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지역 자체생산 연구... 기후위기 극복 생활화 교육도 중요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선 무엇보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정 기후위기 경기비상행동 공동실행위원장은 5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경기도는 제조업이 발전한 등의 이유로 전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국가 목표치보다 더 큰 노력을 해야 한다. 인천시 역시 마찬가지”라며 “어렵다고 머뭇거릴 게 아니라 제도적인 부분이 변화하는 지금 빨리 적응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시 “먼저 온실가스나 미세먼지 등 기후를 변화시키는 대기오염물질이 어느 분야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기본적인 지역조사가 잘 안 되다 보니 2, 3차 계획을 짜도 정교하지 못하다. 막연하게 ‘줄이자’고 하지 말고 지자체 차원에서 세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를 지역 자체에서 생산해 바로 공급할 수 있게 만드는 사업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태양광 패널의 경우 일종의 ‘지역기피시설’로 여겨져 주민들이 피하기도 한다”며 “지역 단위에서 어떻게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연착륙시킬지 연구해야 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정책 시행뿐만 아니라 체계적 교육이 실현돼야 한다는 조언도 있다.
이현주 용인대 환경학과 교수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유치원과 초·중·고교까지 탄소 배출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환경 생활화 교육이 시행돼야 한다”며 “공공시설물에 대한 절약 개념 등이 선행돼야 정책 추진에 뒷받침도 되고 실천율도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가령 다회용기 사용도 실질적으로 잘 이행되지 않는데, 유별난 행동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지역 주민에게 익숙할 때까지 알려주고 홍보하는 방안의 정책과 캠페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