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시행사 ‘보상비 보증’ 암초
평택 브레인시티 사업시행자 측이 유동화증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을 위해 평택시에 보증을 요구하
고 있으나 시가 이를 수용치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져 사업이 존폐위기에 놓였다.
시행사
“市보증서면 대출 받아 해결”
주민
“市적극나서 정상화 조치를”
평택시
“분양지연·사업차질책임우려”
28일 평택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말까지 보상이 완료될 예정이었던 브레인시티 사업은 성균관대와 사업시행자 간 협약에 따라 공급가격이 3.3㎡당 20만원으로 고정되면서 건설사들이 분양 리스크, 채산성 등을 우려해 참여를 미루고 있다. 이에 사업지역내 주민들의 피해가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업시행자인 PKS브레인시티 측은 지난 3월 시에 보상비 마련을 보증을 요구했다. 사업시행자에게 투자 의향서를 제출한 참여자 등도 평택시의 보증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다, 주민들도 시가 보증에 나서 사업을 정상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시는 “분양지연과 사업차질시 이에 대한 책임이 시에 돌아올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시행사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시행사 측이 5천여억원에 대해 시가 보증을 서면 대출을 받아 보상을 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전체 보상액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해결이 아닌 또다른 피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사실상 거부입장을 밝혔다.
이런 가운데 도는 사업시행자 측에 올 상반기 중 성균관대학교 이전계획서 등을 포함한 개선 계획안을 제출치 않을 경우 사업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사업자체가 무산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 2010년에 대형건설사 등을 포함한 투자처가 확정돼 연말까지 보상을 완료하겠다고 약속한 사업시행자가 아직도 보상을 커녕 투자자조차 모으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시에 보증까지 요청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동인 평택브레인시티 주민대책위원장은 “사업이 계속 지연되면서 주민들이 그동안 너무 큰 고통에 시달려왔다”며 “하루 빨리 투자와 관련된 입장이 정리돼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chy405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