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강제로 지워버린 ‘경기지역 고유지명’ 되찾는다

道 실국장회의서 ‘내 고장 지명 되찾기’ 캠페인 추진 방침
임정 수립 100주년 맞아 도청 건물마다 애국지사 아호 부여

▲ 경기도청 전경

일제가 1만 1천여 개에 이르는 경기지역 고유지명을 강제로 바꾼 것으로 확인된(본보 2월 26일자 1면) 가운데 경기도가 3ㆍ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잃어버린 지명 되찾기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13일 김희겸 도 행정1부지사 주재로 열린 ‘실국장회의’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내 고장 지명 되찾기’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도는 캠페인을 통해 연말까지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개명된 지역을 적극적으로 발굴, 잃어버린 민족정기를 되찾고 민족 통합 정서를 확산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도는 관련 내용 방송, 이벤트를 추진해 이 같은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또 실질적인 명칭 변경을 위해 국토교통부 등 중앙부처와도 협의, 우리식으로 지명을 새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의미와 전통을 계승하고자 도청 건물마다 애국지사들의 아호 등을 딴 명칭을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도청 청사는 신관과 구관, 제1별관, 제2별관, 제3별 등 5개 건물로 이뤄져 있다.

도는 이들 건물에 노은관, 해공관, 산재관, 소앙관, 면암관 등의 명칭 부여를 검토 중이다. 노은은 김규식, 해공은 신익희, 산재는 조병세, 소앙은 조소앙, 면암은 최익현 선생의 호다. 이들은 모두 경기도 출신의 애국지사다. 도는 이달 중 도청 명칭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한 뒤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 전날인 다음 달 10일 현판식을 할 계획이다.

아울러 오는 8~10월께 임시정부 100주년 기념 중학생 역사 원정대인 ‘응답하라 1919’가 탐방을 할 예정이다. 이들은 3박 4일의 일정동안 중국 상해, 러시아 연해주의 항일ㆍ독립운동 거점지를 방문하게 된다. 대상은 도내 중학생, 교사 등 1천여 명이며 총 33개 팀(팀당 30명)을 꾸려 답사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이날 회의에서는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착수보고회, DMZ 인프라 조성, 2019년 가뭄 종합대책, 식중독 예방 및 관리 대책, 경기북부지역 영세사업장 청정연료 전환사업 등 상반기 주요 도정 보고도 이어졌다.

한편 이날 회의를 주재한 김희겸 부지사는 “다가오는 추경에는 이재명 도지사의 지시에 따라 경제활성화, 미세먼지 등 사회적으로 이슈 되는 것을 담아야 하는데 아직 실국별 발굴 노력이 부족하다. 또 중요한 기록물들이 폐기되는 등 기록물 관리도 부실하다”며 관련 부처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당부하기도 했다.

권오탁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