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범죄예방 목적 아동안전지킴이집…“그게 뭐죠” [현장, 그곳&]

15년전 범죄예방 위해 도입했지만... 이용해야 할 아이들 대다수 ‘몰라’
현장 교육 부재·인지도 부족 난항... 경찰 “유관기관과 홍보 활동 확대”

image
26일 오전 오산시 오산동 한 편의점에 ‘아동안전지킴이집’ 지정표시가 부착돼 있다. 윤원규기자

 

“아동안전지킴이집이요? 그게 뭐죠?”

 

26일 수원특례시 권선구의 한 세탁소. 출입문 옆에는 이곳이 ‘아동안전지킴이집’임을 알리는 간판이 빛바랜 채 내걸려 있었다. 이 세탁소는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위촉된 지 8년이나 지났지만, 정작 이곳을 지나는 시민들과 아이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김수현씨(39)는 “취지는 좋은 것 같은데 이런 게 있는지도 몰랐다. 정작 이용해야 될 아이들이 하나도 모르는데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꼬집었다. 이곳을 지나는 초등학생 10명에게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대해 묻자, 처음 들어본다는 반응이었다.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은 “잘 모른다. 학교에서도 배운 적이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산시 오산동의 한 편의점. 이곳 역시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등록돼 있었지만, 야간에는 무인점포로 운영되고 있어 정작 위급한 상황에 이용하기 어려워 보였다.

 

특히 업무특성상 교대가 잦고 근무자가 자주 바뀌는 편의점의 경우 근무자조차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수원특례시 인계동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최소라씨(55·가명)는 “취지가 좋아 동참했지만, 직원들이 바뀔 때마다 교육하기엔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아동 대상 범죄 예방을 위해 도입한 ‘아동안전지킴이집’이 현장 교육 부재와 인지도 부족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이면 시행 16년차를 맞는 만큼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방법 및 홍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찰은 지난 2008년 안양 초등생 유괴·살해 사건 이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강력 범죄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학교 인근 약국이나 편의점 등을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경찰은 연 1~2회 아동안전지킴이집에 방문해 행동수칙 등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지만, 해당 내용을 인지하고 이용해야 하는 어린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렇다 보니 제도의 시행이 무색할 만큼 아동 실종 범죄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이날 경찰청의 ‘실종아동 등 신고접수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실종아동은 2017년 1만9천956건, 2018년 2만1천980건, 2019년 2만1천551건, 2020년 1만9천146건, 2021년 2만1천379건으로 매년 2만건가량 발생하고 있다. 반면 아동안전지킴이집은 폐업 등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다. 도내 ‘아동안전지킴이집’은 지난 2019년 3천200여곳에서 올해 2천269곳으로 3년 사이 약 1천곳이 사라졌다.

 

경찰 관계자는 “코로나19 등으로 홍보에 제약이 있었다. 추후 교육청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 활동을 확대해 나가겠다”면서 “무인 점포 등 아동안전지킴이집에 적합하지 않은 선정업소는 검토 후 해촉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