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생사라도 vs 불안해서 못 살아... 대북전단 ‘남남갈등’ 격화 [현장, 그곳&]

image
31일 오전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을 살포하기 위해 파주시 임진각 내 국립6·25납북자기념관에 도착했으나 접경지역 주민과 시민단체,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 등이 저지하면서 전단 살포가 무산됐다. 사진은 김정은 규탄 현수막을 둘러싼 납북자가족모임, 접경지역 주민, 경찰, 취재진. 조주현기자

 

“정부가 납북자 가족 생사도 확인해 주지 않으니 이러는 거 아닙니까.”

 

“대남 방송 소음 때문에 살 수가 없습니다. 도발하지 마세요.”

 

납북자가족모임이 31일 오전 파주에서 대북전단을 살포하려다 경기도와 주민들의 저지로 무산됐다. 그러나 납북자가족모임은 드론 등을 이용해 곧 살포를 재시도하겠다고 밝히면서 대립은 지속될 전망이다.

 

이날 오전 10시께 파주 국립 6·25전쟁납북자기념관 앞. 납북자가족모임이 이날 대북 전단을 풍선에 매달아 북한에 날려 보낸다고 예고하면서 현장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경찰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광장 주변에 버스로 차단벽을 만들었고,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과 경기북부경찰경 기동대, 파주시 직원 등 800여명이 곳곳에 배치돼 상황을 주시했다.

 

예고한 시간이 다가오자, 대북 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접경지역 주민들과 피켓 시위를 하는 시민단체들이 하나둘 모여들었다.

 

민통선 마을 주민들은 농사용 트랙터 20여대를 직접 몰고 와 임진각 진입로를 막았고, 대북 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은 ‘대북 전단 풍선 반대한다’, ‘불안해서 못 살겠다’고 적힌 피켓을 들고 반발했다.

 

파주시장과 국회의원들도 현장을 찾아 대북 전단 살포 시도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냈다. 김경일 시장은 “파주시 모든 지역은 재난안전법에 따른 위험구역”이라며 “대북 전단 살포를 즉각 중단하고 파주에서 퇴거하라”고 강하게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납북자피해가족모임이 피해자 가족의 이름과 사진, 설명 등이 실린 간판을 세워놓고, 드론을 띄우려 하자 일순간에 대치 상황이 벌어졌다.

 

납북자피해가족모임이 북한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대형 현수막을 드론에 매달아 띄우자, 반대편에선 대북 전단 살포를 중단하라는 주민들의 외침이 더욱 커졌다.

 

납북자가족모임 관계자는 “대북 전단 살포는 막으면서, 대남 오물풍선에 대해서는 왜 나서지 않느냐”며 “정부는 납북 피해자 가족들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묻고 싶다. 대한민국이 마땅히 책임져야 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와 파주시 관계자들까지 나서면서 결국 납북자피해가족모임은 이날 예정했던 전단 살포를 취소했고, 상황은 일단락됐다. 그러나 납북자피해가족모임 측이 다시 일정을 잡기로 하면서 당분간 갈등은 이어질 전망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을 최우선의 목표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며 “위험지역뿐 아니라 대북 전단 살포 가능성이 있는 지역 60여곳에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을 배치해 현장을 수시로 순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5일 경기도는 대북 전단 살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파주시, 김포시, 연천군의 11개 지역을 ‘위험구역’으로 지정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