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찍 온 ‘열대야’에… 인천 쪽방촌 ‘전전(電電)긍긍’ [현장, 그곳&]

방 안 체감온도 31도 ‘찜질방’ 방불... 월세·약값도 빠듯, 전기료 걱정
에어컨 고사하고 새 선풍기도 사치... 수당 깎일까 봐 물품지원 꺼리기도
市 “에너지 바우처·후원 지속 연계”

image
2일 오전 인천 계양구 마장로 522번길 한 쪽방촌에 사는 김정곤씨(82)는 방안에 에어컨이 없어 하루 종일 선풍기 앞에만 앉아 무더위를 견디고 있다. 장민재기자

 

“올해는 유독 일찍 열대야가 온 듯 하네요. 이번에도 선풍기 하나로 잘 버텨봐야죠...”

 

2일 정오께 인천 계양구 마장로의 한 쪽방촌. 이곳에서 만난 거주자 김정곤씨(82)는 선풍기 앞에 앉아 있는데도 그의 회색 민소매 티셔츠와 머리카락은 땀에 흠뻑 젖어 있었다. 이날 체감온도가 섭씨 31도에 이르는 데다, 쪽방의 특성상 복사열이 잘 안빠지고 창문이 1개 밖에 없어 환풍이 어려워 찜질방처럼 뜨겁기 때문이다. 김씨는 “며칠 전부터 너무 습하고 열대야까지 덮쳐 밤새 자다 깨다를 반복한다”며 “추석이 올 때까지 올 여름을 무사히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이날 인근 안남로의 또 다른 쪽방촌에 사는 박영숙씨(67)의 상황은 더 열악했다. 며칠 전 선풍기가 고장났는데, 갑자기 열대야가 몰려오면서 기본적인 냉방 기구 하나 없이 온 몸으로 불볕 더위를 체감하고 있다. 새 선풍기를 사기엔 너무 부담이 커 일대 중고물품 가게를 다녀왔지만, 싼 선풍기를 찾지 못했다. 매월 기초생활수급비 등 총 수입이 90만원에 불과하지만, 월세 15만원에 약값 등까지 생각하면 단돈 1만원의 중고 선풍기도 선뜻 사지 못하는 형편이다. 박씨는 “전에 어떤 단체에서 에어컨을 무료로 달아주겠다고 했지만, 전기요금 폭탄이 두려워 거부했다”며 “그냥 최대한 더위를 참고 버틸 수 밖에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image
2일 오전 인천 계양구 안남로 551번길 쪽방에서 7년째 살고있는 박영숙씨(67)는 체감온도 31도가 넘는 상황에서 선풍기 마저 모두 고장나 작은 창문만을 열고 무더위를 보내고 있다. 장민재기자

 

인천의 쪽방촌 주민들이 또다시 여름 더위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다.

 

이날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는 중구 44명, 동구 138명, 계양구 69명 등 총 251명의 쪽방 주민이 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쪽방촌은 좁은 방, 낡은 단열 구조, 창문 부족 등의 구조적 문제로 폭염 등에 취약하다. 게다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에어컨 등은 있어도 틀지 않고 선풍기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쪽방상담소 관계자는 “낮에 무더위 쉼터 등을 운영하지만 쪽방 어르신들이 건강 등이 좋지 않다 보니 많이 이용하지 못한다”며 “최근 기부받은 선풍기나 생수 등의 물품을 쪽방촌을 돌며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 쪽방촌 주민들은 상담소나 주민센터 등에 각종 지원이나 냉방용품 후원 등을 신청하지 않아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자칫 이 같은 지원을 받으면 되레 수당 등이 줄어들 것에 대한 우려가 크다 보니 지원 요청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image
유정복 인천시장이 2일 계양구 쪽방촌을 찾아 거주 어르신들을 격려하고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듣고 있다. 인천시 제공

 

시 관계자는 “제도권 내에서 최대한 쪽방촌 주민들이 여름을 건강하게 날 수 있도록 에너지 바우처나 물품 후원 등을 계속 연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직접 신청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이 있어서 찾아가는 서비스를 확대하려 한다”며 “상담소의 추가 예산을 확보해, 더 촘촘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날 일대 쪽방촌을 찾아 폭염 취약계층 민생현장 점검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사항을 청취했다.

 

유 시장은 “기후위기로 폭염, 한파, 집중호우 같은 이상기후가 잦아지는 만큼, 가장 먼저 위험에 노출받는 취약계층을 더 세심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 사각지대 없는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현장 중심의 촘촘한 복지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