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식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심차게 출범했던 사회적 논의기구가 지지부진한 협상과 난항 끝(경기일보 2월23일자 6면)에 활동기한을 2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8일 개 식용 문제 논의를 위한 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동물보호단체, 육견업계 등 참여 단체 사이의 구체적인 합의를 이루기 위해 운영기한을 2개월 늘려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당초 정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4월 말까지 5개월 동안 해당 위원회를 통해 개 식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동물보호단체, 육견업계, 전문가, 정부 인사 등 21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그간 전체회의와 소위원회를 각각 7회씩 개최했고, 개 식용 문제 논의에 필요한 개 사육 현황조사 등을 실시했다. 아울러 전문가 발표와 논의를 통해 대만의 개 식용 종식 사례 공유, 개 식용의 위생적 문제점, 현행법 체계 등 현 상황을 진단했다.
하지만 운영 초기부터 참여 단체 간의 이견이 컸고, 결국 활동 종료 시점까지 이들 단체 사이의 이견은 좁혀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론 최종 합의문 작성 단계에서 합의문 문구를 놓고 의견차가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향후 합의문 문구를 어떻게 조정하는지 여부가 사회적 합의 도출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광호 개 식용 문제 논의를 위한 위원회 위원장은 “그간 위원회를 운영하며 충분한 논의를 거쳐 개 식용 종식이 시대적 흐름이란 인식을 공유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향후 그간 쌓은 신뢰와 공감대를 바탕으로 대타협을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시민들은 개 식용 문제 해결에 속도가 나길 기대하면서 관련 단체들의 입장을 잘 고려해주길 당부했다.
수원시 거주 반려인 김수현씨(25)는 “도살되는 개들이 하루빨리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개 식용 문제를 해결해 반려견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육견업계 등 관련 단체의 피해 문제에 대해서도 잘 살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고양시민인 이민석씨(31) 역시 “대통령의 공약인 만큼 개 식용을 끝낼 논의기구가 보다 속도를 내길 기대한다”면서 “부디 재연장이 되지 않길 바라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