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첫 지자체 개발… 20년 만에 완성 녹지 많고 주거 환경 등 성장 가능에 계획 인구比 1.4배 인구 몰리면서 집값↑·교통 혼잡 등 문제 야기 부동산 안정화·교통망 개선 필요
전국 최초의 지방자치단체 건설 신도시인 광교신도시 개발이 20년 만에 마무리됐다. ‘원천유원지’로만 알려졌던 수원의 교외 지역이 신도시 개발을 통해 경기 남부권의 행정타운이자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수도권 내 대표적인 친환경 신도시라는 평가도 나오지만, 교통과 집값 등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경기일보는 지자체가 직접 조성한 최초의 도시, 광교신도시가 주거와 일자리,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자족형 미래도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위례, 동탄, 판교 신도시 등과 함께 건설된 수도권 2기 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가 직접 주도해 조성한 신도시라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지역의 사정을 정확히 알고, 지역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최초의 지자체 주도 신도시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초 계획인구에 비해 실제 인구가 약 1.4배에 달하면서 나타나는 주민 불편 사항들은 광교신도시의 진정한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광교신도시는 수원특례시 영통구 이의동, 원천동, 하동과 용인특례시 수지구 상현동 일원에 10.8㎢(326만평) 면적으로 조성됐다. 경기도와 수원특례시, 용인특례시,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사업 공동시행자다.
광교신도시 개발 사업은 지난 2004년 6월 당시 건설교통부가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면서 시작됐다. 2005년 12월 정부가 ‘광교신도시 계발계획(안)’을 확정 고시한 후 1~8단계 사업 준공 등이 차례대로 진행됐다. 20년간 이어진 사업은 지난해 12월31일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의 준공이 확정되면서 마무리됐다.
광교신도시는 광교지구에 광역행정과 첨단산업 입지를 통해 행정복합도시 및 자족형 신도시를 만들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광교신도시 경기융합타운에는 경기도청, 경기도교육청,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들어섰으며, 전시관 및 중소회의실 등을 갖춘 수원컨벤션센터와 수원지방법원·검찰청, 고등법원·검찰청 등의 광교 법조타운도 완공돼 자족도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또 자연친화적인 도시를 표방해 녹지축 보존을 위해 주거면적 비율을 19% 수준으로 억제했고, 녹지면적 비율을 전체 도시면적의 44.1%로 설정했다.
하지만 개발 과정에서 20여차례 실시계획 변경을 거치며 오피스텔 등이 다수 증가했고, 2018년부터 실제 인구가 계획인구를 초과하기 시작했다. 입주가 시작된 2011년(2천828세대)부터 2023년(4만2천801세대)까지 12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5%에 달한다. 2023년 기준 실제 인구는 4만2천801세대로, 계획인구(3만1천500세대)의 1.4배를 웃돈다.
광교신도시에 인구가 몰리면서 집값은 천정부지로 솟아올랐고, 교통혼잡과 불법주차 문제는 심화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수원의 다른 지역에 비해 주거 환경이 양호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광교로 사람들이 몰리기 시작했다”면서 “지금은 전세 및 매매가 안정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고, 도로 확장 및 대중교통의 추가 개선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광교신도시 성공 안착 열쇠는… 주거·교통·여가 ‘고도화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21658023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