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땅값총액 하락

경기도내 땅값 총액이 지난해에 비해 15조원이나 떨어졌다. 경기도는 올 개별공시지가 대상토지 345만8천747필지 90억5천829만3천㎡에 대한 지가를 조사한 결과, ㎡당 평균가격이 2만5천758원으로 233조3천241억8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317만7천794필지 89억4천278만㎡ 248조4천33억8천100만원에 비해 7.27%15조792억7천300만원이 감소한 것이다. 이같이 도내 토지가격이 급락한 것은 IMF로 인해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땅값이 상승한 지역은 31개 시·군중 단한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양평군이 지난해 16만613필지 7억8천674만9천㎡ 3조2천996억2천800만원에서 올해는 16만3천908필지 8억562억7천㎡ 2조9천292억6천200만원으로 ㎡당 13.3%인 558원이 감소, 땅의 가치가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의정부시도 지난해 3만9천179필지 7천152만9천㎡ 6조9천98억4천400만원에서 올해는 3만9천739필지 7천241만4천㎡ 6조1천510억6천400만원으로 12.07%나 줄어 들었다. 이밖에 동두천시, 남양주시, 군포시, 김포시, 양주군 등 5개 시·군이 10%이상 땅값이 하락했으며 수원시, 오산시, 구리시, 연천군 등도 8~9%이상 땅값이 떨어졌다. 반면 부천시는 지난해 5만9천733필지 4천505만㎡ 16조6천81억5천100만원에서 올해는 5만7천905필지 4천418만1천㎡ 15조9천9천958만3천700만원으로 1.79%만이 감소, 가장 낮은 감소율을 기록했으며 용인시도 지난해 17만200필지 5억2천728만㎡ 17조2천654만3천200만원에서 올해는 19만6천45필지 5억4천281만4천㎡ 17조4천221만6천100만원으로 2.03%만이 줄었다. 한편 개별공시지가 적용을 위한 토지의 필지와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 이같이 전체토지가격이 하락한 것은 일시적인 경제난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는 만큼 내년부터는 점차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게 일반

정부, 일몰제도 도입 전국확대 계획

경기도는 전국 처음으로 실시한 일몰제도가 행정환경의 변화에 따른 조직내부의 개혁을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자 정부가 이같은 제도를 도입, 전국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도는 지난 97년 7월 일몰법을 운영한 결과 비효율적인 사업 폐지, 다양한 시책의 접근, 비현실적인 행정관행 수정. 행정행태의 변화 유도 등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진단했다. 도는 특히 그동안 도정중 사업에만 치중하던 일몰제도를 올해부터 대민서비스 증대의 심사도구로 기능을 확대한 결과 도민들이 직접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민원서류의 간소화 방안 등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실제 도 민원사무, 보상금지급사업, 자치법규 등 328건 등을 심의한 결과 21건을 개선하고 1건을 폐지했으며 7건은 한시적으로 존치키로 하는 등 구태한 제도를 개선했다. 또 나머지 237건은 존치하기로 결정했다. 도는 또 다음달중 36건에 대한 대민서비스 관련 사무를 정비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사무정비를 통해 그동안 행정편의주의·관례로 처리해 오던 잡종재산대부, 공유재산대부·행정자산 사용허가시 제출토록 하던 인감증명서를 신분증으로 대체하고 인·허가부서에서 내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제출을 요구하던 거주여권기재사항 변경발급시 제출토록 한 여권 사본 등을 폐지했다. 또 신규공중보건의사 중앙단위 직무교육은 도에서 교육대상자에 대한 교육비만을 지급하는 단순업무 처리로서 교육효과에 대한 판단자료 부재 등 사업의 효과성을 지자체에서 얻기가 어려워 중앙부처가 담당하도록 건의했다. 정부는 최근 각 시·도에 대한 감사를 통해 일몰제가 행정개혁에 큰 성과를 거둠에 따라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도는 이와함께 일몰정보에 대한 도민들의 참여를 위해 이를 공개하고 사업예산에 대해서도 일몰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유재명기자

미집행 도시계획 발표 탁상행정의 전형

경기도가 20~30년간 집행하지 못한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오는 2010년까지 집행한다고 발표, 현실성없는 탁상행정이란 비난을 사고 있다. 경기도는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국정감사시 김옥두의원에 대한 서면답변을 통해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해 도시계획법과 시행령 규정에 따라 1단계는 3년이내에, 2단계는 3년이후 시행할 사업으로 집행년도를 결정,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오는 2010년까지 집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도는 또 “30년이상 방치된 도로·공원 9건 92만6천㎡에 대해서는 타 시설에 우선해 집행계획을 수립·추진함과 동시에 도시계획 재정비시 현지조사를 실시, 당초시설의 지정목적과 배치되는 시설은 해지 또는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재 미집행된 도시계획시설을 오는 2010년까지 집행하기 위해서는 1만346건 1억5천860만6천㎡를 집행하기 위해서는 36조4천17억원이 필요한데도 도와 시·군 재정상 이를 집행할 재정적 여력이 부족해 실질적인 집행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특히 도가 도시계획시설이 미집행된 이유중 사업비 부족을 가장 것으로 꼽고 있으면서도 법과 시행령 규정만을 근거로 오는 2010년까지 모든 미집행시설을 집행키로 계획을 수립, 주먹구구식 행정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실제 동두천시 송내공원조성의 경우 지난 65년 11월 34만8천300㎡가 근린공원으로 도시계획시설 결정돼 그동안 재정형편상 추진되지 못한 상황에서 오는 2003∼2007년 민자유치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실현가능성은 희박한 실정이다. 김포시 월곳공원도 지난 78년 22만㎡의 공원용지중 지난 6월까지 80억원을 들여 12만2천㎡를 조성했고 나머지 9만9천㎡는 2010년까지 완료할 예정이지만 김포시 관계자는 재정형편상 실현불가능하다고 밝혀 탁상행정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불합리한 시설에 대해 5년마다 해제 또는 조

경기틈새창업박람회 성황속 폐막

경기도가 소자본창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개최한 ‘99 경기 틈새창업박람회’가 3일간 3천여명이 참가하는 대성황을 이룬뒤 17일 폐막했다. 62개 업체 79개 부스에 매일 1천여명의 인파들이 붐벼 대성황을 이룬 이번 틈새창업박람회에서는 71건의 계약체결과 2082건의 문의상담이 이뤄졌고 행사기간중 9회에 걸친 창업에 관한 전문기초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세미나장에는 매회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창업컨설팅 업체의 무료상담실과 도내 5개 소상공인지원센터에는 인파들이 줄을 이어 상담사들이 격무에 시달렸다. 특히 국내 전문 창업컨설팅 업체로 널리 알려진 ‘박주관 컨설팅’에는 외식업종, 직장인, 주부 등이 서비업종에 대한 문의·상담이 이어져 큰 선호도를 보였다. 게다가 경기도내 창업이나 업종전환을 원하는 도민들외에 서울, 충청, 강원 등지의 창업예비자들 상당수가 박람회장을 찾는 등 전국행사로의 규모를 자랑했다. 백성운 도 경제투자관리실장은 “적은 자본으로 특별한 기술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회를 도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번 박람회를 개최했다”며 “이번 박람회가 큰 성과를 거둠에 따라 앞으로 이같은 박람회를 계속 개최하겠다”고 말했다./유재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