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난카이 대지진’ 대응책 구체화…“사망자 80%·건물피해 50% 줄일 것”

日, 방재대책 추진 지역 지정·중점 시책 목표치 설정
만화가 타츠키 료, ‘내가 본 미래’서 난카이 대지진 예언

image
일본 기상청이 지난 2024년 8월 난카이 해곡 지진 임시정보 발표하는 모습. 연합뉴스

 

열흘간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 해역에서 650회가 넘는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7월 대지진설'에 대한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관련 피해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했다.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1일 난카이 대지진 관련 방재대책 추진 기본계획을 통해 10년 내에 피해 예상치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3월 일본 정부가 시뮬레이션 등으로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최대 29만8천 명이 사망하고, 건물 235만 채가 무너지거나 불타는 피해를 예측했는데, 이중 사망자는 80%, 건물 파손 등은 50%까지 줄이겠다는 구체적인 대응책을 내놓은 것이다.

 

이날 발표된 계획에는 강한 흔들림이나 높이 3m 이상의 쓰나미(지진해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723개 기초지자체는 방재대책 추진 지역으로 지정하고, 205개 중점 시책에 대한 구체적 목표 설정이 담겼다.

 

중점 시책에는 내진 성능을 가진 주택 확대 재해 거점 병원의 내진 기능 강화 ▲2030년까지 해안 방조제 정비율 50% 달성 등이 포함됐다.

 

30년 내 대지진 발생 확률이 80%에 달한다고 알려진 난카이 해곡은 시즈오카현 앞바다에서 시코쿠 남부, 규슈 동부 해역까지 이어져 있다. 100∼150년 간격으로 대규모 지진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측된 이 지역은 만화가의 예언에서 시작된 '7월 대지진설' 속 진앙지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2020년 코로나19를 예견해 주목받았던 일본의 만화 작가 타츠키 료의 내가 본 미래에 난카이 대지진이 언급되며 우려 여론이 확산하자 일본 정부는 난카이 해곡에서 규모 8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것에 대비해 방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2014년에도 난카이 대지진 발생 시 사망자·건물 피해 예상치와 감축 목표를 각각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최악을 가정한 예상치는 사망자 33만2천 명, 건물 파손 등은 250만4천 채였는데, 이때도 일본 정부는 사망자는 80%, 건물 파손은 50% 수준으로 피해 예상치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