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구역에 내연차 버젓이… 경기도내 전기차 ‘電電긍긍’ [현장, 그곳&]

상공회의소·화성 아파트 단지 등 ‘과태료 10만원’ 안내문 무색 불법 주차 수두룩
관련 신고 월평균 5천건… 이달에만 4천건 육박
전문가 “인프라 좋아졌지만 인식 저조, 교육 필요”

image
전국적으로 활발히 조성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충전 및 전용주차구역에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차돼 있는 등 불법행위가 난무하고 있다. 17일 오전 수원특례시 장안구 정자동 수원상공회의소에 조성된 친환경차 전용주차구역에 내연차가 주차돼 있는 모습. 김기현기자

 

“친환경차 인프라가 좋아졌다고들 하지만, 인식이 저조해 불편함은 여전합니다.”

 

17일 오후 2시께 수원특례시 장안구 정자동 수원상공회의소 전기차 충전구역. 아이러니하게도 전기차 충전기 3대가 설치돼 있는 각 주차공간을 하얀색 번호판을 단 내연차가 모두 차지하고 있었다.

 

때마침 이곳을 찾은 한 내연차 역시 눈치라도 보듯 한참을 배회하다 결국 자리를 옮겼다. 또 다른 내연차는 이곳 앞에서 이중주차를 시도하기까지 했는데, 여의치 않은 듯 포기했다.

 

그동안 이를 문제 삼거나 저지하는 사람은 단 1명도 없었다. 중간 중간 이 인근을 지나는 방문객들도 있었으나 그저 발걸음을 재촉하는 데 여념 없는 모습이었다.

 

내연차 운전자 박모씨(50대)는 “어딜 가든 주차공간은 늘 부족하다”며 “그런데 전기차 전용공간까지 조성돼 더 부족해졌다. 그럼 이곳에 주차해도 되는 것 아니냐”고 도리어 따졌다.

 

비슷한 시각 화성시 반월동 소재 아파트 A동 전기차 충전구역(3면)에도 어김없이 내연차 1대가 주차돼 있었다.

 

전기차 충전시설 옆 벽면에 붙은 ‘경유차, 가솔린차, LPG차 주차 불가. 과태료 10만원’이라는 내용의 포스터가 무색할 따름이었다.

 

이를 목격한 일부 전기차주들은 화를 참지 못하고, 차에서 내려 “어이가 없다”며 버럭 성질을 내기도 했다.

 

전기차주 한모씨(50대)는 “친환경차를 위한 주차 공간에 내연차를 대는 게 상식적으로 말이 되냐”며 “아무리 인프라가 좋아졌다고들 하지만, 친환경차에 대한 인식이 한참 뒤떨어져 불편함은 여전하다”고 전했다.

 

image
전국적으로 활발히 조성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충전 및 전용주차구역에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차돼 있는 등 불법행위가 난무하고 있다. 17일 오전 화성시 반월동 소재 아파트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구역에 내연차가 주차돼 있는 모습. 김기현기자

 

전국적으로 활발히 조성되고 있는 친환경 자동차 충전 및 전용주차구역에 내연기관 자동차가 주차돼 있는 등 불법행위가 난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개발·보급을 촉진해 국민 생활환경 향상을 도모하고, 국가 경제에 이바지한다는 조성 취지와는 달리 관련 인식이 한참 저조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3개월 동안 도내 31개 시·군에 접수된 불법 주·정차 신고 중 ‘친환경차충전구역’ 관련 신고는 1만7천242건에 달한다.

 

4월 5천622건, 5월 5천823건, 6월 5천797건 등으로 월평균 5천건 이상씩 신고가 접수되고 있다. 이달 들어선 지난 1일부터 이날 오후 6시까지 3천742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현행 친환경자동차법은 친환경차 충전구역에 물건을 쌓거나 통행로를 가로막는 등 충전을 방해하는 행위를 하면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내연차를 친환경차 충전구역이나 전용주차구역에 주차해서도 안 된다. 이를 위반할 시 최소 2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수많은 불법행위가 자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엄격한 법 집행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다 친환경차에 대한 인식이 한참 저조한 데 따른 양상이라는 분석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실시간 관리·감독을 시행해 법을 제대로 집행할 필요가 있다”며 “동시에 친환경차에 대한 운전자 의식 제고를 위한 반복적 교육도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도 관계자는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유관기관과 대책 마련 중”이라며 “친환경차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