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출가스 감축 적극적인 노력 땐, 성남·하남 등 고온지역 0.3~0.5℃↓
184개 단체 ‘기후위기 비상행동’ 환경 법안 제정·관련 교육 촉구, “녹색소비 증대 등 도민 동참해야”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한다면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온실가스 배출을 당장 적극적으로 감축하는 RCP 2.6( 농도 420)과 현재처럼 배출하는 RCP 8.5( 농도 940)를 비교한 결과 경기도의 평균기온이 26.1도에서 25.9도로 0.2도 하락했다.
특히 경기지역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10곳의 읍ㆍ면ㆍ동 기온도 모두 0.3~0.5도씩 떨어졌다. 성남 수진2동은 27.4도에서 27도로, 성남 복정동은 27.3도에서 26.9도로 기온이 각각 0.4도씩 낮아졌다. 하남 덕풍3동은 27.3도에서 26.8도로 0.5도나 기온이 떨어졌다.
여름철 경기도에서 시원한 동네는 하락 폭이 더 컸다. 양평 단월면은 RCP 8.5일 때 24.7도에서 24.0도로, 가평 북면은 23.3도에서 22.4도로 0.9도 하락했다. 포천 이동면은 24도에서 23도로 무려 1.0도나 기온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예방을 위해 국민들이 실현할 수 있는 노력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나무 심기 △쓰레기 배출량 줄이기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기 사용 △자차 대신 저탄소 대중교통 이용 등을 제안했다.
특히 현 추세대로 아무런 노력 없이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면 RCP 8.5의 최악의 단계로 나아갈 수밖에 없어 지금부터라도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경기지역에서도 미래 기후재난을 막고자 시민단체 등이 나서 민관이 함께 대응하는 체계와 정부의 관련 법 제정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3월 경기도에너지협동조합, YWCA경기지역협의회, 경기도도시농업시민협의회 등 도내 184개 단체는 ‘기후위기 경기비상행동’을 출범했다. 목표는 온실가스 배출 전국 1위인 경기도를 30년 뒤 ‘배출가스 제로(Zero)’로 만드는 것이다.
우선 기후위기 경기비상행동은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즉각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조례를 제정해 민관이 함께하는 대응 체계를 수립할 것을 강조한다. 특히 21대 국회가 기후 위기를 인정하고 비상 선언을 채택할 것, 기후 정의에 입각한 온실가스 감축법안을 제정하고 독립적인 범국가 기구를 구성하는 기후 국회가 될 것을 촉구했다.
또 경기도교육청 등 도내 모든 교육기관에서 기후위기 교육을 시행할 것과 도민 역시 재생에너지 생산과 녹색소비를 증대하는 데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장동빈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경기도ㆍ의회ㆍ산업계ㆍ학계ㆍ교육계ㆍ시민단체 등 모든 구성원이 함께하는 (가칭)경기도 기후위기 대응 범도민 추진기구가 구성돼야 하며 우리가 모두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힘써야 할 시점”이라고 당부했다.
특히 경기지역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10곳의 읍ㆍ면ㆍ동 기온도 모두 0.3~0.5도씩 떨어졌다. 성남 수진2동은 27.4도에서 27도로, 성남 복정동은 27.3도에서 26.9도로 기온이 각각 0.4도씩 낮아졌다. 하남 덕풍3동은 27.3도에서 26.8도로 0.5도나 기온이 떨어졌다.
데이터텔링팀 = 정자연·정민훈·여승구·이연우·손원태기자 , 데이터지도 제작=곽민규PD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