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경희 시의원 “ 수의사 상주하는 곳에서 유기동물 관리해야 ”
인천수의사회 유기동물보호소에서 보호 중인 유기 동물이 오물범벅 철창에 갇혀 잇따라 폐사(경기일보 1월10일자 9면)하는 가운데, 이 보호소에는 상주 수의사조차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 안팎에선 유기 동물의 추가 폐사를 막기 위해 보호소의 관리·감독 강화 등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4일 유경희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부평2)이 인천시를 비롯해 옹진군과 연수·미추홀·남동구 등로부터 제출받은 지난 3년간 보호소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이 보호소에 상주 수의사는 없다.
현재 보호소의 운영 인력은 수의사 1명, 포획 및 구조 3명, 보호 3명 등 모두 7명이다. 하지만 이 수의사는 비상주 인력이다. 보호소에 동물 관련 자격이 있는 전문가는 단 1명도 상주하지 않는 셈이다.
이 때문에 유기 동물이 임신을 하거나 큰 동물에 공격 당해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남에도 적절한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옹진군과 연수·미추홀·남동구 등에서 생포한 유기동물 1천500여마리 중 630여마리(42%)가 이 보호소에서 자연사하고 있다.
시와 군·구 등은 이 같은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수의사회 등에 관리 부실에 따른 개선 명령 등을 내렸지만, 여전히 관련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앞서 지난 2024년에는 이 보호소에서 유기 동물을 안락사 시킬 때 마취제 미사용 의심, 냉난방기 고장, 구더기, 철창살 노후, 빗물고임 등 보호소의 열악한 시설 및 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민원이 34건에 이르기도 했다.
자원봉사자 A씨는 “갈 때마다 청소도 돼 있지 않은 똥 밭에서 동물들이 병들고 있다”며 “특히 지금처럼 칼바람이 부는 겨울에는 야외 견사에 갇힌 동물들이 꽁꽁 언 물을 한 모금도 마시지 못한 채 얼어 죽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안팎에선 현재 군·구의 위탁 형태로 운영되는 보호소를 시가 직영해 광역 형태로 전환, 상주 수의사를 배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유 위원장은 “보호소를 시가 광역 형태로 직영 운영해 다른 6개 군·구처럼 수의사가 상주하는 곳에서 유기동물을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는 인천의 유기동물들이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죽어가서는 안 된다”며 “동물보호 관리 단가 인상이나 시설 환경개선비 지원 등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보호소가 개발제한구역(GB)에 있고 개인 사유지 건물인 탓에 광역보호소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보호소가 기피시설이라 새 장소를 찾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군·구와 함께 보호소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열악한 환경 개선을 위해 지원책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오물 범벅 철창에 갇혀 시름시름... 감옥소 된 ‘유기동물보호소’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0958024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