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출범… 경기도 안보·경제 ‘대변혁’ [집중취재]

취임 첫날부터 100여건 행정명령 예고
道, 美 네트워크 강화•수출기업 지원 등
시나리오별 구체적 대응 방안 준비 중
北 친분 강조, 남북교류사업 재개 ‘촉각’

image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첫날 행정명령을 대거 쏟아낼 것으로 예고하면서 국제교류협력을 강조해 온 경기도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북한과의 개인적 친분을 강조해 온 만큼 남북교류사업에 물꼬를 틀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20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첫날인 20일(현지시간) 100건에 가까운 행정명령을 발동하겠다고 예고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가 행한 수십개의 행정명령들을 폐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발맞춰 경기도는 시나리오별로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우선 도는 미국의 주 정부인 플로리다, 유타, 버지니아, 캘리포니아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난 2022년 발효한 아세안과 한중일 등 15개국이 참여한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확대된 수출시장 흐름에 발맞춰 수출기업을 위한 지원책도 지속 추진한다.

 

엔비디아, ASML(반도체 장비 기업), 바이오콤 등 기업 간 협력관계도 강화한다. 앞서 김동연 지사는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지난 5월 미국에 있는 바이오콤 캘리포니아를 찾아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한 바 있다.

 

특히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라 자국 중심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부가 등이 현실화되면서 수출 기업의 현지 가격 경쟁력 약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수출전진기지인 경기비즈니스센터를 신설하고, 경기지역FTA통상진흥센터를 통해 도내 중소기업의 수출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남북 접경지역인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상 북한과의 관계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사실상 경기도에선 북한과의 관계가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도와 북한 간의 직접적인 교류는 중단된 상황이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개인적 친분을 여러 차례 강조해 온 트럼프 당선인의 대북 정책 방향에 따라 접경지를 보유한 도의 각종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북한전문가인 김기호 둘하나연구소장은 “지난해 12월 북한 전원회의에서 ‘최강경 대미 전략’을 천명한 만큼 북한 입장에서는 미국과의 대화가 다급하지 않다”면서도 “트럼프 당선인이 핵보유국으로 인정해달라는 북한의 대화를 받아들이는 등 ‘북·미’ 소통을 이어갈 경우 한국이 패싱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의 대응에 맞춰 경기도 역시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도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인의 구체적인 행정명령이 나오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세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美 보편관세 ‘만지작’... 경기도내 기업들 ‘초긴장’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0580383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