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율의 관세정책 도입 ‘현실화’... 비용↑·시장 점유율 축소 우려 기업 수출길 막힐까 ‘전전긍긍’... “개별 관세면제 활용해야” 제언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그가 공언해온 고율의 관세정책 도입이 현실화되면서 경기도내 기업들의 수심이 짙어지고 있다.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내 기업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추진할 고율의 관세로 인한 비용증가와 시장축소 등을 우려하고 있다.
지금까지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10~20% 수준의 보편관세를 공언해 왔다.
경제계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 직후 보편관세를 비롯한 경제 관련 행정명령이 대거 발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도내 기업들의 수출기업을 물론 기업계 전반으로 불안감이 확대되고 있다.
경기도중소기업ceo연합회 관계자는 “직접 수출기업도 문제겠지만 수출기업에 납품하는 업체들의 경우에도 늘어난 관세비용이 어떤 형태로든 하청기업에 전가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높은 관세로 제품 경쟁력을 상실해 미국 시장 자체에서 철수되거나 시장 점유율 축소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이노비즈협회 관계자의 경우 “회원사의 40%가 수출기업인 만큼 환율과 관세문제에 대해 유관기관과 대책 마련 중이다”며 “고율의 관세정책으로 수출길 자체가 막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전반에 깔려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당선인의 불확실성이 높은 캐릭터도 불안감을 가중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전반적인 우려 속에서 일부 긍정적인 전망과 위기 극복의 해법을 제시하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무역협회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에도 미국에 우호적인 기업에 대해서는 개별 관세 면제 가능성이 높았던 점에 비춰 볼 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이러한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 내 대미 수출기업들도 미국 제조 공급망과 고용 창출 등의 기여도 내세워 미 정부를 설득해 개별 관세 면제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경기중소벤처기업연합회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 정책 가운데 인프라 투자 증가도 예상되는 만큼 도내 중소기업에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미국의 관세정책이 한국 기업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만큼 위상 제고 등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와 함께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관계자는 “미 행정부의 인사배치와 관세율이 구체화 된 뒤에야 적정한 대응책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기업들은 환변동보험, 긴급경영자금, 수출바우처 사업 등을 통해 관련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트럼프 2기 출범… 경기도 안보·경제 ‘대변혁’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0580381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