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갱신형 240㎜포' 검수시험사격…김정은 참관

북한이 새로운 유도체계를 적용한 ‘갱신형 240㎜ 방사포’(다연장로켓포) 성능을 과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7일 제2경제위원회 산하 국방공업기업소들이 생산한 240㎜ 방사포무기체계의 검수시험사격을 참관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방사포무기체계는 "기동성과 타격집중성에서 기술갱신"된 것이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사격에서 "새로 도입된 유도체계와 조정성, 파괴위력 등 모든 지표들에서 우월성이 입증되었다"고 전해진다. 김 위원장은 "포무기 생산과 부대들에 교체장비시키는 사업에서 견지할 중요방침을 밝혔다"고 통신은 전했다. 김 위원장의 현지 지도에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자 중앙위 비서, 조춘룡 당 중앙위 비서, 리영길 총참모장, 김정식 당 중앙위 제1부부장, 김용환 국방과학원 원장, 인민군 대연합부대장들이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240㎜ 방사포는 수도권을 위협하는 장사정포에 해당한다. 앞서 북한은 지난 2월 국방과학원이 유도 기능을 갖춘 신형 240㎜ 방사포탄을 개발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어 5월에도 갱신형 방사포 무기에 '자동사격종합지휘체계'를 도입했고 2024~2026년에 일선 부대에 교체배치한다고 공개했다. 북한 매체에 공개된 검수시험사격 사진을 보면 기존 240㎜ 방사포와 달리 꼬리부위에 조종날개 형상이 식별된다. 북한은 신형 240㎜ 방사포의 성능을 과시하는 동시에 러시아 공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김 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진행된 검수시험사격 모습을 공개한 것으로 추측된다. 북한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선에 122㎜ 방사포를 공급한 것이 확인됐으며 240㎜도 공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국정원 "北 탄도미사일 발사대 250대, 실제 수급은 의문"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대를 250대 갖추고도 실제 미사일 장착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26일 브리핑을 갖고 탄도미사일 이동식 발사대(TEL) 250대를 전방에 새로 배치한다는 북한 주장에 대해 "250여대가 일단 언론에 공개됐기에 그 정도 발사대를 갖추고 있다고 보더라도, 미사일을 수급할 수 있는지는 의문을 갖고 있다"는 국정원의 보고내용을 전했다. 또 국정원은 "북한은 러시아와 군사협력을 통해 러시아로 무기를 지원해주는 데 미사일이나 무기 생산 체계를 가동하고 있기에, 그 정도 (자체 이동식발사대에) 조달하기는 어렵지 않겠냐는 의문을 갖고 있다"고도 했다. 미사일 발사 시 피해 범위 지역에 대해선 "미사일이 대략 110㎞ 정도 날아가기에 충청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북한의 수해 피해와 관련, 국정원은 "인적·물적 피해는 평안북도에서 상당히 많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고, 실제적 물적 피해가 많은 곳은 자강도로 분석된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은 평안북도를 직접 방문하고 평안북도 주민들을 평양으로 초청했다"면서 "자강도에 군사시설이 밀집돼 있는데 이런 것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로 안 가는 것 아니냐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체제 관리 차원에서, 정권에 대한 신뢰도 형성을 위해 김 위원장이 평안북도 위주로 가고 주민을 평양으로 초청한 것 아닌가 하고 분석된다"고 설명했다고 여야 간사가 전했다. 국정원은 또 "러시아가 수해 관련 지원을 하겠다고 했고, 김 위원장이 감사 표시를 했다"고도 보고했다.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