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18.9%로 상승률 1위…트라움하우스5차, 50억8800만원 최고가
올해 전국 아파트 공시가격이 평균 4.9% 상승했다.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4.6% 하락한 공동주택 가격이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2008년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특히 과천시와 서울 강남 지역 등 지난해 하락폭이 컸던 지역과 6억원 초과 고가주택이 많이 올랐다.
국토해양부는 전국 공동주택 999만 가구의 공시가격(안)을 공개하고 오는 26일까지 국토부 홈페이지(www.mltm.go.kr)와 시·군·구청 민원실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올해 공시대상 주택은 지난해 967만 가구보다 32만 가구(3.2%) 증가했고, 가격 총액은 전국 평균 4.9% 올랐다.
지난해 공시가격이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평균 4.6% 하락했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작년 하락폭 만큼 가격이 상승해 2008년도 수준을 회복한 셈이 됐다.
유동성 증가와 경기회복, 재건축아파트 규제완화에 대한 기대감 등의 영향이 반영돼 가격이 상승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21.5%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던 과천시가 올해는 18.9% 뛰며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경기 화성(14.3%), 경기 가평(12.5%), 서울 강동구(12.0%), 서울 강남구(11.5%) 등의 순으로 많이 올랐다.
과천시 부림동 주공8단지 전용면적 73.02㎡형은 지난해 3억5900만원에서 올해 4억2700만원으로 18.9% 상승했다.
집값 수준별로는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주택(2009년 -14.8%)이 10.2%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9억원 초과 고급주택(-13.7%)이 8.8% 상승했다.
잠실 주공 5단지 76㎡형은 지난해 7억100만원에서 8억 1600만원으로 16% 상승했다 3억원 초과~6억원 이하 주택(-10.9%)은 5.2% 상승했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76㎡형은 지난해 5억 8,800만원에서 올해 7억 2,200만원으로 22% 올랐다.
2000만원 이하 주택은 2.3%로 상승폭이 가장 적었다.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공동주택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5차 전용면적 273.6㎡로, 작년보다 3.1% 오른 50억8800만원이다.
아파트 가운데 최고가 주택은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전용면적 269.4㎡형으로 작년보다 4.3% 오른 44억7,200만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