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루(舖樓)는 포루(砲樓)와 우리말로 같아 꼭 한자를 병용해야 하는 시설물이다. 포루(군졸)는 보병이, 포루(대포)는 포병이 사용하는 시설물로 구분하면 쉽다. 포루(군졸)에 대해 의궤는 ‘치성의 위에 지은 집을 포(舖)라 한다’고 했다. 적을 염탐하고 방어하는 병사들이 휴식과 비 및 햇볕을 피하라고 치 위에 집을 지었기에 포(舖)를 붙여 포루라 한다. 사실은 휴식보다 우리 병사가 적에게 보이지 않으면서 적을 공격할 수 있는 시설로 집을 지었다.
화성에는 모두 다섯 곳의 포루가 있다. 동1포루, 동2포루, 동북포루, 북포루, 서포루 등이다. 이 중 동북포루는 방화수류정과 용연에서 동쪽으로 가장 높은 곳에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최근에는 해넘이를 감상하는 포인트로 알려져 주말에는 사진가와 젊은 연인들이 동북포루 안팎에 모여든다.
포루는 화성 시설물 중 위계가 낮은 시설물이다. 하지만 동북포루는 ‘각건대’란 별칭을 부여받은 점, 벽등(甓磴)을 설치한 점, 치성에 벽돌을 사용한 점, 지붕에 용두를 사용한 점 등 매우 특이하다. 모두 화성 전체 시설물에서 유일한 점이다. 이 중 벽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대체 벽등은 무엇일까. 그 어느 곳에도 기록이나 설명 자료가 없다. 미스터리다.
우선 벽등의 구조를 살펴보자. 의궤에 “여장 3면은 모두 벽돌을 사용했고 여장 안은 벽등을 이중으로 쌓았는데”라는 기록이 있다. 쉽게 말해 여장이 두 겹이란 말이다. 원래 여장이 있고 여장 뒤와 집 사이 공간에 벽돌로 여장을 한 겹 더 쌓은 구조다. 이렇게 한 겹 더 쌓은 벽돌 구조물을 벽등이라 부른다. 재료가 벽돌(甓)이고 길보다 바닥이 높아 오르기(磴) 때문에 벽등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 같다.
왜 이 공간을 벽돌로 채웠을까. 바닥 면적이 너무 커 집과 여장 사이 빈 곳을 마무리하기 위해서일까. 다섯 곳 포루의 바닥 면적을 비교해 이런 전제가 맞는지 확인해 본다. 규모는 서포루가 75척6촌으로 가장 크고 북포루와 동1포루가 65척, 동북포루가 61척, 그리고 동2포루가 59척으로 가장 작다.
동북포루는 전체 포루의 평균 크기 65척에도 못 미치고 끝에서 두 번째 크기다. 포루 중 작은 규모다. 이런 사실은 벽등이 구조나 크기 등 외형적 요인에 의해 만들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의도를 갖고 만든 것이 분명하다. 어떤 의도일까. 의궤 기록에서 탐험을 시작한다.
의궤에 벽등을 “높이는 난간 바닥에서 그치며 벽등 아래위에 네모난 총안 19개와 누혈 11개를 뚫어 놓았다”고 설명한다. 이 내용에서 눈여겨볼 내용은 “고지란저(高止欄底)”와 “상하착방안(上下鑿方眼)” 두 내용이다. 즉, “벽등 높이가 집의 바닥 난간 밑까지(고지란저)”와 “총안을 벽등 위아래에 뚫었다(상하착방안)”이다. 이것이 벽등 미스터리를 풀 두 열쇠다.
첫째, 왜 ‘벽등의 위아래,에 총안을 뚫었을까. 이곳만의 특별한 ‘위아래’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모든 시설물은 여장에 한 줄의 총안이 설치돼 있다. 유일하게 동북포루는 ‘위아래’, 즉, 위에 한 줄, 아래에 한 줄 총안을 설치했다. 위아래 총안은 바로 위아래 공격력이다. 즉, 다른 포루에 비해 2배의 병력과 화력을 운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 팀은 벽등 위에서 여장을 방패 삼아, 다른 한 팀은 벽등 아래에서 벽등을 방패 삼아 적을 향해 총을 쏠 수 있는 구조다.
둘째, 왜 ‘집의 바닥 난간 밑까지’ 쌓았을까. 벽등 높이, 즉 벽등 위 바닥 레벨을 “집의 난간 바닥 밑까지”로 정한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은 이 레벨이 벽등 설계의 최적 높이이기 때문이다. 더 높아도, 더 낮아도 안 된다는 의미다. 집 밖에서 보이는 ‘난간 밑’은 집 안의 마룻바닥과 같은 레벨이다. 벽등 위 바닥이 이 레벨보다 더 높거나 더 낮다면 벽등이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공격 목적 때문이다. 벽등 높이가 마룻바닥 레벨보다 낮으면 벽등 아래에서 병사가 총을 쏠 수 없다. 바닥에서 마루 밑까지 높이가 낮아져 총 쏘는 자세가 안 나온다. 반대로 더 높으면 벽등 위에서 총을 쏠 수 없다. 총 쏘는 병사가 여장 위로 온몸이 노출되기 때문이다. 벽등의 높이로 설계된 ‘집의 바닥 난간 밑 레벨’은 벽등의 최적 높이인 셈이다.
다른 하나는 병사들의 이동 때문이다. 동북포루는 집 안에 대기하던 병사들이 삼면의 판문을 열고 바로 벽등 위로 나가도록 설계했다. 화성에서 유일한 설계다. 이 경우 벽등 위로 나갈 때 병사의 두 발이 안전해야 한다. 두 발의 높이에 차이가 있으면 넘어질 위험이 크다. 집 안 마루와 벽등 윗면이 같아야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벽등이 없었다면 병사가 작은 출입문을 나가 좁은 계단으로 내려간 후 다시 높은 벽등에 올라야 했다. 전투 시설물로는 있을 수 없는 동선이다. 그래서 삼면의 판문을 통해 직접 나갈 수 있게 처음부터 설계했다. 집 밖 내탁에서 벽등에 오르는 계단을 설계하지 않았다는 것은 처음부터 판문으로 이동하도록 설계했음을 증명한다.
정리하면 벽등은 주어진 한정된 공간에 화력과 병력을 2배 늘려주고 길고 혼잡한 병사의 이동 동선을 10분의 1로 줄여주는 신묘한 구조다. 이런 과학적 의미가 있음에도 복원이 잘못돼 매우 안타깝다. 현재 동북포루는 벽등 위 높이가 ‘집의 난간 밑’과 같은 레벨이 아니고 설계보다 50㎝가 낮게 복원됐다. ‘난간 밑까지’의 개념을 무시한 복원이다.
이유는 복원 시 기준을 정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배치 축, 평면 기준, 단면 기준이 중구난방이다. 치성 따로, 목구조 따로, 토목 따로, 각자 복원했기 때문이다. 복원공사는 본질을 실현하기 위해 조정과 통합이 필수다. 본질을 꿰고 있던 성역 당시의 감동당상 조심태가 필요한 지금이다.
벽등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2배의 공격력과 10배의 신속함을 실현한 동북포루 벽등에서 정조의 지략과 설계 의도를 엿봤다.
화성 모든 시설물 중 왜 동북포루에만 벽등을 설치했을까? 미스터리는 다음 편에 계속된다. 글·사진=이강웅 고건축전문가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