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전략공천 어쩌나…

여야가 경기인천을 포함, 전국의 기초단체장 여성전략공천 지역을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위원장 정병국)가 29일까지 각 시도당별로 기초단체장 여성전략공천 지역을 선정해 보고할 것을 요구했으나 경기도당(위원장 원유철)과 인천시당(위원장 이경재)을 포함, 16개 시도당 모두 여성 전략공천지역을 선정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중앙당 공심위는 경기에서 2곳 이상, 인천에서 1곳 이상을 이날까지 각각 보고하도록 했으나, 후보자 공모 결과 여성 신청자가 워낙 적은데다 지역구 국회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 남성 예비후보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최근 후보자 서류심사를 끝낸 도당의 경우, 성남(이정숙)광명(곽향숙)시흥(황선희)오산(장복실)이천(박연하) 등 5곳에 여성 기초단체장 신청자가 있지만 중앙당 인재영입위에서 영입한 남성 예비후보 혹은 현직 단체장이 있는 지역이거나, 현역 의원과 협의문제 등으로 인해 낙점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인재영입위 차원에서 일부 도내 여성인사를 접촉하고 있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시당도 남구(이영환)와 서구(이행숙) 등 2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기초단체장을 노리고 있으나 현역의원 혹은 남성 예비후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은 상태다.당 인재영입위 관계자는 여성들이 기초단체장에 나서기보다는 비례대표 광역 의원 등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아 전략공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현역 국회의원들이 자기 지역에 여성 기초단체장을 내세우기 꺼려하는 것도 보이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민주당도 사정은 비슷, 여성 후보자에게는 공천 심사에서 20%의 가산점을 주고 있지만 지원자가 거의 없는 상태다. 경기의 경우 도당 공심위(위원장 정장선)가 공천신청 후보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중앙선관위 예비후보 명단에도 여성은 한 명도 없고, 인천은 부평구청장에 나서는 홍미영 전 국회의원 1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지역마다 투표소 확보 난항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내 시군 선거관리위원회가 개정된 선거법의 영향으로 투표소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9일 도 선관위에 따르면 올해 지방선거에서는 도내 44개 선관위로 나뉘어 537개 읍면동에 총 2천713개의 투표소가 설치되며 선관위는 선거일 10일전인 5월23일까지 공고해야 한다.그러나 올해 지방선거부터 종교시설내 투표소 설치가 금지되고 기표 횟수가 8차례로 늘어남에 따라 기표소가 증가, 기존 투표소 공간보다 면적이 늘어나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지역 선관위마다 신규 투표소 마련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현행 선거법은 투표소를 학교, 공공기관, 관공서, 주민자치시설 등을 지정해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지역 선관위별로 평균 62개에 이르는 투표소를 공공시설만으로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이에 선관위는 노인정이나 학원, 민간건물 회의실을 빌리는 방법으로 부족한 투표소를 메우는 방안을 찾고 있지만 이마저 기준에 맞는 시설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선 휠체어 진입로 등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된 건물이 적은데다 대부분 일반 건물의 경우 회의실과 강당이 2층 이상에 마련돼 있어 투표소로 부적합하다는 것이 선관위의 설명이다. 또한 기존에 많이 사용돼 온 학교시설도 이번 선거에서는 투표소로 사용돼 부적당한 경우가 많다.파주 선관위 관계자는 올해 선거는 투표소내 기표소가 2곳이나 돼 도 선관위가 면적을 66㎡(20평) 이상 확보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초등학교 교실의 경우 56㎡(17평) 정도로 협소해 원활한 투표 진행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화성 선관위도 2006년 지방선거 당시 73곳에 불과하던 투표소가 올해는 108곳으로 늘었지만 거주지 주변에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턱없이 부족, 대부분 인근 학교에 투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오산 선관위 관계자는 투표소 공간이 부족해 전체 34개 투표소 중 5곳은 사설기관을 30만원 정도에 빌려 사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