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난동 등 112신고 빗발…'다사다난'했던 경인지역 투표소

제21대 대선 본투표일 투표용지를 찢거나 난동을 부리는 등 경인 지역 투표소에서 112신고가 잇따랐다. 3일 경기남·북부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 기준 경기지역에서 대선 관련 접수된 112신고 건수는 총 236건이다. 이날 오전 7시께 이천시의 한 투표소에서 50대 여성이 투표용지를 찢어 경찰에 붙잡혔다. 그는 투표를 잘못했다며 용지 변경을 요청했지만 거절 당하자 용지를 찢어 훼손했다. 관계자들의 신고로 출동한 경찰은 여성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입건했다. 안양시 만안구에선 오전 10시45분께 부정선거 의혹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50대 남성과 그의 모친이 투표를 하려던 중 모친의 인명부에 서명이 돼 있는 것을 발견했고, 주변인이 112에 신고했다. 선관위 직원은 동명이인이 잘못 서명한 것으로 판단했지만 신고인은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항의했다. 또 오후 1시35분께 양평군 지평면의 한 투표소에서는 60대 여성이 난동 끝에 경찰에 체포됐다. 이 여성은 자신이 투표한 후보자가 보이도록 투표용지를 접지 않은 채 투표함에 넣으려 했고, 관계자가 이를 제지하자 소란을 피워 신고됐다. 수원특례시 권선구 오목천동의 한 투표소에선 같은 날 오후 2시38분께 “양로원에서 버스를 이용, 단체로 투표하러 왔다”는 참관인의 신고가 접수됐다. 투표소 이동 등에 대해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불법 소지가 있는 만큼 선관위는 위법 사항이 발견되면 수사를 의뢰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김포에선 한 여성이 투표용지를 찢은 채 투표함에 넣어 경찰이 수사에 나서기도 했으며 오산에선 취객이 투표함을 만지려다 제지를 당하기도 했다. 또 의정부에선 한 남성이 투표를 한 후 투표 용지를 다시 달라고 요청하면서 선거 관리인에게 욕설을 하기도 했다. 인천지역 투표소에서도 112신고가 속출했다. 인천경찰청은 이날 오후 8시까지 대선 관련, 총 58건의 112신고를 접수했다. 오전 8시께 남동구 간석동 투표소 앞에서 70대 남성이 “안내원이 없다”며 불만을 표시, 항의했고 현장으로 출동한 경찰이 계도 조치를 했다. 또 오전 9시59분께 연수구 선학동의 한 투표소에선 70대 여성이 쓰러져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한편 경찰청은 이날 전국 경찰에 경비 비상 단계 중 가장 높은 갑호비상을 발령했으며, 경기·인천 경찰은 투표소 총 4천39곳에 기동대 등 경찰력을 동원해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였다.

'SKT 해킹' 여파 지속…유심 교체 600만명 육박

SK텔레콤(SKT) 해킹 사고 이후 유심을 교체한 가입자가 6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SKT 뉴스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유심 교체 누적 고객 수는 589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하루 14만명씩 교체한 수준으로 예약하고 교체를 기다리는 가입자는 334만명이다. 최근 일주일간 하루 평균 20만건씩 교체가 진행된 만큼, 이달 중순까지 예약자 전원에 대한 교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SKT는 전국 2천600여개의 대리점을 통해 유심을 무상 교체하고 있다. 또 유심 보호 서비스 2.0을 도입하고 비정상 인증을 차단하는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등 보안 대책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SKT 해킹으로 유출된 유심 정보는 약 2만6천95만건에 이른다. 현재까지 23대의 서버에서 감염 흔적이 확인됐으며 윈도우 서버까지 조사 범위가 확대됐다. 과징금 부과 상한은 5천382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개인정보보호법상 부과 가능한 최대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SKT 해킹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이 서버 기록 분석 과정에서 해외 인터넷주소(IP)를 발견했다. 경찰은 IP의 출신 국가를 특정, 국가정보원과 함께 최소 3개국과 공조 수사를 이어가면서 해킹 주체를 추적하고 있다. 한편 SKT는 지난달 18일 오후 사내 시스템 데이터가 해킹 공격을 받았고, 다음 날인 19일 이로 인해 이용자 유심과 관련한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점을 확인했다. 이후 같은 달 28일 오전 10시부터 유심 교체를 원하는 모든 가입자를 대상으로 eSIM(이심·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한 유심 교체 서비스에 착수했다.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