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그곳&] 손 모자라는 뷔페식 급식… ‘운용전략’ 필요하다

위탁운영하는 성남외고 “인원·식품단가 안정성 갖춰야”
조리사 11명이 600명 담당… 인력 어려움 호소하기도
일선 학교 ‘구조개선 미비’ 도교육청 정책 실효성 의문

경기도교육청 전경

“인건비가 워낙 비싸다 보니 석식의 경우 식품비 구성을 맞추면 8천원이 넘어갑니다.”

21일 오전 11시20분께 성남외국어고등학교 3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카페테리아 급식 설명회’에서 마이크를 잡은 김종표 교장은 카페테리아 급식단가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이달부터 식품비 단가가 7% 인상(중식비 4천90원)돼 ‘운영의 묘’가 있어야 카페테리아 급식 운영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급식인원 숫자가 고정적이어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김 교장이 몸담은 성남외고는 지난해 4월부터 전교생을 비롯한 교직원들에게 카페테리아식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 학교와 달리 위탁운영 형태로 급식을 운영 중이며, 조리실무사 11명이서 3개조로 나눠 약 600명에 대한 급식을 하루 3번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학생들의 건강상태, 기호도 등에 따라 대체식, 선택식, 세계 음식(월 1회)을 급식으로 제공하는데, 자율배식과 샐러드바 코너는 항시 운영 중이다.

이같이 한정된 인력으로 많은 양의 급식을 준비하는 것에 대해 학교 측도 조리실무사들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있다. 김 교장은 “600명의 밥을 11명이 담당하고 있는데, 저희가 이 분들한테 무엇을 도와드릴 수 있는지 늘 걱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이처럼 학생 선호에 따라 메뉴를 정할 수 있는 카페테리아식 급식을 본격 추진하고 있지만, 일선 학교에서의 적용 여부에 의문 부호가 달리고 있다. 기숙사 형태로 운영되는 성남외고처럼 학생 수가 일정해 급식단가의 안정성을 갖춰야 하는 데다 위탁운영이 아닌 학교에 소속된 조리실무사들이 같은 급식 환경에서 반찬 수를 더 많이 만들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존 급식실 환경 개선 없이는 카페테리아식 급식 운영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경기학비노조 관계자는 “카페테리아식 급식을 하려면 협소한 조리실이 개선돼야 하고, 급식기구 및 인력이 확충돼야 한다”면서 “단체급식이기에 신속하게 빠져나가야 하는 급식실 구조도 바뀌어야 해 도교육청 정책 추진은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의 자율권과 선택권을 존중하는 카페테리아식 급식을 확대해 학생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겠다”며 “학생들의 기호와 요구에 맞는 다양한 급식과 건강한 식생활교육을 통해 맛과 질이 보장되는 학교급식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