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고보다 고통스럽지만 詩쓰는게 행복해요"

시(詩)를 쓴다는 것은 아이를 출산하는 산고보다 더 아픈 고통이 수반되지만, 그 고통 속에서 느끼는 기쁨과 행복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습니다. 지난해 11월 동서문학상에 입선한 것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등단을 알린 작가 이숙희씨(51). 이씨는 시를 통해 자신의 인생을 바꿔놓은 계기를 털어놓으며 시에 대한 열정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글을 즐겨 써 왔던 이씨는 항상 시인을 꿈꿔 왔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상력을 마음껏 풀어놓고 싶었던 것. 그러나 가정형편 때문에 대학을 포기하면서 자신의 꿈까지 포기해야 했던 이씨. 오랫동안 자신의 꿈을 포기한 채 전업주부로 살아온 이씨는 불혹의 나이에 다시금 시를 쓰고 싶다는 열망으로 불치의 병을 앓기 시작했다. 가슴 속 깊숙이 숨겨 놓았던 꿈이 꿈틀대기 시작한 것. 언젠가 다시 글을 써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했던 이씨는 지난 2002년 방통대 국문학과에 진학원서를 내고 제2의 삶에 도전장을 던졌다. 이씨는 아들과 함께 학교에 다녔지만 꿈 같은 시간을 보낸 것 같습니다. 시를 쓰는 사람들끼리 만나 작가에 대해, 시에 대해 이야기했던 시간이 너무나 소중하고 행복했던 것 같다며 시와 함께할 때의 행복을 강조했다. 대학시절 신춘문예에도 몇 번 도전해 미역국을 먹었지만, 글을 쓰는 시간이 가장 행복했다고. 현재 산부인과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그녀는 서정적인 시보다는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삶을 소재로 시를 쓰고 있다. 동서문학상에 출품한 작품도 여성의 눈으로 바라보는 어머니의 인생역경과 인간 삶과 존재의 의미, 인간의 탄생과 죽음, 인간의 희로애락 등을 담아내고 있다. 이씨는 글을 쓰는 사람에게 작가란 딱지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아마추어가 아니라는 점에서는 조금은 부담도 있다며 이제 책상 서랍에 숨겨놓고 보는 글이 아니라 독자들이 읽는 글을 써야 하는 책임감이 주어졌다고 말했다. 그동안 삶의 애환 등을 다룬 관념적인 시를 모티브로 활동한 이씨. 그녀는 관념에서 벗어나 주변으로 시선을 돌려 남녀 간의 사랑과 부모와 자식 간의 애틋한 정(情), 사물에 대한 치밀한 고찰을 통한 다양한 시선 등 폭넓은 장르로 모두가 공감하는 시집을 내는 꿈을 향해 시상(詩想) 중이다. 과천=김형표 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시 ‘학교지원사업’ 학생·교사들 만족도 높다

과천시 교육지원사업이 학생과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시가 지난해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지역 내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 2천149명을 대상으로 2012년도 과천시 교육지원사업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밝혀졌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사업은 원어민 교사 수업으로 학생 92.38%, 학부모 87.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 학생들은 영어권 문화이해와 영어에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시가 지난해 처음 실시한 신개념 중고등학생 방과 후 교실 운영에 대해선 응답 학생의 89.09%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는 학부모도 55.29%나 됐다. 수업준비물 없는 학교와 1인 2 특기 활동지원사업에 대한 설문에서는 학생 82.52%, 학부모 85.6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경제적 부담 경감에 도움이 된다는 학부모 의견도 77.32%로 조사됐다. 초등 방과 후 교육지원사업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87.76%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66.05%가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향후 과천시 교육경비 예산 지원방향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91.22%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응답했고, 확대희망 분야로는 63.92%가 교육프로그램 향상을 꼽았다. 시가 지원하는 관내 교사 해외연수 지원사업은 참여 교사의 95.38%가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5.07%가 우수교사 사기진작과 유치시책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박승원 교육청소년과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원어민 교사지원사업과 신개념 방과 후 사업 등은 확대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동·문원동 GB 8천여㎡ 풀린다

과천시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 8천700㎡ 규모의 개발제한구역이 빠르면 이달 안으로 해제될 전망이다. 시는 6일 개발제한구역 지정 당시부터 대지와 개발제한구역이 같은 필지에 속해 있는 일명 관통대지에 대해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키로 하고 지난해 12월 초 55필지 8천700여㎡ 관통대지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에 승인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시가 도에 승인을 요청한 관통대지는 뒷골지구(7필지), 남태령지구(6필지), 죽바위지구(10필지), 한내지구(2필지), 사기막골지구(7필지), 화훼종합센터지구(10필지) 등 총 12지구 55필지이다. 시는 관통대지를 해제하기 위해 지난해 4월부터 10월까지 기초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해 총 292필지 4만7천여㎡의 관통대지 가운데 237필지 3만8천여㎡를 제외한 55필지 8천7천여㎡에 대해서만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요청했다. 시는 경계선 관통대지 해제 시 개발제한구역 경계선이 심각하게 부정형으로 되는 토지와 환경평가 12등급 기준에 해당하는 토지, 경계선이 관통대지가 아닌 대지와 합병한 적이 있는 토지, 합병으로 1천㎡를 초과한 토지에 대해서는 해제대상에서 제외시켰다. 또 개발제한구역 해제 대상으로 확정된 토지에 대해서도 시의회와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부적격 토지로 판정된 토지에 대해서는 추가로 해제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시 관계자는 과천동과 문원동 일대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기 위해 지난해 기초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55필지 8천700여㎡의 관통대지를 경기도에 제출했다며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가 이달 안에 관통대지를 심의할 계획이어서 빠르면 이달 안으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 기자 hpkim@kyeonggi.com

양재천 개수공사 내년에도 어렵다

경기도의 사업비 지원 부족으로 양재천 개수공사가 수년째 중단되고 있는 가운데 2013년도 양재천 개수공사 사업비가 책정되지 않아 내년도 사업 추진이 어려울 전망이다. 25일 과천시에 따르면 양재천 무명교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700m 구간에 대한 개수공사를 추진하기 위해 경기도에 69억원의 사업비를 요청했으나 토지보상비 10억원만 편성됐을 뿐, 공사비는 전혀 편성되지 않았다. 이처럼 양재천 개수공사에 대한 공사비가 지원되지 않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개수공사 추진은 어렵게 됐다. 양재천 개수공사는 도의 하천정비 사업계획에 따라 지난 2008년 1차 사업으로 과천시 환경사업소에서 무명교까지 1.4㎞ 구간에 대해 제방 축조와 하폭 확장, 호안정비 등 개수공사를 추진했다. 시는 이어 무명교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개수공사를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09년부터 도에 사업비를 요청했으나 예산이 부족한다는 이유로 사업비를 지원받지 못해 3년 동안 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다. 시가 개수공사를 하게 될 무명교서울시 경계구간은 여름철 집중호우로 제방이 유실돼 인근 비닐하우스가 물에 잠기는 등 상습수해 피해 지역이어서 내년도 이 지역의 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양재천 무명교 지점은 하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개수공사가 반드시 필요한 구간이라며 내년도 토지보상비 10억원만 지원될 예정이어서 개수공사는 할 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