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국가고용전략회의
오는 5월까지 지방자치단체가 경상경비와 축제성 경비를 절감, 추가경정예산 3천억원을 편성해 총 3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특히 경기도가 지난 1월16일 문을 연 경기일자리센터가 전국적인 우수사례로 평가받으면서 표준모델로 설정돼 전국 자치단체에 확산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 이달곤 장관과 노동부 임태희 장관은 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올해 최우선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를 조기에 일자리 총력체제로 바꿀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내용을 보면 지자체들이 일자리 추경으로 자전거 수리사업, 도시숲 조성, 생활형 자전거길 조성 등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7월부터 본격 시작되는 이 사업에는 청·장년층을 우선 선발하고 6월말 종료되는 희망근로사업 참가자들을 흡수해 지역고용시장의 충격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노동부 고용지원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149개 시·군·구에는 연내에 일자리 센터를 설치, 취업 희망자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등 취업상담 및 알선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읍·면·동 주민자치센터에는 기업 은퇴자와 직업 상담사 등을 배치, 국가직업정보망을 통해 취약계층에 취업상담을 해주는 등 주민자치센터를 취업 지원의 최일선 창구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별 취업박람회를 개최하고 지자체별로 ‘찾아가는 구인업체 전담발굴반’도 운영하기로 했다.
특히 220개 기관으로 분산된 일자리 지원체계를 연계해 취업 상담 및 알선, 사회복지급여 등 원스톱 종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도의 ‘경기일자리센터’의 우수사례도 대도시 중심으로 단계적 확산을 유도하고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경기일자리센터는 이같은 서비스 제공으로 개소 후 지난달 말까지 28일간 모두 8천182명의 구직등록자 중 1만8천713명의 일자리를 알선해 3천771명을 취업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하루 평균 669명의 일자리를 알선해 135명의 취업을 성사시켰다.
행안부는 지자체별 일자리 조성목표와 실적을 공개하는 ‘일자리 공시제’를 도입하고 올해 총 500억원의 인센티브 예산을 확보, 일자리를 잘 만드는 지자체에 지원하기로 했다.
/강해인·김동식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