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별로 재난지원금 부정적 지급사례 수두룩

지난 35월 정부와 지자체의 코로나19 관련 재난지원금이 부적정하게 지급돼 도내 시ㆍ군마다 많게는 수백건씩 환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상당수는 신청시점과 지급시점 사이에 사망이나 전출 등 변동사항이 발생하면서 수급자격이 상실됐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15일 도내 지자체들에 따르면 시흥시의 경우 부적정 지급으로 환수해야 할 재난지원금과 재난기본소득 대상은 390여명에 금액으로는 1억1천250만여원(정부 재난지원금 290가구 7천250만원, 경기도와 시흥시 재난기본소득 200여명에 4천여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안산시도 정부의 재난지원금이 부적정하게 지급된 360여명에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잘못 지급된 390여명, 안산시 생활안정자금이 잘못 지급된 60여명 등 총 800여명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도 정부의 재난지원금이 부적정하게 지급된 가구가 311세대(8천537만9천원)으로 집계됐다. 현재 용인시는 환수대상 인원에 대해 환수조치를 통보했으며 이의 신청을 받는 기간을 운영 중이다. 오산시도 정부 재난지원금 환수 대상 인원ㆍ금액이 108명에 2천764만원이고 현재까지 환수액은 31명 928만원에 이르고 있다. 경기도와 오산시 재난기본소득 환수는 138명에 이르고 있다. 평택시의 경우 사망자에 대해 사망신고 날짜를 속여 수급한 재난지원금이 40여건이고. 타 지역으로 전출을 갔는데도 평택시에 신청해 수급한 유형은 200여건 등 총 240여건으로 나타났다. 과천시도 정부 재난지원금 부적정 사례는 21가구에 금액으로는 600여만원이고 경기도 및 과천시 재난기본소득 부적정사례가 26명에 금액으로는 620만원 등 모두 47가구에 1천20만원으로 집계됐다. 구리시도 재난지원금 부정 수급으로 환수 대상 가구가 109가구에 금액으로는 2천여만원 정도로 집계됐다. 현재 환수율은 60%에 이르고 있다. 하남시도 지난 5~8월 지급한 1차 재난지원금 중 부적정 사례가 6건에 112만원이 적발됐다. 양평군도 사망자 지급 19건 등 부적정 재난지원금 사례가 54건에 이르고 있다. 양주시도 재난지원금 22세대 514만2천원이 부적정하게 지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용인시 관계자는 전례가 없는 일인데다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의 지침이 계속 바뀌어 그 기준에 맞추다보니 이런 일이 발생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재난지원금 지급 신청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고의로 돈을 받기 위해 신청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전출입으로 인해 날짜 계산을 잘못해 실수로 신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흥ㆍ안산ㆍ용인ㆍ과천ㆍ오산ㆍ양주ㆍ양평=윤덕흥ㆍ구재원ㆍ이종현ㆍ김동수ㆍ강영호ㆍ장세원ㆍ김승수기자

CJ한국복합물류 군포터미널 화물차 공회전 방치 ...대기오염

대형 트럭 수십대가 시동을 끄지 않고 대기하고 있어 공기가 매캐합니다 21일 오전 5시께 군포시 번영로 82(부곡동) CJ계열 한국복합물류 군포터미널 C동 앞. 이곳에서 만난 직원 A씨는 한국복합물류 군포터미널 직원들은 코로나19 이전에도 늘 마스크를 쓰고 근무했다며 연신 손을 저었다. A씨가 잠시 서 있는 동안에도 대기하려는 트럭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져 들어왔다. 순식간에 4.5t 트럭부터 작은 화물차들이 이중삼중으로 200m 가량 길게 늘어섰다. C동 앞에서 대기중인 기사는 이곳 차량들이 물건을 하차하는 취급장까지 가는데 2~3시간은 걸린다고 한다. 상하차 차량은 그 시간 동안 시동을 켠 채 대기했다. 대기차량들은 C동 앞 뿐아니라 물류단지 곳곳에서 장사진을 이루며 시동을 켠 채로 각각의 화물취급장으로 가기 위해 정차하고 있는데 대형 디젤트럭에서 배출되는 매캐한 매연이 그대로 피어올랐다. 이곳은 자동차 공회전 제한지역인데도 화물차들이 물건을 부리기 위해 세워져 있는 동안 관행상 공회전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공회전 제한지역에서 평상시 정차ㆍ주차상태에서 5분 이상 공회전하면 과태료 5만원이 부과된다. 한국복합물류 본관 앞 게시대에 자동차 공회전 제한구역을 알리는 플래카드가 무색했다. 사정은 이런데도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복합물류 군포터미널 관계자는 계도요원을 통해 공회전 제한을 홍보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날 계도요원도, 대기 차량 중 시동을 멈춘 차량도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대해 군포시 관계자는 대기환경보전법 등에 따라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물류 터미널이 워낙 넓은데다, 차량들도 많아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한국복합물류 군포터미널은 부지 70만1천㎡에 연간 물류처리능력이 1천146만t이고 홈쇼핑, 택배사 등 100여 업체가 입주해 하루 1만여대의 크고 작은 화물차들이 이용하고 있다. 군포=윤덕흥 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