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날'이 부끄럽다

유엔이 정한 ‘세계노인의 해’를 무의미하게 보내면서 오늘 제3회 ‘노인의 날’을 부끄럽게 맞는다.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 시대의 노인들이 고도경제 성장을 이끈 주역들이면서도 사회로부터 적절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경기도가 최근 도내 65세 이상의 생활보호대상자 2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1.6%가 끼니를 거르고 있으며, 11.1%가 고혈압 등 4가지 이상의 질병을 앓는 등 96.5%가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66.2%는 병간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친인척과 이웃의 도움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사회복지사와 가정도우미 등으로부터 간병을 받는 노인은 8.4%에 불과했다. 이는 ‘노인이 가장 살기 좋은 나라’로 생각되던 우리나라가 ‘노인이 살아 가기 어려운 나라’로 바뀌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조사결과이기도 하다. 그뿐인가. 도내 5천여개의 경로당중 55%가 세면시설이 없으며 33%는 재래식 화장실을 사용하는 등 시설이 열악하다. 여가선용 프로그램도 없어 경로당 노인 90%이상이 화투놀이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노인들에게 활력과 생활의 여유를 찾게 해주기는 커녕 따분하고 삭막하기만한 스트레스 공간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고령화사회에서 발생하는 공통적인 문제는 건강·소득원·여가활용·사회적 역할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절실한 것은 건강이다. 당국은 노인건강 관리시스템을 확충하여 노인가정에 대한 복지비 지원·무료정기건강진단·치매 등의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노인병원이나 요양시설의 확충도 시급하다. 또 점점 늘어나는 고학력 고령자들에게도 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도록 사회 시스템도 바꿔야 한다. 노인들이 쉽게 취미생활을 즐기고 문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문화공간도 크게 늘려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시급하고 절실한 것은 자식조차 없는 생활보호대상 노인들의 생활

檀君

단군은 한국민족의 시조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 개국신으로 단군조선을 건국하였다고 전해져오고 있는데 10월 3일은 BC 2333년 단군이 왕검성에 도읍하고 나라를 세웠다는 날이다. 남한에서는 1948년 이후 매년 10월 3일에 민족의 축일을 기리는 기념식과 대제 등의 행사를 치러왔다. 그러나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지난 94년 이전까지만해도 개천절이란 표현조차 사용하지 않았고 일체의 기념식행사도 치르지 않아 왔다. 단군과 관련된 내용을 신화로만 취급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지난 93년 10월 2일 북한사회과학원이 ‘단군릉 발굴보고’를 통해 단군릉과 단군부부로 추정되는 유골을 발굴했다고 발표한 후 단군을 실존인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북한이 유물사관을 제치고 단군을 인정했다는 것은 계급사관으로부터 민족사관으로 회귀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기에 커다란 태도 변화를 보여준 것이다. 북한이 이처럼 단군에 대해 집착하게 된 이유는 기본적으로 평양지역이 한민족의 발상지임을 재삼 부각시키는 동시에 북한정권이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민족사적 정통성을 가진 정권임을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뒤늦게나마 북한이 단군릉 발굴을 계기로 개천절이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하고 단군제를 개최했다는 사실은 민족통일의 공통분모를 찾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있는 일로 받아들여진다. 단군제에서는 국조 단군을 기리기 보다는 단군과 관련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총비서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보다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단군을 ‘원시조’로 부르면서 김일성 주석을 ‘사회주의 조선의 시조’로 추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런데 <단군은 있다>고 기록한 일본 조선총독부중추원 발행 ‘조선사료’ 3권이 공개돼 단기 4332년 개천절을 더욱 뜻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교에 세워진 단군동상이 우상이라고 하여 또 파괴될 우려가 있

오피니언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