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경인·안산·경의중앙선’ 노선,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공식 제안 가평·여주·포천 등 힘 받는 GTX... 道 “지역 발전 전환점 최선다할 것”
⑧ 경기도, GTX·철도지하화 총력…‘교통 대전환’ 새 정부와 발맞춰
경기도가 새 정부의 교통 정책 기조에 맞춰 대선 기간 도가 중점적으로 건의한 철도 지하화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사업 추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3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는 최근 경부선(안양·군포·의왕·평택), 경인선(부천), 안산선(군포), 경의중앙선(파주) 등 4개 노선 6개 시 구간의 철도 지하화를 국토교통부가 연말 수립할 예정인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공식 제안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의 조기 가시화를 위해 선도 사업 지역을 선정했다. 경기도에서는 안산선(초지역~중앙역 5.1㎞ 구간)이 전국 기초지자체 중 유일하게 포함된 바 있다.
이에 제외된 지역들은 새 정부 출범에 맞춰 경기도와 협력해 통합개발 제안서를 마련했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구도심과 신도심 간 연결을 강화하고 난개발이 진행된 역사 주변의 도시 구조를 정비함으로써 새로운 지상 공간 활용 기회를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도는 12월 말 발표할 예정인 종합계획에 해당 제안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GTX 추진을 핵심 지역 공약으로 제시해 GTX 사업의 조기 추진을 위한 구체적 활성화 방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평, 여주, 포천, 광명 등 18개 시·군에 GTX 관련 공약이 포함된 만큼 새 정부의 교통 정책에 거는 기대가 크다.
경기도는 GTX와 연계한 역세권 개발 구상을 새 정부에 제안한 바 있다. GTX 환승 거점을 중심으로 의정부, 양주, 고양, 파주, 남양주 등에 복합도시를 조성해 일자리와 주거를 동시에 확보함으로써 기존 신도시가 겪어온 ‘베드타운화’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도는 GTX 신규 노선과 연계한 경기 북부 주요 거점에 ‘자족형 스마트 신도시’ 모델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건의해 북부지역의 성장 방안을 모색했다.
도 관계자는 “새 정부에서 GTX가 조속히 추진되면 교통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를 지하화함으로써 지역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경기도, 세계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될까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09580369
‘뒤집힌 표심, 바뀐 지형’…달라진 경기도 유권자의 선택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08580179
경합지역도 파란물결… 현장 밀착 선거전략 通했다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08580203
AI·바이오… 경기도, 미래산업 핵심거점 ‘도약’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kyeonggi.com/article/20250609580377
규제의 땅 경기북부, 활성화 ‘시선집중’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10580380
낙후된 북부 ‘경쟁력 강화’ 시동… 분도는 제동 [李 시대, 대한민국 중심 경기도]
https://kyeonggi.com/article/20250610580390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