짐만 지고 있다. 주민 김모씨(46·남양주시 도농동)는 “걸어가도 되는 거리에 위치한 LG백화점을 이용하기 위해 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도공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해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공 관계자는 “서울지사가 관리하는 암거가 143곳이어서 1년에 1차례 점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빠른 시일내 안내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주민들의 불편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남양주=최원류기자 wrchoi@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