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민들이 지역에서 가장 필요한 사회복지 분야로 출산ㆍ보육 지원을 꼽았다. 시는 지난해 8~9월 1천590가구를 대상으로 2019 수원시 사회조사를 진행, 그 결과 응답자의 43.9%가 이 같이 답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는 노인복지 사업 확대(31.3%), 요구호(要救護) 보호 사업(15.6%), 장애인 복지 확대(8.1%) 순이다. 이때 요구호 보호 사업이란 구호가 필요한 이들(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자, 소년소녀가장 등)을 보호하는 사업을 말한다. ■20ㆍ30대, 출산ㆍ보육 지원 비율 높아 결혼을 준비하거나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연령대인 20대(59.6%)와 30대(68%)는 출산ㆍ보육 지원이라고 답한 비율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은퇴를 앞둔 50대(46.1%)와 은퇴 연령인 60대(62.0%)는 노인복지 사업 확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민들이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노인복지서비스는 건강 검진(21.7%), 취업 알선(17.9%), 여가활동 프로그램(17.2%), 가사 서비스(15.4%), 간병ㆍ목욕 서비스(12.4%) 등으로 분석됐다. 뒤이어 식사 제공은 6.8%, 이야기 상대는 4.5%였다. 젊은 층은 여가활동 프로그램, 중장년층은 취업 알선, 노년층은 건강 검진과 가사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보면 15~19세(23.7%)와 20대 시민(26.8%)은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 40대는 취업 알선(21.1%)을 최우선으로 답했다. 노인복지 서비스 대상인 60세 이상 어르신은 건강 검진(25.6%)과 가사 서비스(20.5%) 확대가 필요하다는 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노인들이 느끼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경제 문제 노인들이 체감하는 심각한 문제를 묻는 질문에 경제 문제라고 답한 비율은 45.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 문제가 19.1%, 외로움, 소외감이 18.9%였다. 60세 이상 어르신도 경제 문제(47.2%)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생각했고, 건강 문제(28.9%)를 두 번째로 꼽았다. 외로움, 소외감은 8.5%로 전체 응답자 평균보다 10%p 이상 낮았다. 응답자 10명 중 7명은 노후를 준비했거나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0.7%가 노후를 준비했다(하고 있다)고 했다.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 비율은 2015년 36.1%, 2017년 34.5%, 2019년 29.3%로 줄어드는 추세다. 노후 준비 방법(만 19세 이상, 복수 선택)은 국민연금이 77.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예금ㆍ적금, 저축성 보험 35.4%, 사적연금 21.9%, 퇴직급여 14.4%, 기타 공적연금, 9.6%, 부동산 운용 7.9% 순이었다. 은퇴 연령인 60대 이상은 23.3%가 부동산 운용을 선택해 눈길을 끌었다. 응답자 전체 평균보다 15.4%P 높은 수치다. ■남성 84.3%, 국민연금으로 노후 준비 노후 준비 방법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했다.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준비한다는 응답 비율은 남성이 84.3%로 여성(69.5%)보다 14.8%p 높았고, 예금ㆍ적금, 저축성 보험은 여성이 41.5%로 남성(29.9%)보다 11.6%p 높았다. 노후를 준비하지 않은 이들에게 이유를 묻자(만 19세 이상, 복수선택)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라는 응답이 33.9%로 가장 많았다. 아직 생각하고 있지 않다 28.9%, 준비할 능력이 없다 28.1%, 자녀에게 의존한다 9.1%가 뒤를 이었다. 은퇴 연령인 60세 이상은 61.1%가 준비할 능력이 없다고 했고, 34.2%는 자녀에게 의존한다고 답했다. 준비할 능력이 없다는 응답 비율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늘어났다. 30대는 11.4%, 40대 31.6%, 50대 48%였다. 한편 수원시 사회조사는 2012년부터 매년 진행되고 있다. 조사원이 대상 가구를 직접 방문해 조사하는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여건에 따라 자기 기재(응답자 기재) 방법을 병행한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성별은 남자가 50.2%, 여자가 49.8%였고, 연령대는 40대가 20.0%, 50대 19.0%, 60세 이상 18.2%, 30대 18.1%, 20대 17.8%, 15~19세 6.9%였다. 수원 거주 기간은 15년 이상이 48.2%로 가장 많았고, 5년 미만 21.6%, 5~10년 16.3%, 10~15년 13.9%였다. 통계로 보는 수원 홈페이지에서 조사 결과를 볼 수 있다. 이연우기자
수원시
이연우 기자
2020-01-14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