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스마트허브 산학협동 산업기술대전

시흥 스마트허브내 대학과 중소기업이 하나되는 제13회 산학협동 산업기술대전이 30일부터 사흘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시작됐다. 한국산업기술대학이 주최하는 산업기술대전은 학생들과 가족회사가 함께 이룬 우수한 상품화 기술을 개발해 전시하고, 산학협력 성과에 대한 자긍심과 비젼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한 행사로, 40여 개 독립부스에 100여 종의 학생작품과 30개 중소기업의 작품이 전시된다. 전시기간에는 각 부스마다 개발에 참여한 학생과 기업 관계자들이 신기술 시연과 업계 관계자와의 즉석 기술상담도 펼친다. 지난 2001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산학협동 산업기술대전은 지난해까지 2천여 종의 작품이 선보였으며, 이 가운데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12개 작품을 포함해 320개의 수상작이 배출되는 등 해마다 높은 수준의 기술과 아이디어를 선보여 최신 산업기술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이날 산업기술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산업기술대전 시상식에서는 성진의 플라즈마 탈취기가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에 (주)모일의 LED조명엔진이, 경기도지사상에는 미랩의 고압송전선로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중소기업청장상에는 알파옵트론의 글라스네이 샤이너 등 19개 업체가, 메카트로닉스 공학과의 큐브 로롯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각각 수상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시흥캠퍼스 개발 “OK” 등록금에 부담은 “NO” 서울대 총학, 반대입장 선회

시흥캠퍼스 레지덴셜 컬리지(RC) 건립 계획 철회를 주장하던 서울대 총학생회가 입장을 바꿔 시흥캠퍼스 개발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형래 서울대 총학생회장 등 회장단 5명은 지난 25일 시흥시 미래도시개발사업단을 방문해 시흥캠퍼스 개발에 따른 학교 재정 악화로 등록금 인상요인이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고 있을 뿐이라며 시흥캠퍼스 개발에 반대하지 않지만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원조달 방법, 운영비 소요 등의 부담주체가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학생회장은 시흥캠퍼스를 건립하면서 운영비 등의 부담이 가중될 경우 학생들의 등록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를 우려하는 것이라며 관악캠퍼스에서 시흥캠퍼스까지 오는 교통비를 학생들에게 부담시킬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셔틀버스를 운행할 경우 연간 수십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에 대한 부담 주체도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충목 미래도시개발사업단장은 시흥시와 서울대, 한라건설이 재원조달 문제, 운영비 등 제반문제를 협의하고 있으며 최종 협상이 마무리되기 전까지는 공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기본적인 협의가 마무리되면 공개와 함께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시흥시 대야동ㆍ정왕2동ㆍ정왕4동 주민자치센터, 제12회 전국 주민자치박람회 우수사례 선정

시흥시 대야동과 정왕2동, 정왕4동 주민자치센터가 제12회 전국 주민자치박람회에서 우수사례로 선정됐다 ㈔열린사회시민연합과 안전행정부가 주관한 전국 주민자치박람회 공모에 전국 219여개 주민자치센터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대야동이 지역활성화 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또 정왕2동과 정왕4동은 주민자치분야에서 장려상, 시흥시는 주민자치 제도정책 분야에서 장려상을 수상해 시흥시 주민자치의 위상을 높이는 성과를 거뒀다. 대야동은 도시지역의 골목길 변화를 모티브로 정해 뱀내장터길 골목의 변화를 통한 이웃 공동체 회복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전통문화 재연 프로그램에서 자립형 사업으로의 추진 노력이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왕2동도 청소년과 함께 꿈을 키워가는 주민자치 이야기라는 주제로 어린이 주민자치위원회와 청소년 봉사단을 통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자치 실천이 돋보였다. 정왕4동은 휴식, 즐거움, 소통이 있는 휴락통 도시농장사업에 참여하는 세대들과 주민자치위원회의 참여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프로그램, 교육활동 등의 도시농업 프로그램의 진행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주민자치 제도 정책분야에서 수상한 시흥시는 주민자치기능전환 및 운영방식 개선을 위한 제도변경 사항과 우리동네 명품프로그램 운영, 자립형자치공동체 사업, 주민자치 학교 추진 등 주민자치 역량강화를 위한 각종지원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시흥=이성남기자 sunlee@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