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천주교 ‘구산성지’ 보존방안 실타래 풀렸다

LH-종교계 성지외곽 현양터 보존 놓고 갈등
권익위, 역사성 높다고 판단, 합의안 이끌어 내

미사강변도시 사업지구에 편입돼 보존방안을 놓고 수년 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종교계가 갈등을 빚어왔던 천주교 ‘구산성지’가 국민권익위원회의 중재로 원형 보존될 전망이다.

권익위와 하남시는 지난 12일 LH 하남사업본부에서 정종득 구산성지 주임신부와 김복운 부시장, 이상곤 LH 하남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권익위 박재영 부위원장 주재로 현장조정회의를 열어 구산성지 보존계획에 대한 최종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13일 밝혔다.

구산성지(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는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된 부지(1만5천484㎡)와 천주교 성인 및 순교자 묘역, 이를 기리는 현양터로 구성돼 있다.

또 로마교황청은 지난 1980년 구산성지를 순례성지로 지정하고 2001년 시가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했지만, 2009년에 LH가 공공주택 사업지구로 편입하면서 보존방안에 대한 민원이 제기됐다.

LH는 구산성지의 외곽부분인 순교자 묘역과 이를 기리는 현양터는 보존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고 천주교 측은 이 부분 없이는 성지로서의 목적을 다 할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서로 팽팽히 맞서 왔다.

그러자 천주교계는 지난달 1만여 명의 신도가 서명한 고충민원을 권익위에 제기했다.

이에 권익위는 구산성지는 천주교 순례성지로 향토유적으로 지정돼 그 역사성이 있는 점, 조세심판원도 현양터를 종교용 부지로 인정한 점 등을 고려해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권익위는 LH가 현양터 면적을 보존하는 대신 천주교 측은 순교자 묘를 존치구역 안으로 이전하고 시는 존치되는 구산성지에 대한 향토유적 지정변경을 추진키로 하는 방안을 마련, 양측의 동의를 얻었다.

한편 구산성지는 김성우(안토니오) 성인의 고향이자 묘소가 있는 곳으로 신앙공동체의 모습을 200여년간 간직하고 있다.

하남=강영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